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10월 열린 제5회 세계과학문화포럼에서 김복철 전 연기협회장(현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이 발언하고 있다. |
지난 22일부터 대전사이언스페이스티벌이 온라인으로 개최되고 있는 가운데 대덕연구개발특구기관장협의회(이하 연기협)·대전마케팅공사·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25일부터 26일까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제6회 세계계과학문화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과학으로 함께 여는 밝은 미래'를 주제로 각 분야 다양한 이슈에 대해 과학자 등 전문가의 시선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첫날은 글로벌 강연으로 전문적인 과학 지식에 대한 글로벌 명사를 초청해 진행된다. 악셀 팀버만 기후물리연구단장이 첫 연사로 나서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기후 슈퍼컴퓨터와 그 미래에 대해 설명한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과학으로 여는 국제 관계'를 주제로 지정학적 관점에서 글로벌 패러다임의 변화를 분석하고 기술패권 시대에 대비한 우리의 국가 미래 전략을 제시한다.
홍콩대 레오 푼(Leo Poon) 교수는 코로나19 감염과 예방 접종에 의해 유발되는 면역 반응 등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며, 한국천문우주연구원 황정아 책임연구원은 '뉴스페이스 시대의 변화, 기획, 그리고 도전'이라는 주제로 대한민국의 우주 탐사 30년사를 되짚어 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건축가 유현준 홍익대 교수가 빠르게 변화하는 공간과 이런 상황에서 추구해야 할 도시개발·도시정책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튿날에는 TED식 강연으로 과학과 예술의 융합·메타버스 등에 대해 소개한다.
최근 영국 블루멉스 뉴컨템포러리 2021 현대미술가로 선정된 KAIST 이진주 교수가 첫 연사로 나서 AI·VR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예술을 탐구하는 '뉴미미디어 아트'를 통해 현대미술가들이 다루는 현장을 공유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서민아 책임연구원은 물리학적 시각으로 접근한 미술 세계의 다양한 이야기를 여러 편의 명화를 감상하며 분석한다.
KAIST 우운택 교수는 메타버스의 의미와 다양한 션실-가상 융합 가능성에 대해 소개하고 디지털 트윈과 가상증강현실과의 연동 활용에 대해 설명한다. 포항공대 김동표 교수는 신화학 기술이 코로나 백신용 리피드 나노입자 제조에 활용되는 등 미래 위기로부터 사회 안전과 인류건강 증진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행사 마지막은 김명수 대전시 과학부시장과 김미소 성균관대 교수·곽지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소장·김진한 다른미래 코리아 대표와 온라인 시민 패널이 함께하는 열린 토론으로 마무리될 예정이다.
조직위원장인 김장성 연기협 회장(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은 "인류가 당면한 글로벌 도전과제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다학제적 측면에서 과학의 발달로 변화될 미래 모습을 조망해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세계과학문화포럼은 2015년 대전에서 열린 '세계과학정상회의(OECD 과학기술 정상회의와 세계과학기술포럼)의 대전 선언 취지를 구현하고 과학과 문화를 융합시켜 과학에 대해 대중이 쉽게 접근하며 참여와 이해를 높이기 위해 2016년부터 열리고 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