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역사는 반복된다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역사는 반복된다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양동길 /시인, 수필가

  • 승인 2020-10-0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역사를 돌아보다 보면, 좋은 일만 눈에 띄는 것은 아니다. 왜 이리 지리멸렬하고 어리석었을까? 무모한 일을 벌였을까? 의문이 드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경악하거나 울화통이 터지기도 한다. 문제는 그런 일이 현재에도 버젓이 만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왜일까? 역사는 반복된다는 서양 격언, '역사는 영원히 되풀이된다.'는 투키디데스(Thucydides, 생몰 미상, 그리스 역사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저자) 말을 되새기게 된다.

조선 시대 각종 시험이 많았다. 시험하면 누구나 과거(科擧)가 떠오를 것이다. 문과, 무과, 잡과(역과, 의과, 음양과, 율과) 등이 있었다. 고려 시대 실시되었던 승과는 폐지하였다. 인원이나 과정 등 시기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3년마다 정기적으로 선발하는 식년시, 경사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명명된 수시 시험이 있었다. 문과의 경우 예비고사라 할 초시, 복시에 합격하면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을 주었다. 선발된 사람은 생원, 진사라 칭했으며, 문신 선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다. 대과라 했는데, 대과 역시 두 번 치렀다.

세습되거나 시와 문장 유세로 등용되던 이전 시대에 견주어, 나름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인재 선발 방식이었다. 초기엔 상당히 엄정을 기했던 것으로 보인다. 시간이 지나면서, 여느 분야와 다름없이 제도, 구조, 방법 등이 문란해진다. 각종 부정행위가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된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급기야 과거제도 자체가 폐지된다. 958년(고려 광종 9년) 시작되어 무려 936년 동안 인재 등용의 산실이었다.

부정행위, 평생 시도조차 해보지 않은 정직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너나없이 하는 노골적 부정이 못마땅해 시험을 포기한 일도 있다. 붓대나 콧구멍, 속옷에 요약본 숨겨가기 등 엿보고 쓰는 것은 그나마 양반이다. 미리 문제지 빼내 알려준 일이 최근에도 있었다. 거짓과 기만, 기상천외한 술수가 이슈로 등장하여 갑론을박 중이다. 법이 문제가 아니다. 고금이 다르지 않아, 전하는 기록물이 많다. 답안지 미리 만들어가기, 시험지 바꿔치기, 결탁하여 채점자가 후한 점수 주거나 합격자 이름 바꾸기, 다른 사람 글을 복제하거나 대작과 대필 하기 등 수법이 헤아릴 수 없다. 심지어 담장 밖에서 과장 안과 대나무 통으로 문제와 답지를 주고받기도 했다.



정조실록 24년 기록에는 과거 지원자가 많아 문과 무과 각 3곳에 과장을 설치하였다. 왕세자 책봉을 기념하여 특별히 열리는 정시(庭試)였다. 3월 21일과 22일 이틀간 참여한 응시자 수가 무려 21만 5417명이었다 한다. 지금으로 쳐도 어마어마한 숫자이나 당시 한양 인구 20 ~ 30만으로 추산할 때 놀랍지 않을 수 없다.

왜 이렇게 과거시험에 매달렸을까? 과거시험 통하여 벼슬길에 오르는 것이 최대의 효이자 충이며, 거의 출세의 시작이요 가문의 최대 영광이었다. 문과의 경우 3년에 보통 33명 선발했으니 실로 맹구우목(盲龜遇木)이었다. 나라에 문과 자리는 통틀어 500여 개에 지나지 않아 합격한다 해도 벼슬길 오르기가 쉽지 않았다. 등용문은 좁고 인재는 넘쳐, 당파싸움 근원이 예에 있다는 견해가 있을 정도다.

지나치게 많은 사람 응시에 당일 발표하는 결과가 어찌 정상적으로 평가되겠는가? 남보다 빠르게 시험문제를 보고 신속하게 답안을 제출하는 것이 유리하다 생각했다. 과장에 먼저 들어가기 위해 전날부터 진 치고 있었다. 자리다툼이 치열하여 재빠르게 뛰어 들어가 일산을 피고 등을 밝혔다. 신속한 답안 작성도 필수였다. 당연히 여러 사람이 동원되었다. 과거 보는 당사자는 물론, 자리 잡아주는 선접(先接), 대신 답안 작성하는 거벽(巨擘), 대필해주는 사수(寫手), 심부름하는 노비 등 6명 이상이 한팀이 되어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다. 정작 당사자는 하는 일 없이 우두커니 자리 차지하고 앉아 시간을 보냈다.

김홍도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 김홍도, 비단에 수묵담채, 37.5㎝ × 71.5㎝
이런 현장을 생생하게 고발하는 그림이 김홍도 필 <공원춘효도(貢院春曉圖)>이다. 봄날 과거 시험장 새벽 풍경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윗단 내용의 한팀이 그림 중하단에 온전하게 묘사되어 있다. 김홍도의 스승인 강세황 제발이 내용을 잘 설명해 준다. 경주대학교 정병모 교수가 해석한 글을 옮겨보자.

"봄날 새벽의 과거시험장, 수많은 사람들이 과거 치르는 열기가 무르익어, 어떤 이는 붓을 멈추고 골똘히 생각하며, 어떤 이는 책을 펴서 살펴보며, 어떤 이는 종이를 펼쳐 붓을 휘두르며, 어떤 이는 서로 만나 짝하여 얘기하며, 어떤 이는 행담(行擔)에 기대어 피곤하여 졸고 있는데, 등촉은 휘황하고 사람들은 왁자지껄하다. 모사(模寫)의 오묘함이 하늘의 조화를 빼앗는 듯하니, 반평생 넘게 이러한 곤란함을 겪어본 자가 이 그림을 대한다면, 자신도 모르게 코끝이 시큰해질 것이다. 강세황.(貢院春曉萬蟻戰, 或有停毫凝思者, 或有開卷考閱者, 或有展紙下筆者, 或有相逢偶語者, 或有倚擔困睡者, 燈燭熒煌人聲搖搖, 摸寫之妙可奪天造, 半生飽經此困者, 對此不覺幽酸. 豹菴)"

오늘날 시각으로 보아도 구도나 묘사가 돋보이는 이 그림은 김홍도가 풍속화 전성기인 30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동란에 참전했던 미 해군 Gene J. Kuhn이 1953년 그림을 사서 가지고 가 소장하였다. 다시 Patrick Patterson씨가 구입하는 등 우여곡절 끝에 서울옥션이 구입 환수해서 고국으로 돌아왔다는 소식이다.

그림이 곧 역사이기도 하다. 이참에 그릇된 일은 반복되지 않기를, 참다운 과거와의 대화로 역사가 미래의 시금석이 되기를 소망해 본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202009250100205640007814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5.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1.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2.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