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Y-zone 프로젝트: 3대 하천 재발견] 보고 느끼고 걷는 오감만족의 갑천이네

[대전 Y-zone 프로젝트: 3대 하천 재발견] 보고 느끼고 걷는 오감만족의 갑천이네

갑천③ [함께 걸어요, 갑천러버들과]

  • 승인 2021-09-07 08:14
  • 수정 2021-09-07 09:57
  • 신문게재 2021-09-07 8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컷-3대하천

 

 

 

갑천③ [함께 걸어요, 갑천러버들과]
세 번째 걷기를 위해서 또 한 번 이른 시간 출발했다. 한 주 동안 비가 계속 내리면서 묘하게 축쳐진 몸이 편안함을 원하기 전에 서둘러야만 했다. 출발부터 안개가 짙었고, 비가 올 것만 같아서 어쩐지 쉽지 않은 여정이 예상됐다. 그러나 모든 것은 기우였다. 해가 뜨고 안개가 사라지자 서서히 파란 하늘이 드러났다. 걸으며 가득 채워지는 성취감이 갑천 물길처럼 불어나서 시간 가는 줄 몰랐다는 세 번째 이야기. 오전 8시, 갑천 어은교에서 출발했다. 오늘의 목적지는 일단 갈 데까지 가보는 걸로.

 

DSC03403
비가 와서 한껏 불어난 갑천. 힘차게도 흘러간다. 사진=이해미 기자
DSC03414
토요일 오전 아침부터 운동을 나온 갑천러버들. 나도 이 시리즈가 끝났을 때는 갑천러버가 되어 있을까. 사진=이해미 기자
DSC03417
안개낀 아침은 조금 신비한 느낌이다. 걸어갈수록 햇빛이 천천히 드러날수록 선명해진다. 사진=이해미 기자
DSC03428
일렬로 달려가는 자전거. 그들의 목적지는 어디일까. 사진=이해미 기자

*촉촉한 아침 풍경
백신 접종이 예약돼 있어서 갑천을 걸어야 했던 기존 일정보다 한 주 빠르게 갑천을 찾았다. 한 주 내내 비가 내렸고 갑천이 가득 불어났다. 비를 가득 머금은 갑천 풍경을 기대하며 어은교로 향했다. 토요일 아침, 갑천은 여전히 오가는 사람들이 많았다. 주말 아침에도 부지런한 '갑천러버들'이 오갔다. 그런데 출발 5분도 지나지 않아 잔뜩 흐렸던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우산도 없는데 어쩌나 일단 모자를 눌러쓰고 아무렇지 않은 척 발길을 서둘렀다. 갑작스러운 비에 당황한 사람은 나뿐이었다. 사람들은 비가 와도 태연하게 갈 길을 갔다. 계속될 비가 아니라는 걸 알았나 보다. 비는 그쳤고, 그 짧은 순간 안개와 빗방울에 아침은 더욱 촉촉함을 머금었다.

자꾸만 발길을 멈추게 되는 것도 오랜만에 보는 싱그러움 때문이었다. 또 하나 이어폰을 꽂고 걷는데도 물소리가 귓속으로 파고들어 속도를 낼 수 없었다. 오랜만이다. 물 흘러가는 소리에 정신을 팔리는 일은, 아니 처음인가. 가을장마에 갑천은 그야말로 물이 넘쳤다. 뿌옇게 안개 낀 도심, 초록의 자연, 콸콸콸 흘러가는 물소리, 참 좋은 아침이다.

 

DSC03434
강변아파트 인생샷 찍어드렸어요!라고 말하고 싶은 컷. 사진=이해미 기자
DSC03445
다가갈수록 더 크게 느껴지는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오픈 전부터 대전의 랜드마크가 되었다. 사진=이해미 기자
KakaoTalk_20210905_183728892
노을지는 7월 여름날에 바라본 갑천 풍경.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가 랜드마크처럼 우뚝 서 있다. 사진=이해미 기자

*깨어나는 '대전시대'
갑천의 초입에서 중심부로 들어서긴 했나 보다. 갑천 좌우로 높은 빌딩, 예사롭지 않은 건물들이 눈에 들어온다. 어은교를 조금 지나면서 KAIST가 지나갔고, 코로나19 검체 검사로 애쓰고 있는 대전보건환경연구원, 금강환경유역청이 스쳐 갔다. 그러나 갑천의 하이라이트는 역시나 '신세계 아트 앤 사이언스'가 아닐까. 지난달 오픈한 43층의 타워동은 사실 유성구청 인근에 도착했던 두 번째 걷기에서부터 그 위용을 드러냈었다. 갑천에서 왼편으로 높은 아파트 단지가 있지만, 신세계 아트 앤 사이언스의 높이는 따라올 수 없었다. 가까이 다가갈수록 한눈에 담기지 않는 그 모습은 대전의 랜드마크가 되기에 충분해 보였다. 첫 번째 갑천 걷기에 실패하고 나서 돌아오는 길, 뉘엿뉘엿 지는 도로를 달리다가 갑천으로 내려간 적이 있다. 노을이 예쁘게 질 것 같아서 하늘을 보고 있었는데, 그때도 아트 앤 사이언스가 갑천 마천루 풍경을 가득 채워줬던 기억이 있다.

