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2일 어시장에서 고추장담그기 체험행사 후 식품안전푸드케어 단체사진 |
지역사회에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식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당진 지역사회 단체들이 힘을 합쳤다.
당진시는 23일 지속가능발전 시민실천사업인 '시민 지속가능발전소'의 참여 공동체 '식품안전푸드케어'가 안전한 먹거리 문화 확산과 전통 식생활 문화 계승을 위해 나섰다고 밝혔다.
시민지속가능발전소는 당진을 실험실로 삼아 시민공동체가 직접 지속가능발전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실험 및 실천, 확산하는 활동을 한다. 즉, 지속가능한 역량 강화를 위해 단계별로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안전한 먹거리, 인권감수성, 대기질 인식교육 등 11개의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식품안전푸드케어(대표 곽민서)는 가정과 업소를 대상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식재료의 사용과 건강과 미래를 생각한 올바른 식습관 문화 조성을 위해 결성한 단체로 지난 8월부터 시 지속가능발전 시민실천사업을 통해 바른 먹거리로 전통밥상 만들기, 친환경 식재료 구매 교육, 푸드마일리지 알아보기 교육 등 지속가능하고 안전한 먹거리 보급 운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지난 22일에는 당진어시장 교육장에서 20여명의 회원이 참여한 가운데 당진지역 로컬푸드 재료를 사용하고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은 고추장 세트 60여개를 만들어 어려운 이웃을 위한 나눔 활동을 가졌다.
활동에 참여한 회원은 "최근 코로나19 발생으로 배달음식, 프랜차이즈 등 외식이 늘어나면서 전통과 안전으로 만들어지던 우리의 밥상이 위협받고 있는데 로컬푸드와 친환경 재료로 고추장을 직접 만들어 이웃과 나눔을 하게 돼 더 뿌듯하다"며 "지속가능한 실천 활동이 어렵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로컬푸드는 장거리 운송을 거치지 않은 지역농산물로 흔히 반경 50km 이내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지칭한다.
로컬푸드 판로 확대를 위해서 행동에 나서는 로컬푸드 운동은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단축시키고 신선한 식품을 공급하자는 취지로 출발됐다. 이는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이동거리를 최대한 줄여 농민과 소비자에게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는 선순환 공급체계로 이어진다.
국내에서는 전북 완주군이 2008년 국내 최초로 로컬푸드 운동을 정책으로 도입한 바있다. 당진=박승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