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존 한밭야구장 모습. 사진제공은 대전시 |
26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달 행안부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요청해 놓은 '베이스볼 드림파크(신축야구장)' 조성사업에 대한 결과가 이르면 다음 달 나올 전망이다.
중투 심사는 지방정부의 신규 투자사업 규모가 200억원 이상일 경우 사업 시행 전 진행하는 법적 절차다.
시는 지난 8월 완료한 '베이스볼 드림파크' 타당성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중앙투자심사를 의뢰한 상태다.
허태정 대전시장 주요 공약인 '베이스볼 드림파크'는 중구 부사동 한밭종합운동장을 허물고 2만2000석 규모의 신축 야구장을 2024년 말까지 건립하는 사업이다. 당초 추정 예산은 시비 663억 원, 국비 300억 원, 한화 이글스 430억 원 등 총 1393억 원이었으나, 지난 8월 행안부(한국지방행정연구) 타당성 조사에서 186억 원이 증액돼 1579억 원으로 늘었다. 증액된 사업비 186억원은 전액 시비로 반영했다.
증액된 사업비에는 신재생 에너지 관련 20억여 원과 광장 조성비, 친환경 에너지 효율화 인증 비용, 고난도 설계에 따른 추가 용역·예비비 등이다.
시는 중투 심사 통과를 조심스럽게 낙관하고 있다. 타당성 용역 조사에서 현재의 한밭종합운동장의 수직·수평 증축이 사실상 불가능한 점이 확인되면서 신축 야구장 조성의 당위성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다만, 행정안전부가 코로나19 장기화 등으로 국가 재정 상태가 좋지 않은데 다 지자체가 전문체육시설을 건립할 경우 향후 시설 운영을 위한 예산 투입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해 지자체의 전문체육시설 건립에 부정적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현재 지역 구단인 한화 이글스가 최하위를 확정하는 등 성적이 좋지 않고, 코로나19로 프로스포츠에 대한 관람 자체가 힘들어지면서 대전시민의 외면을 받고 있는 점도 사업추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시는 이 같은 부정 요소 해결이 가능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12월 시는 대전을 연고지로 하는 프로야구단 한화이글스와 총 사업비의 30.9%인 430억원을 부담하는 내용이 담긴 베이스볼 드림파크 조성사업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여기에 심사 통과 후 신축 야구장 기본 설계 절차가 마무리되면, 한국감정원 또는 전문 연구기관의 원가 분석을 통해 한화 이글스의 추가 투자도 고려할 수 있다.
국비 지원은 풀어야 할 과제다. 현재로선 최대 200억원 정도가 국비로 지원될 전망이어서 향후 지역 정치권과 연계해 중앙부처로부터 최대한 국비를 확보해야 한다. 단, 국제대회 유치에 성공하면 추가 국비 확보도 받을 수 있는 여지는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타당성 조사 등을 통해 베이스볼 드림파크 조성을 통한 지역 내 체육 인프라 확충이라는 당위성은 충분하다고 확인됐다"면서 "중투심사를 통과해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실시설계 용역 역시 이르면 올해 말 착수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