신세계를 지나자 제2엑스포교가 등장했고, 왼편으로는 한빛탑도 살짝 모습을 드러냈다. 그다음은 엑스포교, 그다음은 외벽에 유리를 시공하는 국제컨벤션센터도 모습을 드러냈다. 갑천을 중심으로 왼편은 한마디로 대전의 중심부 그 자체였다. 한동안 엑스포 부지의 활용법을 찾지 못하면서 이 일대는 특별함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허허벌판에 불과했었다. 엑스포재창조 사업이 완수되면서 드디어 노른자 땅의 값어치를 찾은 듯하다. 갑천과 함께 번듯하게 솟은 미래의 대전을 보여주는 상징처럼 말이다.

 

DSC03479
셀프타이머로 걷는 모습을 찍어봤습니다. 저 멀리 정부대전청사가 보이네요. 사진=이해미 기자
DSC03480
갑천이 비춰져 원형으로 보이는 엑스포교. 사진=이해미 기자
DSC03496
갑천 가동보. 가동보는 수위 및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사실 이곳에 가동보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역시 아는 만큼 보이는 거다. 사진=이해미 기자

*여기가 바로 3대 하천의 중심 Y존
큰 도심으로 오자 갑천의 폭도 눈에 띄게 넓어졌다. 그 전까지는 돌다리를 건너 몇 발자국이면 갑천을 가로지를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이제는 교각이 아니면 갑천을 건널 수 있는 방법이 없을 것 같다. 갑천 폭이 넓어지면서 물은 더 많아졌고, 수심은 그에 비해서 낮아지는 일대가 많았다. 높은 건물에 눈이 팔려 걷다 보니 어느새 갑천에서 가장 중요한 지점에 다다랐다.

대전천이 유등천과 만나 드디어 갑천과 Y존으로 합쳐지는 구간이었다. 사실 산책로에서 Y존의 모습을 한눈에 보기는 어려웠다. 사진으로도 Y존 형태로 담기지 못해서 꽤 애를 먹었다. 물길이 너무 자연스럽게 합쳐져서 사진에는 그저 원래 하나의 물줄기였던 것처럼 보였다. 물은 어떤 이유로든 인위적인 길을 만들지 않는다. 다른 곳에서 흘러왔어도 같은 성질에 끌리듯 하나가 되어 금강으로 그리고 서해로 나가려는 하나의 목적만을 품은 듯 그저 직진할 뿐이다.

 

KakaoTalk_20210905_183624382
왼편은 갑천, 왼편은 대전천과 합쳐져 흘러온 유등천. Y존이 만나는 구간이다. 이곳에서 합쳐진 하천은 금강으로 흘러간다. 사진=이해미 기자
KakaoTalk_20210905_183632128
갑천과 유등천이 만나는 구간은 물줄기가 묘하게 다르다. 그러나 곧 하나로 자연스럽게 스며든다. 사진=이해미 기자

Y존을 담지 못한 아쉬운 마음에 며칠 후 다시 갑천을 찾아서 Y존을 촬영했다. 산책길을 걷으면서 보지 못했는데, 대전천과 합쳐진 유등천이 갑천과 만나는 지점의 물색이 조금 달랐다. 아마도 각도나 물의 방향에 따라 다른 거겠지만 내 눈에는 씨실과 날실처럼 교차하듯 스며들어 하나가 되는 물줄기를 보았다. Y존은 통합의 상징이다. 대전 도심을 가로지르는 3대 하천이 하나가 되는 순간, 더 큰 물줄기를 찾아 떠나는 그 여정의 시작에서 인간은 그저 잘 흘러갈 수 있게 바라봐주는 일밖에 할 수 없다. 그래서 나약한 존재이고, 그래서 사유하고 고민하는 존재가 돼야 한다.

 

DSC03520
원천교에서 나와 전민동으로 향하는 산책길. 이제야 숨통이 트인다. 자연, 그리고 또 자연 속에 묻힌 듯 걷게 된다. 사진=이해미 기자
*아는 길이라 더 무섭다
세 번째 갑천 걷기는 한마디로 시골에서 올라온 쥐처럼 두리번거리다 끝나는 것일까. 사실 어은교에서 가동보가 있는 지점까지 하도 변화무쌍해서 처음 이 길을 걷는다면 걷기보다 보이는 것에 마음을 빼앗길 수 없다. 그러나 세상에는 양면이 있는 법, 가동보를 지나자 그제야 조금 조용한 산책길이 나왔다. 그제야 숨이 트인다. 앗! 그런데 원천교를 나오려고 할 때 KF94 마스크를 뚫고 악취가 올라왔다. 하수처리장이 있는 곳이라서 꽤 오래전부터 악취가 있는 구간으로 유명했으나 직접 맡는 건 또 달랐다. 악취의 원인을 찾지 못했지만 답은 분명해 보였다. 원천교 아래는 물이 잘 흐르지 못해서 고여 있는 구간이 있었는데, 그곳에서 부패한 냄새가 올라왔다. 아주 짧은 구간이지만 악취가 계속되지 않도록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그 뒤로 나의 걷기는 평화로웠다. 갑천 오른쪽은 아침마다 출근하는 갑천고속화도로였는데 매일 차로 지나던 곳을 반대로 걸어서 가야 한다는 건 꽤 두려운 일이었다. 많이 왔겠지 하고 보면 3분의 1도 벗어나지 못했고, 다 왔겠지 하면 반절도 도달하지 못했다. 차로는 불과 몇 분이면 달릴 거리를 수십 분에 걸쳐서 걸어야 하는 심정. 아는 길이 무섭다는 걸 느꼈다. 세 번째 걷기 구간은 할 이야기도 많고 봐야 할 것도 많았다. 걷는 것 하나에 목적을 둘 수 없어서 아쉽기는 했지만 대전의 중심에서 토요일 오전 하루를 보내며 변화의 시대를 체감할 수 있어 얻은 것이 더 많은 세 번째 이야기였다.

