동선공개 마스크 착용여부 기준 관심… 덴탈마스크도 착용?

  • 정치/행정
  • 대전

동선공개 마스크 착용여부 기준 관심… 덴탈마스크도 착용?

더운 여름에 보건용(KF) 아닌 마스크 수요 증가해
시, 마스크 종류 관계 없이 착용 유무만 판단 설명
그러나 145번 환자, 덴탈 착용했으나 '미착용' 표기
정부지침상 관련내용 없어 시민혼란 유발가능성도

  • 승인 2020-07-09 16:47
  • 신문게재 2020-07-10 3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KakaoTalk_20200709_150316436
코로나19 확진자 동선공개 중 마스크 착용 여부 기준에 대해 시민들의 관심이 높다.

정부가 발표한 확진자 동선 등 정보공개 안내에는 마스크 종류에 따른 기준이 없어 지자체별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현재 시는 확진자의 증상, 마스크 착용 여부, 체류 기간, 노출 상황 등을 고려해 접촉자 범위를 결정하고 있다.

또한 마스크 미착용, 시민 접촉 등 유의미한 동선이 아니라면 역학조사관의 판단 아래 전체 동선공개에서는 제외되고 있다.



최근 더운 날씨가 지속 되면서 기존 KF94, 80 마스크가 아닌, 덴탈·일회용 마스크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부 시민들은 KF 마스크가 아닌 그 외 다른 마스크 착용도 감염 위험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는지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대전시 밴드에 올라온 한 댓글에는 "확진자 중 한 명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병원에 갔다고 한다"며 "확실하게 착용했는데, 전염이 된 건지 아니면 차단이 안 되는 일회용을 쓴 건지 궁금하다"고 적혀 있기도 했다.

이에 대전시는 KF 마스크가 덴탈 및 일회용 마스크와는 비말 차단 효과적인 측면에서는 차이가 있겠지만, 어떤 마스크든 간에 일정한 차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올바르게 방법으로 착용됐다면 '착용'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역학조사 할 때 확진자의 마스크 착용 방식이 잘못됐다는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 마스크 착용 유무를 판단한다"며 "어떤 마스크냐는 그 다음이고 우선은 착용 유무만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145번 확진자는 체육시설에서 마스크 착용을 하지 않은 것으로 표기됐지만, 덴탈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이동할 때나 운동하는 내내 마스크를 착용했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해 마스크 미착용으로 판단한 셈이다.

결국 마스크 종류와 관계 없이 올바르게 착용만 했다면 착용으로 표기한다고 설명했지만, 결국 명확한 기준이 없어 이는 시민 혼란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는 정부의 동선공개 지침에 마스크와 관련된 기준이 없고, 각 지자체별 역학조사팀 판단 하에 이뤄지고 있어서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확진자 이동경로 등 정보공개 안내 3차 내용에는 마스크에 대한 내용은 명확하게 들어가 있지 않다"며 "이는 확진자 동선을 공개할 때, 마스크 착용 유무와 관련해서 각 지자체가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희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김해시, '김해맛집' 82곳 지정 확대...지역 외식산업 경쟁력 강화
  2.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3. 환자 목부위 침 시술 한의사, 환자 척수손상 금고형 선고
  4. 대전서 교통사고로 올해 54명 사망…전년대비 2배 증가 대책 추진
  5. 인문정신 속의 정치와 리더십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학 라이즈 사업 초광역 개편 가능성에 지역대학 기대·우려 공존
  3.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4.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5.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헤드라인 뉴스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수험생 37명 ‘학폭 이력’에 대입 불합격

지난해 충청권 10개 대학이 수시 전형에서 학교폭력 이력을 평가에 반영해 37명이 불합격한 것으로 조사 됐다. 2026학년도 대입 전형이 이뤄지는 올해 전국 대학이 학폭 사항을 필수적으로 확인해 탈락 사례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된다. 18일 국회 교육위원회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4년제 국·공립, 사립대학 61곳이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내 학폭 처분 이력을 2025학년도 대입 전형 평가에 반영했다. 수시모집에서는 370명 중 272명(73.5%), 정시모집에서는 27명 중 26명(96.3%)..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대전시 국방·우주반도체 공급망 중심축 만든다

K-방산 산업의 미래 경쟁력과 국가 안보를 위한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에 대전시와 산학연이 뭉쳤다. 대전시와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는 18일 시청에서 '국방·우주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이광형 KAIST 총장, 방승찬 ETRI 원장, 손재일 한화시스템㈜ 대표, 김우연 대전테크노파크 원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안보에 필수적인 국방·우주반도체 개발 및 제조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협약 기관들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계절의 색 뽐내는 도심

  •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 교통사망사고 제로 대전 선포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