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일기:MZ읽기] 채식이 일상이 된 그들, MZ세대는 지금 '비거니즘'

  • 문화
  • 문화 일반

[트렌드일기:MZ읽기] 채식이 일상이 된 그들, MZ세대는 지금 '비거니즘'

  • 승인 2021-09-03 09:23
  • 수정 2021-11-18 13:53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컷-트랜드




축산 과정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 줄이기 위해 비건 시작

동물권 주장하며 동물보호 차원에서 시작하기도

 

GettyImages-jv12073332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육식 보다는 채식위주로 식사를 하려 하고, 식당을 찾을 때도 비건 메뉴가 있는 곳만 갑니다"

대전에 거주하는 대학생 정가영(24)씨는 비건주의자다. 가영씨는 원래 외식을 할 때도 삼겹살, 갈비 등 고기를 즐겨 먹다 최근들어 육식을 지양하고 있다고 한다. 그는 우연히 대학 생활 중 환경 동아리에 가입하고 활동을 하면서 비건을 시작했다. 축산 과정에서 생긴 이산화탄소가 환경오염의 주 원인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지구온난화가 심각 한 수준이고, 스스로 환경을 지킬 수 있는 방법으로 비건을 선택했다"며 "사실은 채식을 하면서 회식이나 모임에 참여하기 어렵고 여러 불편함이 있지만, 나 혼자서 하는 작은 실천이 환경에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해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다"며 그 이유를 말했다.

지금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사이에서 스스로 비건(Vegan)을 택하는 '비거니즘'이 늘며 그들의 식탁문화가 바뀌고 있다. 비건은 채식주의자의 유형 중 하나로 동물성 식품을 지양하고, 식물성 식품을 중심으로 식생활을 하는 채식주의자를 말한다.



이들은 어떤 이유로 비건의 길을 선택했을까? 가장 큰 이유는 '환경'이다. 축산 과정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는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이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소같은 반추동물의 장내 발효과정을 포함한 가축들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지구 전체 온실가스의 14.5%를 차지하는 등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또한 가축을 기르기 위한 농지 마련으로 들이나 숲이 무분별하게 훼손되고, 축산 과정에서 소비되는 물의 소비량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이들은 가축 과정에서 생기는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깨닫고 직접 환경을 위해 발 벗고 나서게 된 것이다.

과거 채식위주의 식단은 건강을 위함이었지만, 지금 MZ세대들은 자신들이 살아가야 할 미래를 위해 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생존의 수단이다.

이어 '동물 보호'라는 이유가 있다. 반려동물로 부르는 강아지나, 고양이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사람들은 소나 돼지 등 가축동물들에 대한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일명 동물권(동물에게도 인권이 있다)을 주장하며, 더이상 가축이 아닌 하나의 생명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좁은 울타리에 갇혀 임신과 출산을 반복하는 가축과정을 비윤리적으로 보고, 잔인한 동물 사육에 대한 반발을 표출하며,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비건을 선택한 것이다.

직장인 A씨는 "우리 식탁 위에 올라오는 고기들을 만들기 위해 많은 동물들이 눈물을 흘리며 무분별하게 죽어가고 있다"며 "태어나서 죽는 수간까지 고통을 느끼다 죽는 동물들을 보면 가슴이 너무 아프고, 나라도 수요를 줄여보자 라는 생각에 고기를 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MZ세대들의 비건 열풍에 발 맞추듯 대전에서도 이들을 위한 식당이 매우 빠르게 생겨나고 있다.

단순한 인테리어 디자인 사진 콜라주
대전 비건 식당들의 음식을 찍어봤다. 왼쪽은 타코, 오른쪽 위는 베이커리 아래는 비건 샐러드다. 김지윤기자.

지금 현재 대전에는 빵, 샐러드, 카페, 한식, 중국집 등 매우 다양한 비건식당이 자리잡고 있다. 실제로 이 식당들은 코로나19에도 불과하고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고 있다.

집에서 먼 거리에 있지만 조금 불편함을 감수해서라도 채식주의를 실천하기 위해 그들은 비건식당을 찾고 있었다.

