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택 삼남제약 대표 |
세상의 흐름은 큰 도시는 더 커지면서 대도시를 넘어 메가시티가 되었고, 작은 도시는 더 작아지는 현상을 겪으면서 농촌 금산은 자꾸 작아지고 있다. 인구 감소를 겪는 현실이 한/중/일 세 나라에서 공통적이지만 그 중에서도 한국은 노령화와 저출산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소멸 위험'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은 걱정한다.
감사원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소멸위험 지역이 급속히 늘면서 2047년에는 229개 시군구가 소멸위험 지역으로, 그리고 2067년에는 216개 지역이 고위험지역이 될 것이라고 한다. 100년 후에는 인구가 1500여만 명밖에 되지 않아 70%의 인구 감소가 있을 것이라고 하니 겁이 덜컥 난다. 내가 죽고 나서 한참 뒤에 일어날 일이긴 하지만 말이다. 먼 훗날 얘기가 아니다. 당장 경기도를 제외한 대부분 도시에서 인구가 줄고 있다.
충남에서는 6개 군이 소멸 위험이 있고, 금산은 가장 가능성 많은 순위로 4위에 해당한다. 금산 인구는 최근 4년 간 연평균 800명씩 줄고 있고 이제 5만 지키기에 혈안인 실정이다. 노인 비율은 30%에 달하고, 80세 이상 노인 중 반은 1인 가구여서 돌봄이 필요한 분들이 많다.
소멸을 피하기 위해서는 인구가 늘어나야 하지만 모든 지자체에서 인구 감소를 겪고 있는데, 금산만 인구가 늘어나기를 기대하기는 난망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제안을 하려 한다.
첫째, 잘 하는 일을 더 잘 하는 방법을 찾자. 휴대전화를 판매하는 사람이 장사가 잘 되지 않는다고 해서 장사 잘 되는 옆집 옷가게를 기웃거려봐야 답이 없다. 오히려 휴대전화를 더 잘 팔기 위해 고객 서비스를 강화하는 것이 더 빠르다. 농촌 금산이 잘 살기 위해서는 농사를 더 잘 짓고,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만들어 판로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금산은 전국에서 벤치마킹하기 위해 찾아오는 만인산 농협이라는 전국 최고의 단위농협이 있다. 만인산농협의 시스템을 금산 전역에 확대하는 것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귀농을 원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있다.
둘째, 교육이다. 아이를 낳지 않는다고 걱정들을 많이 하고 있지만 출산지수 상위권은 모두 농촌 지역에서 차지하고 있다. 이 아이들을 잘 교육할 수만 있어도 이 아이들은 고향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니 교육에 힘을 쏟는 것으로도 지역민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셋째, 적극적인 이민정책이 필요하다. 농촌은 일손이 달리고 그 공백을 메우는 인력은 결혼이주여성들이다. 넷째, 행정구역 개편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1995년에 대전과 광주시를 제외한 모든 광역시에서 농촌 지역을 편입시켰다. 인천은 두 개나 시켰다. 그리고 16년이 지난 지금, 대구시 달성군은 12만 인구가 26만으로 늘었다. 부산시 기장군은 6만 인구가 17만이 되었다.
대구시는 다시 군위군을 포함시키려 준비하고 있고, 광주시도 담양군과의 교감이 있다는 얘기가 들린다. 대전은 산업단지나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용할 수 있는 부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금산은 대전보다 더 넓은 면적에 인구 5만이 산다. 대전시에서 큰 프로젝트를 따내서 금산에 유치시킨다면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이 될 것이다. 달성군과 기장군도 그렇게 성장했다. 이런 방법들을 나열해 보아도 실천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 없다. 지자체장과 주민들의 의지가 중요하다.
그릿(GRIT)이라는 단어가 있다. 성장(Growth), 회복력(Resilience),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끈기(Tenacity)의 줄임말이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을 찾던 어느 심리학자가 발견한 덕목이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끈기라고 했다. 누군가 나서서 이런 정책들을 끈기있게 추진하면 금산도 소멸위험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