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뇌연구원 주재열(맨 오른쪽) 선임연구원과 연구진. 왼쪽부터 양수민, 임기환, 김성현 연구원. 뇌연구원 제공 |
고령의 중증 치매 환자일수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걸릴 가능성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치매와 코로나19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첫 사례로 의의다.
13일 한국뇌연구원(KBRI)에 따르면 주재열·임기환 박사가 고령의 알츠하이머 환자에게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수용체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Ace2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에 침입할 때 이용하는 수용체다.
주재열·임기환 박사 연구팀은 코로나19에 감염된 70대 이상 고령자 중 특히 기저질환자의 사망률이 높은 것을 보고 치매와의 연관성을 뇌질환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알츠하이머 질환을 앓는 고령 환자의 뇌조직과 혈액의 유전체 정보가 담긴 빅데이터와 전사체 분석기법(RNA 시퀀싱)을 통해 Ace2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일반 노년층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는 노년층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세포 안으로 끌어들이는 Ace2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 알츠하이머 모델 실험용 쥐의 뇌조직에서도 같은 변화가 있었다.
또 치매 초기·경증·중증 환자그룹 유전체를 분석을 통해 치매가 진행될수록 Ace2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Ace2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결합해 세포 내 침입을 돕기 때문에 Ace2가 많이 발현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큰 감염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코로나19 간 상관관계를 새롭게 보고해 고령의 치매 환자가 일반 노인보다 코로나19에 더 취약하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으로 퇴행성 뇌질환을 기저질환으로 가지고 있는 노년층에 대한 새로운 진단 접근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주재열 박사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기쁘다"며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이라면 코로나19 예방에 더욱 신경써야 하며 우리 사회 각계에서도 치매 노인 환자에게 따뜻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감염저널(Journal of Infection)' 6월 30일 자 온라인판에 '고령의 알츠하이머 질환 환자의 뇌에서 코로나 감염증 유발 바이러스 SARS-CoV-2 수용체 Ace2 유전자의 발현 분석'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한편, 한국뇌연구원은 '뇌연구촉진법'에 따라 뇌 분야 연구와 그 이용·지원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고 뇌 분야 학계·연구기관·산업계 간 유기적 협조체제 유지·발전을 위해 2011년 설립됐다. 뇌신경망·뇌질환 전반에 걸친 융합적 연구 수행을 통해 차세대 뇌연구의 선도적 역할 수행을 하고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직할 연구기관이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