대전 서구에 위치한 한 비건식당 관계자는 "사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 비건에 관심있을 지 몰랐다. 생각보다 대전에서 비건을 실천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기성 식품과 맛이 조금 다르고, 배가 덜 부를 지 몰라도 동물과 환경을 생각해서 비건 식당을 찾는 것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실천하는 분들이 많이 늘어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김지윤 기자 wldbs120611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해수부 논란 충청권서 李대통령 與 지지율 동반하락 직격탄
  2. "이번엔 될까"… 대전교도소 이전 예타 통과 추진
  3. 이재명 정부, 1차 지명 장관 후보 11명… 충청은 사실상 ‘0명’
  4. 미카 129호 어떻게 되나… 코레일 '철도기념물 지정' 예정
  5. 이장우 시장 "바이오 창업-멘토링, 투자 시스템 중요"
  1. [맛있는 여행] 77-그 섬에 가면…보령시 원산도
  2. [세상속으로]민생회복지원금이 왜?
  3. 아시아 축제 컨퍼런스 성료...태국 푸켓서 한국 축제 위상 확인
  4. 27일부터 대전시 123번 버스 신설
  5. 전국 고교생 웹소설 공모전… 슈퍼 루키 찾아라!

헤드라인 뉴스


전국민 민생쿠폰, 대전시 부담 800억… 지자체 부담 우려

전국민 민생쿠폰, 대전시 부담 800억… 지자체 부담 우려

이재명 정부의 전 국민 대상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행을 앞두고 충청권 행정당국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대전시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자체의 재정 상황이 녹록지 않은 상황에 민생 쿠폰에 투입될 수백억 원의 예산까지 떠안게 되면서다. 일부 지역에서는 정부가 사업비 비율을 감당해달라는 의견까지 나오면서 조만간 전국 시도차원에서의 의견 전달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민생 지원금인 '민생 회복 소비 쿠폰' 사업의 세부적인 방안 논의를 통해 조만간 각 지자체에 내용을 전달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국무회의에서 통과된 추가 경..

민주당 충청 국회의원 전원, ‘행정수도 건립 특별조치법’ 발의
민주당 충청 국회의원 전원, ‘행정수도 건립 특별조치법’ 발의

더불어민주당 충청권 국회의원들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추진 논란 속에 행정수도를 제대로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이른바, ‘행정수도 완성법안’을 발의했다. 국회의사당 분원이나 대통령 제2 집무실 등 부분 이전이 아니라 ‘완전 이전’과 함께 제2차 공공기관 이전까지 보장하는 내용을 담은 법을 제정해 체계적으로 행정수도를 완성하겠다는 의지다. 그러나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중 하나인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선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는 등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대전과 세종, 충남·북 국회의원 일동(18명)은 24일 성명..

李, 행정수도 완성 역행 논란에도 “해수부 연내 이전 검토 지시”
李, 행정수도 완성 역행 논란에도 “해수부 연내 이전 검토 지시”

이재명 대통령인 ‘행정수도 완성’ 역행 논란에도 24일 "해양수산부를 올해 안에 부산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전날 부산 북구갑 전재수 국회의원을 해수부 장관 후보로 지명한 데 이어 구체적인 시기까지 언급하면서 해수부 이전이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오늘(24일)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이 (강도형 해수부 장관에게) 12월 안에 해수부 이전이 가능한지 검토해보라는 언급을 했다"고 전했다. 또 "절차가 어떤지, 이런 것을 보고했는데, 실용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은 '12월..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수 김연자, 김소연 대전경찰청 홍보대사 위촉 가수 김연자, 김소연 대전경찰청 홍보대사 위촉

  • 집중호우 대비 수난구조…‘훈련도 실전같이’ 집중호우 대비 수난구조…‘훈련도 실전같이’

  • 성숙한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대전소비자의 날 성숙한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대전소비자의 날

  • 이장우 대전시장, 민선8기 3주년 브리핑 이장우 대전시장, 민선8기 3주년 브리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