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역사는 반복된다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역사는 반복된다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양동길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10-0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역사를 돌아보다 보면, 좋은 일만 눈에 띄는 것은 아니다. 왜 이리 지리멸렬하고 어리석었을까? 무모한 일을 벌였을까? 의문이 드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경악하거나 울화통이 터지기도 한다. 문제는 그런 일이 현재에도 버젓이 만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왜일까? 역사는 반복된다는 서양 격언, '역사는 영원히 되풀이된다.'는 투키디데스(Thucydides, 생몰 미상, 그리스 역사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저자) 말을 되새기게 된다.

조선 시대 각종 시험이 많았다. 시험하면 누구나 과거(科擧)가 떠오를 것이다. 문과, 무과, 잡과(역과, 의과, 음양과, 율과) 등이 있었다. 고려 시대 실시되었던 승과는 폐지하였다. 인원이나 과정 등 시기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3년마다 정기적으로 선발하는 식년시, 경사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명명된 수시 시험이 있었다. 문과의 경우 예비고사라 할 초시, 복시에 합격하면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주었다. 선발된 사람은 생원, 진사라 칭했으며, 문신 선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다. 대과라 했는데, 대과 역시 두 번 치렀다.



세습되거나 시와 문장 유세로 등용되던 이전 시대에 견주어, 나름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인재 선발 방식이었다. 초기엔 상당히 엄정을 기했던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지나면서, 여느 분야와 다름없이 제도, 구조, 방법 등이 문란해진다. 각종 부정행위가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된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급기야 과거제도 자체가 폐지된다. 958년(고려 광종 9년) 시작되어 무려 936년 동안 인재 등용의 산실이었다.

부정행위, 평생 시도조차 해보지 않은 정직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너나없이 하는 노골적 부정이 못마땅해 시험을 포기한 일도 있다. 붓대나 콧구멍, 속옷에 요약본 숨겨가기 등 엿보고 쓰는 것은 그나마 양반이다. 미리 문제지 빼내 알려준 일이 최근에도 있었다. 거짓과 기만, 기상천외한 술수가 이슈로 등장하여 갑론을박 중이다. 법이 문제가 아니다. 고금이 다르지 않아, 전하는 기록물이 많다. 답안지 미리 만들어가기, 시험지 바꿔치기, 결탁하여 채점자가 후한 점수 주거나 합격자 이름 바꾸기, 다른 사람 글을 복제하거나 대작과 대필 하기 등 수법이 헤아릴 수 없다. 심지어 담장 밖에서 과장 안과 대나무 통으로 문제와 답지를 주고받기도 했다.



정조실록 24년 기록에는 과거 지원자가 많아 문과 무과 각 3곳에 과장을 설치하였다. 왕세자 책봉을 기념하여 특별히 열리는 정시(庭試)였다. 3월 21일과 22일 이틀간 참여한 응시자 수가 무려 21만 5417명이었다 한다. 지금으로 쳐도 어마어마한 숫자이나 당시 한양 인구 20 ~ 30만으로 추산할 때 놀랍지 않을 수 없다.

왜 이렇게 과거시험에 매달렸을까? 과거시험 통하여 벼슬길에 오르는 것이 최대의 효이자 충이며, 거의 출세의 시작이요 가문의 최대 영광이었다. 문과의 경우 3년에 보통 33명 선발했으니 실로 맹구우목(盲龜遇木)이었다. 나라에 문과 자리는 통틀어 500여 개에 지나지 않아 합격한다 해도 벼슬길 오르기가 쉽지 않았다. 등용문은 좁고 인재는 넘쳐, 당파싸움 근원이 예에 있다는 견해가 있을 정도다.

지나치게 많은 사람 응시에 당일 발표하는 결과가 어찌 정상적으로 평가되겠는가? 남보다 빠르게 시험문제를 보고 신속하게 답안을 제출하는 것이 유리하다 생각했다. 과장에 먼저 들어가기 위해 전날부터 진 치고 있었다. 자리다툼이 치열하여 재빠르게 뛰어 들어가 일산을 피고 등을 밝혔다. 신속한 답안 작성도 필수였다. 당연히 여러 사람이 동원되었다. 과거 보는 당사자는 물론, 자리 잡아주는 선접(先接), 대신 답안 작성하는 거벽(巨擘), 대필해주는 사수(寫手), 심부름하는 노비 등 6명 이상이 한팀이 되어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 정작 당사자는 하는 일 없이 우두커니 자리 차지하고 앉아 시간을 보냈다.

김홍도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김홍도, 비단에 수묵담채, 37.5㎝ × 71.5㎝
이런 현장을 생생하게 고발하는 그림이 김홍도 필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이다. 봄날 과거 시험장 새벽 풍경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윗단 내용의 한팀이 그림 중하단에 온전하게 묘사되어 있다. 김홍도의 스승인 강세황 제발이 내용을 잘 설명해 준다. 경주대학교 정병모 교수가 해석한 글을 옮겨보자.

