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청년구단홈페이지 캡쳐> |
자영업 경험이 없는 청년들에게 단순히 공간만 제공할 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나 사후 관리가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청년몰 조성사업으로 추진된 '대전청년구단'은 지난 2016년 12월 청년 창업자를 모집해 이듬해인 2017년 6월 28일 문을 열었다.
당시 모집공고에 따르면 2017년 6월부터 2018년 5월까지 1년간 임대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하지만 2017년 12월을 끝으로 임대료 지원은 중단됐다. 2017년 6월 장사를 시작했으니 단 6개월만 지원을 받은 셈이다.
중앙메가프라자 관계자는 "2016년부터 청년구단 조성이 시작돼 이듬해 오픈할 때까지 공백이 길었다"라며 "2017년 12월까지 임대료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아는데, 실질적으론 6개월만 혜택을 본 셈이다"라고 말했다.
이로 인해 초창기 기반을 자리 잡기도 전에 청년 창업자들이 임대료 부담을 떠안게 됐다.
청년구단이 생존력을 갖지 못하고 매장이 매번 바뀌는 이유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원사업을 시작한 2016년 12월 임대차 계약일부터 따져서 1년을 책정하다 보니 2017년 12월에 지원이 끝나게 됐다"라며 "사후 문제를 인식해 차기부터는 매장 개점일 기준으로 매뉴얼을 변경했다"라고 말했다.
여기에 예산만 지원하고 매장 운영이나 사후 관리가 부족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막대한 예산을 지원하고도 사후 관리나 운영 컨설팅 없이 사전 교육을 통해 타 시도 모범사례 견학, 업종 선정, 개장 준비 등을 지원했을 뿐이다.
구범림 대전상인연합회장은 "코로나19로 경기가 침체하는 상황에서 지원책만 내세우며 경험 없는 창업들에만 운영을 맡겨놓았다"라며 "영업 관련 모니터링 같은 사후 관리가 거의 없었다는 점이 안타깝다"라고 말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