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열병은 벼의 전 생육기간에 걸쳐서 발생하는데, 특히 비가 자주 오고 서늘한 날이 지속될 때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시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현재 지역 내 여러 필지에서 잎도열병이 발견되고 있으며, 벼 이삭이 패기 시작하면 이삭도열병으로 번져 이삭목, 이삭가지, 벼알 등에 발생할 우려가 크므로 발생 초기에 신속한 방제가 필요하다.
잎도열병 초기증상은 잎에 마름모양의 작은 병 무늬가 생기며 진전되면서 불규칙한 병 무늬로 변해 회녹색에서 회갈색으로 변질된다.
또, 심하면 벼 포기가 주저앉는 현상이 나타나며, 방제 시기를 놓치면 미질이 하락하고 수확 수량이 많이 감소하게 된다.
잎집무늬마름병(문고병) 또한 긴 장마로 인해 습하고 바람이 통하지 않아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출수 전 비가 멈춘 틈을 타 도열병 방제와 동시에 약제를 살포해야 한다.
배철호 농업소득과장은 "올여름은 긴 장마로 습도가 높고 여름 평균 기온이 낮아 도열병 등 병이 발생하기 좋은 조건이 되었다"라며 "신속하게 방제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충주=최병수 기자 cbsmit@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