"봄날 새벽의 과거시험장, 수많은 사람들이 과거 치르는 열기가 무르익어, 어떤 이는 붓을 멈추고 골똘히 생각하며, 어떤 이는 책을 펴서 살펴보며, 어떤 이는 종이를 펼쳐 붓을 휘두르며, 어떤 이는 서로 만나 짝하여 얘기하며, 어떤 이는 행담(行擔)에 기대어 피곤하여 졸고 있는데, 등촉은 휘황하고 사람들은 왁자지껄하다. 모사(模寫)의 오묘함이 하늘의 조화를 빼앗는 듯하니, 반평생 넘게 이러한 곤란함을 겪어본 자가 이 그림을 대한다면, 자신도 모르게 코끝이 시큰해질 것이다. 강세황.(貢院春曉萬蟻戰, 或有停毫凝思者, 或有開卷考閱者, 或有展紙下筆者, 或有相逢偶語者, 或有倚擔困睡者, 燈燭熒煌人聲搖搖, 摸寫之妙可奪天造, 半生飽經此困者, 對此不覺幽酸. 豹菴)"

오늘날 시각으로 보아도 구도나 묘사가 돋보이는 이 그림은 김홍도가 풍속화 전성기인 30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동란에 참전했던 미 해군 Gene J. Kuhn이 1953년 그림을 사서 가지고 가 소장하였다. 다시 Patrick Patterson씨가 구입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서울옥션이 구입 환수해서 고국으로 돌아왔다는 소식이다.

그림이 곧 역사이기도 하다. 이참에 그릇된 일은 반복되지 않기를, 참다운 과거와의 대화로 역사가 미래의 시금석이 되기를 소망해 본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202009250100205640007814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2. 애터미 '사랑의 김장 나눔'… "3300kg에 정성 듬뿍 담았어요"
  3.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4. "철도 폐선은 곧 지역소멸, 대전서도 관심을" 일본 와카사철도 임원 찾아
  5. 전기차단·절연 없이 서두른 작업에 국정자원 화재…원장 등 10명 입건
  1. 30일 불꽃쇼 엑스포로 차량 전면통제
  2.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7대 광역시 중 두번째
  3. "르네상스 완성도 높인다"… 대전 동구, '주요업무계획 보고회'
  4. 코레일, 겨울철 한파.폭설 대비 안전대책 본격 가동
  5. 대전권 14개 대학 '늘봄학교' 강사 육성 지원한다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李정부 '공무원 복종의무' 삭제추진에 대전 관가 설왕설래

이재명 정부가 국가공무원법상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입법예고 한 것을 둘러싸고 지역 관가에서 설왕설래가 뜨겁다. 일선 현장에선 76년 만에 독소조항 폐지 기대감으로 공정하고 투명한 공직 문화 정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 환영기류가 우세하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장 일각에선 개정안 국회 통과 때 자칫 지휘체계가 휘청이면서 오히려 주민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26일 대전 지역 공직사회에 따르면 인사혁신처가 전날 입법 예고한 국가공무원법 상의 '공무원의 복종 의무'를 삭제하는 개정안을 둘..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이번엔 반려동물 간식… 바이오 효소 들어간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

대전시는 26일 시청 응접실에서 대전관광공사, ㈜인섹트바이오텍과 함께 '꿈돌이 닥터몽몽' 출시를 위한 공동브랜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캐릭터 중심의 제품을 넘어 지역 재료·스토리·생산기반을 더 촘촘히 담아야 한다는 취지로 대전의 과학·바이오 정체성을 상품에 직접 반영하려는 시도다. 이번에 출시 준비 중인 '꿈돌이 닥터몽몽'은 인섹트바이오텍의 연구 포트폴리오로 알려진 자연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아라자임) 등 바이오 효소 기술을 반려동물 간식 제조공정 단계에 적용해 기호성과 식감 등 기본 품질을 고도화한 것이 특징이다. 인섹..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안전상식 겨룬 초등생들의 한판…공주 대표 퀴즈왕 탄생

열띤 경쟁 속에서 펼쳐진 공주시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25일 공주환경성건강센터에서 공주시와 중도일보가 주최·주관한 '2025 공주 어린이 안전골든벨'이 열렸다. 이날 행사는 안전에 취약한 어린이들이 안전 상식을 재밌는 퀴즈로 풀며 다양한 안전사고 유형을 학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74명의 공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대회에 참가해 골든벨을 향한 치열한 접전을 펼쳤다. 본 대회에 앞서 심폐소생술 교육이 먼저 진행되자 학생들은 교사의 시범을 따라가며 "이렇게 하는 거 맞나요?"라고 묻거나 친구에게 압박 리듬을 맞춰보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대전시청에 뜬 무인파괴방수차와 험지펌프차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