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톡] 세상에 이런 기부도 있나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수필톡] 세상에 이런 기부도 있나

남상선 / 수필가, 대전가정법원 조정위원

  • 승인 2020-10-30 18:28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지인 한 분이 요양병원에 입원하여 문병을 간 일이 있었다. 환자마다 얼굴이 다르고 병세는 달랐지만 마음만은 하나였다. 환자마다 기다리는 것이 가족이고 그리움의 대상이 고향이었던 것이다.

환자들 마음은 기다리고 그리워하는 마음으로 모두가 그늘져 있음을 한 눈으로 읽을 수 있었다.

병상마다 얼씬거리는 사람 숫자만 봐도 어떤 병상은 개미새끼 한 마리 없었고 어떤 병상은 운이 좋았던지 가족들이 북적대고 있었다. 아마도 가족들이 날을 잡아 온 것이 틀림없는 것 같았다.

병상 몇 군데는 겨우 한 사람의 보호자가 있는 것으로 체면 유지가 된 듯했고 대부분 병상은 환자의 가쁜 숨소리만 들리는 것이 안타깝기 그지없었다.



간병하는 사람을 보아도 배우자가 대부분이었고, 아니면 유료 간병인이 가뭄에 콩 나듯 하고 있었다.

환자 할아버지 곁에는 할머니, 할머니 환자 옆에는 할아버지가 간병인으로 앉아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어쩌다 자식들의 얼굴이 보이는 병상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병상이 대부분이었다. 허나 요양호자, 할머니 할아버지 곁에는 가족이나 친척 아무도 없는, 사고무친(四顧無親)의 극노인도 있어서 안타까움을 더해 주고 있었다.

환자의 상태가 좀 양호한 사람은 휠체어를 타고 자리 이동까지 해가며 공용 TV를 시청하기도 했다.

하지만 휠체어를 타고 링거 바늘을 팔뚝에 꽂은 채 고향 하늘 쪽인지 가족이 있는 방향인지 열린 창문으로 하늘만 우두커니 쳐다보며 눈물만 글썽거리는 환자도 있어 마음을 애잔하게 하고 있었다.

이런 걸 본다면 늙어서 아프면 누구나 서러운 신세를 면할 수 없으니 아프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든 건강관리를 잘해 요양병원 신세를 지는 일만은 없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늙고 병들어 요양병원 신세를 진다면 제아무리 돈이 많고 천하를 호령할 만한 권세가 있다 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유행어가 되다시피 한 구구팔팔 이삼사( 구십구 세까지 팔팔하게 건강하게 살다가 2∼3일만 앓다가 4일만에 죽는다)가 떠올랐다.

또 사고무친(四顧無親)의 환자를 목격하고 보니 어느 병원에서 있었던 할아버지의 외로운 죽음이 떠올랐다. 군에 가 있는 외동아들을 기다리다 끝내 못보고 눈을 감으신 할아버지가 남의 이야기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안타까운 얘기지만 가슴 따뜻한 병사의 배려가 돋보이는 사연이었기에 같이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아무쪼록 삭막한 사회를 훈훈하게 만드는 촉진제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소개해 보고자 한다.

천사 같은 화제의 주인공이 전국 방방곡곡에서 제2, 제3의 병사가 돼 우후죽순처럼 나오길 기대해 본다.

인터넷을 검색하다 감동 사연의 실화 하나를 읽었다.

서울 종로 뒷골목에 살던 노인이 있었다. 일가친척 없이 외아들을 키워서 군대에 보냈던 노인은 심장병으로 119 구급차에 실려 갔다. 임종이 가까운 노인은 아들을 기다리고 있었다. 입원해 있으면서 죽을 시간만 기다리고 있는 노인이었다. 바로 몇 시간 전에 있었던 심장 마비와 강한 진통제 때문에 정신이 몽롱한 상태였다. 노인은 점점 가까워지는 임종의 시간을 맞고 있었다. 사망에 대비해서 간호사가 작성해야 할 서류도 준비돼 있었다. 노인의 정신은 누가 누군지도 알아보지 못할 만큼 혼미해졌다.

그 순간 간호사가 문을 열더니 큰 소리로 말했다.

"할아버지! 아드님이 왔습니다."

이때, 할아버지는 들었는지 못 들었는지 힘없이 고개를 돌렸다. 간호사가 다시 한 번 소리쳤다.

" 할아버지! 그렇게 기다리시던 아드님이 왔습니다."

그 소리와 함께 해병대 복장을 한 건강한 청년이 병실에 들어섰다.

할아버지는 이미 희미해진 의식 때문에 도무지 누구인지 알아 볼 수 없었고 말도 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그러나 아들이라 생각하니 마지막 힘을 다해 떨리는 손을 내밀었고, 그 청년은 할아버지의 손을 힘있게 잡았다. 두 사람의 체온과 말없는 교감은 그렇게 두 손을 통해 녹아들었다. 두 사람은 그렇게 손을 잡고 서로 아무 말도 없이 온 밤을 지새웠다.

