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도 명량대첩로 수중문화재 탐사 지역. 지질연 제공 |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포항지질자원실증연구센터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12일부터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수중문화재 공동탐사를 진행한다. 두 기관은 2017년 수중문화재 조사와 해양탐사장비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후 매년 수중문화재 탐사기술 고도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공동연구는 오는 2027년까지 계속된다.
이번 공동탐사 지역은 명량해전이 일어났던 울돌목에서 남동쪽으로 4㎞가량 떨어져 있다. 관련 유물을 포함한 역사의 흔적이 확인된 곳으로 탐사적 가치가 크다. 탐사지역은 2012년부터 현재까지 총 7차례에 걸친 조사를 통해 다량의 도자기와 전쟁유물 등이 발굴된 바 있다.
해당 지역은 수심 5~20m가량으로 비교적 얕은 편으로 분류된다. 심해에서 사용하던 탐사 장비는 규모가 커 연근해에서 사용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한국지질자원 연구진이 개발한 연근해 3차원 탄성파 탐사시스템(EOS3D·Engineering Ocean Seismic 3D)을 활용해 탐사에 나선다.
![]() |
연근해 3차원 탐사 시스템의 EOS-Wing 기술 모식도 |
EOS3D는 연근해 저수심 해역의 3차원 해저 지질구조와 매우 얕은 지역의 매몰체(埋沒體)를 고해상도로 영상화할 수 있다. 중대형 탐사선박의 연안접근성과 효율성을 보완하기 위해 소형선박을 이용한 첨단 해저 탄성파 탐사기술이다.
EOS3D시스템은 EOS-Wing과 EOS-Streamer로 구성돼 있는데 이번 수중문화재 탐사에 운용되는 EOS-Wing은 주로 수심 5~30m에서 운용된다. 해저전력케이블·연안 모니터링과 같이 해저면 구조와 매몰 이상체를 3차원으로 분석하기 위해 주로 활용된다.
김복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은 "이번 공동탐사는 우리의 문화유산의 보존에 있어 과학기술이 효과적으로 적시에 활용된 우수사례"라며 "앞으로 소중한 우리 문화재의 발굴과 보존을 위한 연구 기술 저변 확대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지속가능한 안전·풍요사회 실현의 지질자원기술 솔루션 리더'라는 비전으로 국내외 육상·해저 지질조사와 지하자원의 탐사·개발·활용, 지질재해·지구환경변화 대응 연구개발을 실시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 출연연구원이다. 1918년 지질조사소를 기원으로 1948년 9월 중앙지질광물연구소로 창립됐으며 2001년 현재 기관명으로 변경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