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원료가 되는 유정란의 톡신(독성물질)이나 균을 원인으로 지목하는 견해도 이날 나왔다. 추정 단계이지만, 신종플루 백신 개발자인 서상희 충남대 교수의 자문처럼 독감 백신 자체의 중증 부작용인지 유정란의 톡신 등이 선행요인인지도 밝혀내야 한다.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가 올 들어 유난히 많은 사실 또한 간과해선 안 된다. 부검과 조직검사로 확실해지기 전에는 접종 중단 신중 모드를 지지할 수 없다. 직접적 연관성은 낮다고 하지만 사망자가 연이어 발생하기 때문이다.
지금 단계에서는 제조 과정의 문제인지, 상온 노출 등 관리 부실인지 등 어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아야 한다. 여기에는 백신 독성 여부에 관한 것도 포함된다. 생산과 유통 단계, 접종 이전 과정의 전사조사도 진행해야 한다. 유통, 납품, 접종 전까지 백신 품질을 유지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일은 앞으로의 과제다. 우연의 일치로 동시 발생한다면 이 역시 투명하게 입증해야 할 사안이다. 이상이 없어야 안심하는 것이지 안심하라고 해서 안심하는 것은 아니다.
접종을 중단하면 독감 환자가 단기간에 증가할 수 있다는 걱정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인과관계가 불확실하니 계속 접종하겠다는 방안은 위험성을 내포한다. 지금이 예방접종을 중단할 때가 아니라고 해도 백신, 보관, 접종 각 단계에서 완전한 조사를 마칠 시점까지가 문제다. 백신이 무관하다면 진짜 사망 이유를 밝혀야 비로소 국민이 안심할 것이다. 독감보다 독감 백신에 희생되는 경우를 두려워하는 상황이 됐다. 원인 규명 때까지 일시적으로 백신 접종 중단을 검토해야 하는 이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