간간히 체크하러 들어온 간호사들이 조금만이라도 눈을 붙이라고 했지만 청년은 고개를 가로저으며 손을 꼭 잡고 그대로 있었다.

드디어 동녘이 트일 무렵이 되었을 때 노인은 세상을 떠났다.

담당 간호사는 꽂아 놓았던 산소 호흡기며 주사 바늘을 다 뽑고 흰 천으로 노인의 얼굴을 덮었다.

그런데 뜻밖에도 청년이 간호사에게 물었다.

"그런데 저 노인은 누굽니까?"

"예? "

간호사가 도리어 놀랐다.

간호사는 아주 당황스러웠다.

"당신은 이 노인의 아들이 아닙니까? "

"아닙니다."

청년의 대답에 간호사는 어떻게 된 일이냐고 물었다.

"이 병실의 문을 여는 순간 저는 아차 했습니다. 무슨 착오가 생겼다는 것을 바로 직감했습니다. '이 노인의 아들과 내가 이름이 같은 동명이인인가 보다. 그래서 내가 여기 오게 됐구나.' 그러나 노인의 눈빛을 보는 순간 나는 도저히 '나는 당신의 아들이 아닙니다'라고 말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대로 자리를 지키고 임종을 맞게 한 것입니다. 아무도 없는 병실에 죽어가는 노인을 그냥 남겨 놓을 수가 없었습니다."

이렇게 이야기는 끝이 났다.

여러 분이 해병대 청년이라면 어떻게 했겠는가?

짧은 휴가를 애인 만나 달콤한 사랑 나누고, 가족과 친구를 만났을지 모른다.

허나 청년은 연고 없는 노인의 행복한 안도의 임종을 위해 사랑의 시간을 기부했다.

조건 없는 사랑의 기부!

세상에 이런 기부도 있나!

청년은 조건 없는 사랑의 기부로 외로운 영혼을 마음 편케 보낸 지상의 천사가 되었다.

기부는 반드시 물질로 할 필요는 없다.

세상을 바라보는 따뜻한 눈길과 손길, 따뜻한 가슴이면 족한 것이다.

우리도 이런 천사로 살아 볼 수는 없는 것일까!

남상선 / 수필가, 대전가정법원 조정위원

202010090100048400001571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2.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3. '현충원 하이패스 IC' 재추진 시동…타당성 조사 연말 완료
  4. "석식 재개하라" 둔산여고 14일부터 조리원 파업 돌입… 4~5개교 확산 조짐
  5.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스무 살에 금융기관 취업한 비결은?
  1. 5개월 앞둔 통합돌봄, 새틀짜기 논의 활발 "기관 협의체 만들고 직역 협력모델을"
  2. 명실상부 중부권 최대 캠핑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 활짝
  3. [홍석환의 3분 경영] 올바른 질문이 먼저
  4.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5. [기고]안전한 대전시민의 밥상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둔산여고 조리원 파업 재개… 수능 한달앞 학생 피해 불가피

1학기 준법투쟁 시작 후 석식(저녁)이 중단된 대전둔산여고 조리원들이 14일부터 급식 파업에 돌입한다. 수능을 30일 앞둔 가운데 노사 양측의 갈등이 극으로 치달으며 학생 피해가 불가피하게 됐다. 13일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대전교육청에 따르면 다음날인 14일부터 대전둔산여고 조리원 9명 중 7명이 급식(중식) 파업에 나선다. 기한은 정해져 있지 않다. 둔산여고 파업에 연대해 노조 간부 등이 속한 4~5개 학교서도 파업에 동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비노조는 1학기 중단된 석식이 재개되지 않는 데 대해 문제를 제기..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매년 큰 인기를 받은 대전 빵축제가 올해 몸집을 더 키워 찾아온다. 13일 대전관광공사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대전 동구 소제동 카페거리 및 대동천 일원에서 대전의 102개 빵집이 참여하는 가운데 '2025 대전 빵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2025 대전 빵축제'는 대전관광공사가 주최·주관하고 대전시, 동구청, 대한제과협회대전광역시지회, 성심당이 후원하며, 공식행사, 빵집 컬렉션, 마켓&체험 프로그램, 축하공연, 구매이벤트, 부대프로그램 등 다채롭게 펼쳐진다. 주요행사로 ▲개막식 ▲10m 대형롤케..

강소기업 21개사, 충남에 4448억 투자해 공장 신설·이전
강소기업 21개사, 충남에 4448억 투자해 공장 신설·이전

충남도가 21개 기업으로부터 4500억 원에 달하는 투자를 이끌어냈다. 김태흠 지사는 1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석필 천안시장권한대행 등 6개 시군 단체장, 한민석 웨이비스 대표이사 등 21개 기업 대표 등과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21개 기업은 2028년까지 6개 시·군 산업단지 등 30만여㎡의 부지에 총 4448억 원을 투자, 생산시설을 신·증설하거나 타지역에서 충남으로 이전하고, 국외에서 복귀한다. 이들 기업이 계획대로 가동할 경우 신규 고용 인원은 총 1316명이다. 구체적으로 천안 테크노파크산단엔 경기도 소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

  •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