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령청소년자치마을학교 교사와 참가 학생들이 보령 도시재생지원센터 세미나실에서 회의를 하고 있다. |
보령시 원도심에 있는 전통시장, 토요일이 되면 보령청소년자치마을학교에서 마을을 공부하는 대천여고 학생들이 마을교사들과 함께 나타난다. 보령에는 4곳의 전통시장이 있는데 마을교사들은 청소년들이 원도심을 제대로 이해하고 고민하도록 안내한다. 청소년들은 마을교사들과 함께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원도심 곳곳을 누비며 무엇이 있는지, 어떤 모습인지를 자세히 살펴본다.
![]() |
보령지역 전통시장 중 한 곳인 현대시장을 찾아간 청소년자치마을학교 학생들. |
요즘 마을학교 청소년들에게 주어진 미션은 '원도심에서 청소년들이 놀아보는 것'이다. 마을교사와 함께 청소년의 시각과 입장에서 원도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찾고 있다. 이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거의 모든 것을 주도하며, 스스로 탐구하고 대안도 찾는다. 청소년들은 실제로 상징물을 디자인하기도 하고, 원도심 주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추억이 될 만한 즐거운 놀이도 준비하고 있다.
조형석 마을교사는 "마을학교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자치'를 경험해보고 마을 주민과 함께하는 좋은 추억을 쌓으면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즐거움을 누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보령펀펀마을학교 교사가 마을공원에서 아이들에게 나뭇잎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지난 어느 목요일 오후 동네 초등학생들이 보령시 동대동 휴먼시아 아파트 옆 마을공원에 모여있다. 보령펀펀마을학교 마을교사의 나뭇잎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서 아이들은 나뭇잎을 자세히 들여다본다. 그 속에는 벌레가 파먹은 구멍이 있고 여러 가지 색깔이 들어있다.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애벌레로 옮겨가더니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햇빛과 세상에 있는 다양한 색상으로 확장된다.
아이들은 평소에 생각 없이 스쳐 지나치던 나뭇잎을 호기심 가득한 눈으로 바라본다. 마을공원 이곳저곳에서 나뭇잎을 파먹는 애벌레를 찾다가 곤충을 발견하기도 하고 땅벌을 잡기도 한다. 물론 아이들을 데리고 온 엄마들도 빠질 수 없어 아이들과 함께 웃음꽃을 피운다.
![]() |
애벌레와 곤충을 찾아나선 아이들. |
한편 독서교육에 많은 경험이 있는 한 마을교사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아이들과 함께 책을 들고 마을공원을 찾아 자연과 교감하는 독서활동을 준비하고 있다. 이처럼 아파트 옆 마을공원은 재미난 놀이터이자 색다른 학습공간이 된다.
펀펀마을학교 관계자는 "아이들이 자연에서 나무와 풀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함께 손잡고 노는 공동체놀이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창이 더욱 넓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보령책놀이마을학교 체험수업 모습. |
학교가 끝나면 집에서 돌볼 수 없는 아이들과 학원을 가지 않는 아이들은 갈 곳이 없다. 학교 돌봄교실과 지역아동센터만으로는 모든 아이들을 돌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보령에는 학교가 끝난 후에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이 적지 않다.
보령행복교육지구 사업을 계기로 도서관활동가들과 학부모들이 의기 투합해 만든 곳이 '보령책놀이마을학교'다.
보령책놀이마을학교는 매주 화·수·목요일 오후 5~7시 운영하고 있지만, 아이들은 오후 3~4시에도 마을학교를 찾아오곤 한다. 이때부터 마을교사들은 아이들에게 간식을 챙겨주고, 돌보는 등 바빠지기 시작한다.
마을학교에서는 기본적으로 책읽기를 중심으로 미술, 음악, 언어, 공예 등의 다양한 활동을 진행한다. 요즘 마을교사들은 아이들을 데리고 보령시내 곳곳을 찾아다니는 마을 마실을 준비하고 있다. 마을교사들은 마을 구석구석을 찾아보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들이 자신의 삶의 터전인 마을을 보다 잘 이해하게 되고, 마을주민들 또한 아이들이 모두의 아이들로 자라도록 관심을 갖도록 힘쓸 계획이다.
![]() |
서정문 보령교육장이 보령책놀이마을학교의 수업을 참관하고 있다. |
내포=김흥수 기자 soooo08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