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염홍철 한밭대 명예총장 |
한 지주의 딸이 교양 있는 귀부인답게 살기를 원했으나 몇 가지 불운을 거치면서 어느 한 순간 거칠고 야성적인 동생의 남편에 겁탈을 당하자 욕정에 몸을 내 맡기는 비극적인 내용입니다.
이 희곡이 던지는 메시지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누구나 교양 있고 멋지게 살기를 원하면서도 내면에는 어떤 욕망이나 욕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 욕망과 욕구를 절제하면서 살다가도 어떤 계기로 절제가 무너지고 욕망의 노예가 된다는 점입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베스트셀러였던 <욕망해도 괜찮아>에서 김두식 교수는 욕망(色)과 규범(戒)이 충돌하는 매일의 삶은 어떤 소설보다 재미있다는 화두를 던진 바 있습니다.
그즈음에 읽었던 대니얼 엑스트의 <자기절제 사회>는 자기절제와 원초적 욕망 사이의 심리적 변화, 그리고 절제의 실패로 인한 여러 사회적 부작용들, 현대인들의 절제를 위한 각고의 노력과 함께 자기 억제력을 기를 수 있는 방법까지 소개하고 있어 관심을 갖게 만들었습니다.
현대를 사는 우리는 유혹의 과잉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자제력을 시험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인생은 욕망이나 욕구에 굴복한 것이냐, 극복하여 이성적인 길로 갈 것인가의 하는 선택의 연속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자기절제를 통해 욕구를 극복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입니다.
이 책에서도 인용된 바와 같이 "나는 적을 정복하는 사람보다 욕구를 극복하는 사람이 더 용감하다고 생각한다.
스스로와의 싸움에서 승리하는 것이 가장 어렵기 때문이다"라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저의 저서<염홍철의 아침편지> 360~363에 실린 것을 수정?보완하였음) (계속)
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