다만, 2시간 가까이 걷다 보니 더이상 음악도 외로움을 채워주지는 못했다는 슬픈 이야기다. 변화무쌍한 날씨, 눈 감을 새 없이 변화된 도심까지 구경하다 보니 목적지로 잡았던 전민동 엑스포 아파트 206동 앞에 도착했다. 세 번째 걷기의 총 거리는 8.15㎞, 시간은 두 2시간, 걸음은 1만 보다. 걷기가 끝나면서 다음 걷기를 고민하고 있다. 그늘 하나 없는 갑천 순례의 길이 될 것 같다.
갑천=이해미 기자 ham7239@

KakaoTalk_20210905_183641091
햇빛에 반사되는 갑천이 눈부시다. 하얗게 부서지는 맑은 갑천, 토요일 아침은 마냥 좋다. 뒷편으로 보이는 다리는 KTX와 SRT가 다니는 고속철도 선로다. 운좋게 두 세번 KTX가 지나갔다. 사진=이해미 기자
KakaoTalk_20210905_183710658 copy
세번째 걷기는 2시간, 8.15km를 걸었다. 전민동 일대에는 볼록거울이 없어서 인증샷은 그림자로 대신한다. 사진=이해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신탄진역 유흥가 '아가씨 간판' 배후 있나? 업소마다 '천편일률'
  2. 대전 구도동 식품공장서 화재…통영대전고속도로 검은연기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어디서든 걸을 수 있는 환경 만들겠다"
  4. 728조 예산전쟁 돌입…충청 與野 대표 역할론 촉각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자연과 함께 일상 속 피로 내려놓길"
  1. [오늘과내일] 대전시의회, 거수기 비판을 넘어설 마지막 기회
  2.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가을 도심 산행의 매력 흠뻑
  3.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구봉산에 물든 가을, 함께 걷는 행복"
  4. [월요논단] 새로운 관문, 유성복합터미널이 대전을 바꾼다.
  5. [2025 구봉산 둘레길 걷기행사] "건강은 걷기부터, 좋은 추억 쌓기를"

헤드라인 뉴스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 선정될까… 국토부 종합계획 반영 목표 사활

국토교통부가 2월 철도 지하화 선도지구를 지정한 데 이어 12월 추가 지하화 노선을 발표할 예정이어서 대전역 철도입체화 사업이 추가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앞서 국토부 선도지구에 대전이 준비한 두 사업 중 대전 조차장 철도입체화 사업(약 38만㎡)만 선정됐지만, 이번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철도 지하화 대선 공약과 해당 지역 개발 여건 강화 등으로 대전역 철도입체화사업(12만㎡)이 반영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1월 '철도 지하화 및 통합개발 특별법'을 제정한..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꿀잼대전 힐링캠프 2차] 캠핑의 열정과 핼러윈의 즐거움이 만나다

늦가을 찬바람이 부는 11월의 첫날 쌀쌀한 날씨 속에도 캠핑을 향한 열정은 막을 수 없었다. 중부권 대표 캠핑 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가 캠핑 가족들의 호응을 받으며 진행됐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린 꿀잼대전 힐링캠프는 대전시와 중도일보가 공동 주최·주관한 이벤트로 1~2일 양일간 대전 동구 상소오토캠핑장에서 열렸다. 이번 캠핑 역시 전국의 수많은 캠핑 가족들이 참여하면서 참가신청 1시간 만에 마감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행운을 잡은 40팀 250여 명의 가족들은 대전지역 관광명소와 전통시장을 돌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 4일 '2026년 728조 정부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국회를 찾아 2026년 정부 예산안 편성 방향을 직접 설명하고 협조를 요청한다. 이 대통령은 국회의 예산안 심사 개시에 맞춰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예산안 편성의 당위성 등을 설명한 후 국회의 원활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8월 29일 전년도(673조 원)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2026년도 슈퍼 예산안 편성 결과를 발표했다. 총지출 증가율(8.1%)은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며, 경제 성장을 위한 인공지능(AI)과 연구·개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여섯 개의 점으로 세상을 비추다’…내일은 점자의 날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예방접종 서두르세요’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