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생선 가시 목에 걸렸을 때 '맨밥' 삼키면 위험

  • 문화
  • 건강/의료

[건강]생선 가시 목에 걸렸을 때 '맨밥' 삼키면 위험

따뜻한 물 마시며 증상 지속되는지 살펴야
이물질 크기 크고 불규칙한 경우 응급상황

  • 승인 2020-07-12 12:11
  • 신문게재 2020-07-13 10면
  • 박병주 기자박병주 기자
홍성엽 교수1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홍성엽 교수
주말 저녁 식구들과 생선회와 매운탕을 먹은 A(45) 씨는 식사 후반 갑자기 극심한 목통중과 이물감을 느꼈다. A 씨는 급하게 찾은 병원 응급실에서 응급으로 내시경을 받았고 손톱 크기만 한 생선 아가미를 제거했다. 황당한 경험에 헛웃음이 났지만, 의료진으로부터 목숨을 위협할 수도 있는 응급질환이라는 설명을 듣고 놀랄 수밖에 없었다. 홍성엽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응급의학과 교수의 도움말로 식사 도중 이물질이 걸렸을 때 응급대처법에 대해 알아본다.



-위장관 이물질 사고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



▲위장관 이물은 주로 기어 다니거나 치아가 발달하고 사물을 잡을 수 있는 능력이 생기는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의 어린이에서 주로 발생하지만, 성인에서도 흔치 않게 생기는 돌발사고다. 소아 이물은 동전과 작은 플라스틱 장난감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머리핀, 열쇠, 바둑돌, 장신구, 바늘, 못 등 매우 다양하다. 특히 자석과 디스크 전지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성인의 경우 생선 뼈, 닭 뼈, 고기, 떡 등의 음식 이물 등으로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흔하다.



-맨밥이나, 식초, 콜라 등이 이물질을 내려가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데.



▲ 민간요법으로 알려진 몇 가지에 방법 중 맨밥을 삼키는 것을 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살짝 박힌 이물질을 더 깊이 밀어 넣을 수 있어서 조심해야 한다. 쉽게 뺄 수 있은 것을 더 제거하기 힘들게 하기 때문이다. 또 식초, 레몬, 콜라 등도 식도에 더 큰 화학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피해야 한다. 간혹 거울을 보고 손으로 빼내는 것을 시도하다 병원에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 방법은 구역을 유발하면서 가시가 더 깊이 들어가거나 아래로 이동하면서 더 빼기 힘들어지게 한다. 위의 방법들은 모두 상처를 내고 염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좋은 방법이 아니다.



-가시나 닭 뼈가 걸렸다는 생각이 들면 무조건 병원에 가야 하나.

▲ 생선 가시나 닭 뼈가 목에 걸렸을 경우 정답은 '물을 몇 번 마셔보고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에 가야 한다'이다. 목에 생선 가시 등이 걸렸다면 따뜻한 온도의 물을 마셔서 자연스럽게 내려갈 수 있도록 시도를 해 보고 증상이 지속되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병원에서는 대부분 혀 아래나 편도 주위를 의료용 라이트를 비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패하면 후두경 등으로 목 깊은 곳을 진찰하고 빼내게 된다. 인후두부에도 없으면 식도내시경을 통해 식도 전체를 관찰하면서 제거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하지 않고 주간일 경우 이비인후과 등에 내원해 목 부분을 진찰하고 제거를 시도해 보고 불가능하면 병원 응급실을 찾으면 된다. 야간이나 취약시간에는 병원 응급실을 방문해 진찰을 받는 것이 도움된다.



-응급질환으로 곧바로 병원으로 가야 하는 경우가 있나.

▲ 위장관 이물에 대한 치료는 이물의 위치, 종류, 삼킨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홍합, 조개껍데기 등 크기가 크고 불규칙한 경우 음식물이나 물로 넘기려 하다가 식도 파열을 유발할 수 있는 이물질의 경우 처음부터 반드시 병원으로 가야 한다. 식도 파열은 가슴 정중앙 부위의 종격동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고 이 경우 사망률이 20~30% 정도로 매우 위험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준비 안된 채 신입생만 받아"… 충남대 반도체 공동 연구소 건립 지연에 학생들 불편
  2. '복지부 이관' 국립대병원 일제히 반발…"역할부터 예산·인력충원 無계획"
  3. '수도권 대신 지방의료를 수술 대상으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우려'
  4. 설동호 대전교육감 "수험생 모두 최선의 환경에서 실력 발휘하도록"
  5. 대전시의회 교육위 행정사무감사…학폭 예방 교육 실효성·대학 사업 점검
  1. '국힘 VS 민주당' 2026 세종시 리턴매치, 총성 울린다
  2. 가원학교 건물 흔들림 원인 밝혀지지 않았는데 증축 공사?… 행감서 질타
  3. 2025 '도전! 세종 교육행정' 골든벨 퀴즈 대회 성료
  4. 세종교육청 '수능' 앞둔 수험생 유의사항 전달
  5. 대전대 사물인터넷 혁신융합대학, 12개 기업과 인재 양성 업무 협약

헤드라인 뉴스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늦어지는 팩트시트… "관세 인하 언제쯤?" 지역 수출기업 답답

한미 정상회담 이후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 발표 지연으로 실질적인 관세인하가 불투명해지면서 지역 수출기업들이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 11일 지역 경제계 등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주간인 10월 29일 경주에서 정상회담를 갖고 관세·안보 협상을 포함한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당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양국 간 세부 합의 내용은 거의 마무리됐으며, 팩트시트는 2~3일 내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지만, 열흘이 지난 현재까지 팩트시트는 발표되지 않았고 25%의..

검찰, 1년간 피해자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검찰, 1년간 피해자 110명에 94억 편취한 캄보디아 범죄조직원 53명 구속 기소

대전지방검철청 홍성지청이 1년간 110명으로부터 94억 원을 편취한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 53명을 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수사를 통해 범죄수익 4억 2000여만 원을 추가로 밝히는 동시에 보이스피싱 총책의 신원을 확인, 해외 공조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홍성지청은 12일 오전 청내 대회의실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캄보디아·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 거점을 둔 기업형 국제 보이스피싱 조직원을 구속 기소, 범죄수익 박탈을 위해 피고인들 전원의 금융계좌·가상자산 계정 등에 대한 추징보전을 청구했다. 특경(사기), 범죄수익은닉규제법위반..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조선시대 해안 방어의 핵심 거점…'서천읍성' 국가유산 사적 지정

국가유산청은 충남 서천군에 위치한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조선 세종(1438~1450년) 무렵에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던 왜구를 막기 위해 쌓은 성으로, 둘레 1645m 규모에 이른다. 조선 초기 국가가 해안 요충지에 세운 방어용 읍성인 연해읍성 가운데 하나다. 산지 지형을 활용해 쌓은 점이 특징이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 속에서도 성벽 대부분이 원형을 유지해 보존 상태가 우수하다. 현재 전체 둘레의 약 93.3%(1535.5m)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혼잡 없이 수능 시험장 찾아가세요’

  •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국제 육군 M&S 학술 컨퍼런스 및 전시회

  •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2025년산 공공비축미곡 매입 시작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답지 전국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