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신종코로나바이러스)로 비대면 수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대학에서 수업환경 질을 높이기 위해 팔을 걷었다.
국립 공주대학교(총장 원성수) 교수학습지원센터는 2020학년도 2학기 동안 교육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온라인 수업 환경 개선 및 질 제고를 위한 'Come On, Cam On!' 캠페인을 운영, 호응이다.
공주대 교수학습지원센터에 따르면 공주대 재학생들로 구성 된 CTL 서포터즈들의 아이디어로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이 지속 됨에 따라 온라인 수업환경의 질 제고를 목적으로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
이 캠페인은 실시간 화상강의에서 학습자-교수자 간, 학습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고자 카메라를 켜자는 뜻의 'Cam On'과 발음이 유사한 'Come On!'을 접목, 함께 카메라를 켜고 수업에 참여하여 서로 소통하는 온라인 수업을 만들어가자는 의미를 가졌다는 것이다.
학생은 화상강의에서 비디오를 켠 화면을 캡쳐하여 캠페인 이미지와 함께 SNS에 업로드하고, 교수는 실시간 화상강의 시 캠페인 이미지를 대기화면 또는 배경화면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캠페인을 추진한 공주대 CTL 서포터즈 학생들은 "캠페인을 통해 오프라인 수업의 장점을 온라인에서도 살려 비대면 수업 환경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한 목적이다"라며 캠페인 취지를 밝혔다.
또, 학생들은 "캠페인을 추진하며 네이밍부터 캠페인 이미지, 카드뉴스 제작에 직접 참여해 뜻 깊다"라며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나태해진 마음가짐을 다 잡고 학생으로서 주체적인 참여를 할 수 있어 의미가 있는 경험 이었다"라고 밝혔다.
카드뉴스는 주요 이슈나 뉴스를 이미지와 간략한 텍스트로 재구성해 보여주는 새로운 개념의 뉴스 포맷이다. 이는 일반 기사뉴스보다 가독성과 전파력이 높고 확산성이 뛰어나 캠페인을 진행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교수학습지원센터는 학생으로부터 시작된 캠페인을 교원의 참여로 확대하여 소통하는 온라인 수업 분위기 문화 형성을 위해 캠페인을 지속 할 예정이다. 캠페인은 일정한 장에 있어서의 활동, 특별한 목적을 가진 조직적 활동이란 의미로 정치적, 사회적 목적으로 문화단체, 노동조합, 출판보도 관계자 등이 조직적으로 벌이는 운동이다.
한편, 온라인 강의는 인터넷 강의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수업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2004년 2월 교육과학기술부가 밝힌 사교육비 경감 대책으로 한국교육방송공사가 그해 4월 EBSi를 개설했으며 무료로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고 있다.
대학과 전문교육기관의 강의를 온라인에 무료로 공개해 전세계 누구나 집에서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 코로나19로 온라인 강의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일선 학교에서는 온라인 개강, 개학이 시행되고 있다. 교사와 학생이 비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전국 모든 초중고의 첫 온라인 개학은 2020년 3월 31일부터 시행됐다.
공주=박종구 기자 pjk006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