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자용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대학의 이공계 교수들은 유사과학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질문에 시달린다. 모두가 잘못된 지식과 믿음에 기반한 것들인데 교수가 설명해도 이들은 그것을 이해하지도 못하고 절대 받아들이지도 않는다. 인터넷에는 유사과학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특징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둔 곳도 많다. 물리학의 영역에 속하는 유사과학의 단골 메뉴에는 에너지 공급 없이도 계속 일하는 영구기관이 있고 심령현상과 초능력을 다루는 신과학도 있다.
정치와 경제 등의 분야를 주로 다루는 월간지 신동아에서 2007년 8월 뜬금없이 특집 과학 기사를 실었다. 재야 과학자가 오랜 기간 심혈을 기울여 개발했다는 제로존 이론은 노벨상 0순위라고 주장했고 다른 많은 언론에서도 인용 보도했다. 제로존 이론은 언론 보도를 근거로 정부 연구비를 신청했고 다른 한편으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검증을 요청했다. 표준연에서는 전문가들의 검토 후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판정했고 제로존 이론이 시끄러워지자 한국물리학회에서 별도로 검증했으나 역시 같은 결과였다.
이것의 핵심은 미터, 킬로그램, 초 등의 여러 단위를 수로 치환했더니 기존의 물리학 방정식들이 모두 잘 맞았고 그래서 아예 모든 단위를 수로 바꾸어 단위를 없애면 과학에 혁명이 일어난다는 것이었다. 물리학의 방정식들은 원래 실험으로 검증된 것으로 21세기 인류문명의 바탕인데 단위를 수로 바꾼다고 틀릴 리가 없다. 항상 잘 맞아야 한다. 아무튼, 중학생이라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라 "진리는 아름답다더니 어렵다는 물리학의 정수는 알고 보니 이렇게 쉽고 단순했구나"하고 열광하는 추종자들도 많이 생겼다. 과학에 무지한 기자가 보도했고 대학 부총장을 지낸 공학박사와 유명 의대 교수도 적극 지지했다. 물리학 이론이라면서 물리학과 아무런 관련도 없는 온갖 철학자들의 어록을 다채롭게 인용하면서 자신들만의 성곽을 구축했다.
이들의 요청으로 2010년 3월에는 한국 과총에서 새로운 과학이론에 대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물리학 분야의 전문가로는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와 내가 참석했고 물리학에 문외한인 사람들이 제로존 이론의 옹호자로 지원사격을 했다.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 물리학자의 부정 평가를 제로존 이론 측이 거부했다. 제도권 과학자들이 밥그릇을 지키기 위해 대한민국 자생의 혁신적인 성과를 거부한다는 음모론이었다. 그럴 거면 토론회는 왜 요청했나?
제로존 이론이 세상에 등장한 지 13년이 지났다. 노벨상 0순위라고 광고했으나 성과가 나올 리 없으니 추종자들은 떠났다. 그 이론의 주창자는 이익을 얻었겠지만, 전문가들의 평가를 배척하고 시간과 돈을 써가며 열광적으로 따라다녔던 사람들은 그만큼 인생을 낭비했다.
어느 분야에서나 혁신을 이루려면 기존의 전문가들과 대결해서 자신의 성과를 증명하면 된다. 과거의 혁신들은 모두 이런 검증 과정을 거쳤다. 새로운 주장에 대해 궁금하면 전문가들의 평가를 들어야 한다. 제도권 전문가들을 음모론으로 비난하고 외곽으로 피해 다니는 사람은 사기꾼이다. 잘못된 신념으로 이런 사기꾼들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은 인생의 낭비다.
구자용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