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홍성엽 교수 |
-위장관 이물질 사고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위장관 이물은 주로 기어 다니거나 치아가 발달하고 사물을 잡을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의 어린이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성인에서도 흔치 않게 생기는 돌발사고다. 소아 이물은 동전과 작은 플라스틱 장난감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머리핀, 열쇠, 바둑돌, 장신구, 바늘, 못 등 매우 다양하다. 특히 자석과 디스크 전지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성인의 경우 생선 뼈, 닭 뼈, 고기, 떡 등의 음식 이물 등으로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흔하다.
-맨밥이나, 식초, 콜라 등이 이물질을 내려가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데.
▲ 민간요법으로 알려진 몇 가지에 방법 중 맨밥을 삼키는 것을 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살짝 박힌 이물질을 더 깊이 밀어 넣을 수 있어서 조심해야 한다. 쉽게 뺄 수 있은 것을 더 제거하기 힘들게 하기 때문이다. 또 식초, 레몬, 콜라 등도 식도에 더 큰 화학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피해야 한다. 간혹 거울을 보고 손으로 빼내는 것을 시도하다 병원에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방법은 구역을 유발하면서 가시가 더 깊이 들어가거나 아래로 이동하면서 더 빼기 힘들어지게 한다. 위의 방법들은 모두 상처를 내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방법이 아니다.
-가시나 닭 뼈가 걸렸다는 생각이 들면 무조건 병원에 가야 하나.
▲ 생선 가시나 닭 뼈가 목에 걸렸을 경우 정답은 '물을 몇 번 마셔보고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에 가야 한다'이다. 목에 생선 가시 등이 걸렸다면 따뜻한 온도의 물을 마셔서 자연스럽게 내려갈 수 있도록 시도를 해 보고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병원에서는 대부분 혀 아래나 편도 주위를 의료용 라이트를 비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패하면 후두경 등으로 목 깊은 곳을 진찰하고 빼내게 된다. 인후두부에도 없으면 식도내시경을 통해 식도 전체를 관찰하면서 제거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하지 않고 주간일 경우 이비인후과 등에 내원해 목 부분을 진찰하고 제거를 시도해 보고 불가능하면 병원 응급실을 찾으면 된다. 야간이나 취약시간에는 병원 응급실을 방문해 진찰을 받는 것이 도움된다.
-응급질환으로 곧바로 병원으로 가야 하는 경우가 있나.
▲ 위장관 이물에 대한 치료는 이물의 위치, 종류, 삼킨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홍합, 조개껍데기 등 크기가 크고 불규칙한 경우 음식물이나 물로 넘기려 하다가 식도 파열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의 경우 처음부터 반드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식도 파열은 가슴 정중앙 부위의 종격동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이 경우 사망률이 20~30% 정도로 매우 위험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