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순천향대가 '2019-2021 차세대 한국어인재양성과정'을 진행하면서 '전통의상의 날' 온라인 수업에서 각 국 학생들이 자국 전통의상을 입고 수업을 하고 있다.(사진=순천향대 제공) |
한국에 체류하면서 배우지 못하고 온라인으로 이번 과정에 참가하고 있는 연수생들은 각 국의 시차를 감안해 주중 오후 3시부터 7시까지 집중 연수가 진행되며, 한국어 수업은 초급과 중급 2개 반별로 편성돼 수업이 이루어지고 특강은 초, 중급반 연수생이 함께 수강하고 있다.
라오스, 이집트, 요르단, 우즈벡 국가의 경우 한국어학과가 있어서 중급실력의 학생들이 참여하지만 한국어 교사가 부족한 국가에서 참가한 학생들에게는 정확한 발음과, 말하기에 문제를 극복시키기 위해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한국어 교육이 부족한 중남미 국가나 아프리카의 경우 기본 교육과 한국문화 교육에도 비중을두고 있다. 한국어 강의는 유튜브에서 검색하면 워낙 많기 때문에 녹화는 변별성이 떨어짐에 따라 언어교육 특성상 효과성을 향상을 위해 실시간 강의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수과정에 참가하고 있는 각 국 학생들의 반응도 적극적이다
요르단 출신 레이안(20세, 여, Layan Mahmoud Hamd Allah Alsweilemeen)씨는 "한국어 수업 이후에 달라진 것은 요르단 현지에서도 한국어로 말할 수 있다는 것이 너무 좋다"라며 "요르단에서는 말 할 기회가 없어서 답답했지만 온라인 수업을 통해 연습하면서 실력이 향상되고 있다"며 만족해했다.
아산=남정민 기자 dbdb822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