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티이미지 제공 |
적막감이 감도는 사무실. 출력기에서 신문 대장 토해내는 소리만이 간간이 들린다. '개여울'을 나지막히 불러본다. 인간에게 사랑은 가장 큰 명제다. 사랑에 죽고 사랑에 울고. 너무 신파조인가. 세상사는 지극히 통속적이다. 노래를 가만히 부르다보니 불현듯 드라마 하나가 떠오른다. 고등학교 때 TV 문학관에서 '꽃신'을 봤는데 오래 기억에 남아 있다. 시대 배경은 50년대 초? 갓 데뷔한 강석우와 이경진이 주인공이었다. 자세한 건 생각나지 않지만 드문드문 인상적인 장면이 있다. 푸줏간 집 아들 상도는 꽃신 만드는 집 딸 분이를 좋아한다. 그런데 가세가 기운 꽃신집은 딸을 돈 많은 영감에게 시집 보낸다. 분이도 상도를 마음에 두고 있었던 것이다. 부모의 강권에 못 이겨 결혼한 분이는 행복할 리 없다. 푸줏간 아들은 꽃신집 딸을 잊지 못해 그녀가 사는 집 주위를 배회한다.
그러던 어느날 분이가 호수에 몸을 던진다. 호숫가에 꽃신을 가지런히 벗어놓은 채. 드라마의 마지막 장면은 푸줏간 아들 상도(강석우)가 분이(이경진)가 몸을 던진 호수를 보며 분이를 목놓아 부르는 모습이었다. '분이------.' 강석우의 짙은 눈썹 아래 깊은 눈은 절망과 슬픔으로 눈물이 그렁그렁했다. 사랑을 해보지 않은 나이였지만 이 장면은 내 가슴에 깊이 박혔다. 뭐라 할 수 없는 아픔이었다. 가슴을 송곳으로 찌르는 것 같았다. 알싸한 슬픔을 안겨줬다. 진정 사랑하면 죽을 수도 있는 걸까. 50이 훌쩍 넘은 지금도 이 문제는 벅차다. '날마다 개여울에 나와 앉아서 하염없이 무엇을 생각합니다 가도 아주 가지는 않노라심은 굳이 잊지 말라는 부탁인지요~'.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