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많이 본 뉴스' 개편, 잘했다 62%... 폐지에 긍정평가 우세

  • 경제/과학
  • IT/과학

네이버 '많이 본 뉴스' 개편, 잘했다 62%... 폐지에 긍정평가 우세

한국언론진흥재단, Media Issue 6권 6호 <네이버 ‘많이 본 뉴스’ 개편에 대한 이용자 인식>발간

  • 승인 2020-12-18 13:48
  • 수정 2020-12-18 13:51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네이버가 네이버뉴스의 <많이 본 뉴스> 서비스를 전면 개편했다.

<많이 본 뉴스>는 이용자들이 네이버뉴스 상에서 많이 클릭한 기사들을 주제별로 이용자의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 구분해 순위와 함께 제공해왔다. 그러다 지난 10월 22일 기존 많이 본 뉴스 서비스를 전격 폐지하고, 한 달여 만에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였다.

개편된 <많이 본 뉴스>는 전체 기사들의 순위를 매기는 것이 아닌, 언론사별로 가장 많이 본 뉴스를 보여주는 방식을 채택했다. 한 언론사당 5건씩, 언론사 순서는 무작위·주기적으로 바꿔가며 노출된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표완수) 미디어연구센터에서는 네이버뉴스 이용자 1,200여 명을 대상으로 <많이 본 뉴스> 개편에 대한 사전 인지와 개편 내용에 대한 평가 및 이유, 네이버식 개편을 다른 포털에 확대하는 것에 대한 의견 등을 알아보는 온라인 설문을 진행했다.



이번 설문에서는 네이버를 포함한 인터넷 포털들이 연예 및 스포츠 뉴스 댓글을 폐지한 것에 대한 의견과 더불어 이를 포털 상의 연예·스포츠 콘텐츠 댓글란으로 확대하는 것에 대한 의견도 함께 조사했다.

개편된 <많이 본 뉴스>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평가를 알아봤다. 설문 문항을 구성할 때 네이버의 <많이 본 뉴스>가 어떤 식으로 개편됐는지 모르는 사람들이 응답자 중에 상당수 포함됐을 것을 고려해 <많이 본 뉴스>가 어떻게 개편됐는지에 대해 먼저 설명한 후 응답하게 했다.

1224338201
그 결과 개편을 잘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62.0%로 절반이 훌쩍 넘게 차지했다. 잘 못 했다는 응답은 이보다 50.9%p 적은 11.1%에 그쳤다. 개편에 대한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보다 5배 이상 많게 나타난 것이다. 응답자 4명 중 1명꼴인 27.0%는 개편에 관해 관심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긍정적인 인식과 관련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양한 언론사의 기사를 볼 기회 제공 97.0%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 시도 필요 95.8% △언론사 간 클릭수 경쟁문제 개선 90.7% △몇몇 언론사에 편중되는 문제 개선 83.0% △성별·세대별로 이용자 가르는 부작용 완화 70.5% 순이다.

개편을 잘 못 했다고 생각하는 이유도 살펴봤다. △실제로 많이 이용되는 기사 파악 불가 82.0% △언론사별 많이 본 뉴스가 비슷하면 다양성 더 축소 81.2% △개편 전보다 이용하기 불편 80.5% △언론사 간 클릭수 경쟁 개선 효과 낮음 78.2% △성별·세대별 선호 뉴스 파악 불가 74.4% 순이다.

<많이 본 뉴스> 개편에 대한 평가가 이용자 집단별로 달라지는 양상에 대해서도 추가 설문을 진행했는데, <많이 본 뉴스>를 더 많이, 더 적극적으로 이용한 집단일수록 서비스 개편에 대한 긍정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편 전 <많이 본 뉴스>를 자주 클릭해서 본 응답자들(391명)은 개편을 잘했다고 답한 비율이 71.6%에 달했고, 가끔 클릭해 본 집단(373명)은 그보다 6.7%p 낮은 64.9%, 제목 위주로 본 집단(261명)은 15.7%p 낮은 55.9%에 머물렀다. <많이 본 뉴스>를 눈여겨보지 않았거나(103명) 그런 서비스가 있는지 몰랐던 집단(74명)은 40%대 초중반의 긍정 평가 비율을 보였다.

이어 네이버뉴스의 사용자 환경이 모바일과 PC 버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고려해 네이버뉴스를 주로 이용하는 기기에 따라 개편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는 양상을 분석했다. 그 결과, 모바일 기기를 주로 이용하는 집단(789명)과 모바일과 컴퓨터를 비슷하게 이용하는 집단(158명)에서는 긍정 답변이 60%대 초중반 비율(각각 64.9%, 61.4%)을 보인 반면, 컴퓨터를 주로 이용하는 집단(255명)에서는 53.3%만이 잘했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잘 못 했다'라는 평가 역시 네이버뉴스를 주로 컴퓨터로 이용하는 사람들(16.9%)에게서 나머지 두 집단 대비 더 높은(각각 7.1%p, 8.7%p) 비율을 보였다.

<많이 본 뉴스> 개편처럼 다른 인터넷 포털들도 전체 기사들 가운데 랭킹 뉴스를 보여주는 방식이 아닌, 언론사별로 많이 본 뉴스를 제시하는 형태로 개편해야 한다는 데 대한 의견을 물었다.

그 결과, 동의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64.5%(매우 동의함 9.1%, 약간 동의함 55.4%),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힌 응답자는 35.5%(전혀 동의하지 않음 4.6%, 별로 동의하지 않음 30.9%)로 나타났다. 다만, 동의 쪽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긴 했으나 '매우 동의'에 비해 '약간 동의'를 선택한 비율이 6배가 넘는다는 점에서 포털 뉴스 이용자들이 네이버식 <많이 본 뉴스>를 확대하는 것을 전적으로 원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경쟁 입찰 조회수 부풀리기 의혹 제기도
  2. [대전다문화] 열대과일의 나라 태국에서 보내는 여름휴가 ? 두리안을 즐기기 전 알아야 할 주의사항
  3. 중앙로지하상가 비대위, 대전시에 공청회 요구
  4. [대전다문화] 세계 일회용 비닐봉투 없는 날
  5. [대전다문화] 7월 17일 '제헌절', 대한민국 헌법이 태어난 날입니다
  1. 한국영상대 학생들, 웹툰·웹소설 마케팅 현장에 뛰어들다
  2. 중·고등학생 수행평가 2학기부턴 진짜 학교에서만 "본래 목적 집중"
  3. [대전다문화] 대전시 가족센터·다문화가족지원센터 7월 프로그램 안내
  4.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5. 더 길어진 여름에…지난해 열대야 발생일수 역대 1위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대통령, 4일 취임 후 첫 대전 방문 ‘타운홀미팅’

이재명 대통령, 4일 취임 후 첫 대전 방문 ‘타운홀미팅’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취임 후 처음으로 대전을 방문한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전 유성구 도룡동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를 주제로 타운홀 미팅 시간을 갖는다. 국민의 현장 목소리를 듣고 자유롭게 토론과 질문을 하는 자리로,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비롯해 과학기술인 등 3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미팅은 사전에 참석자를 선정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전날인 3일 오후 2시 대통령실 홈페이지를 통해 행사 일정을 공개하고 행사 당일 현장에서 선착순으로 300여 명을 참석시킨..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 도심 열기 식히는 살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