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 지역환원금 토론회 '자중지란'…일회성 지출로 결정

  • 경제/과학
  • 유통/쇼핑

신세계 지역환원금 토론회 '자중지란'…일회성 지출로 결정

경실련 위원장 자리 박차고 나가…
전문가들 "소탐대실의 전형"

  • 승인 2021-12-09 16:56
  • 수정 2021-12-22 16:00
  • 신문게재 2021-12-10 6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신세계 백화점
신세계 백화점.
신세계 지역환원금 80억원을 놓고 상인단체와 시민단체가 갈등을 빚는 등 '자중지란'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대기업의 지역 진출에 맞춰 한 목소리로 나서야할 이들이 자금을 놓고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이면서 '제보다는 젯밥에 더 관심이 많은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8일 대전교통문화연수원에서 열린 '신세계 지역환원금 활용 방안 토론회'이 열린 가운데 상인단체는 오미크론으로 자영업자들의 고통이 심해지고 있다며 축제 등 일회성 지출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환원금을 기금으로 사용하자는 주장과 축제를 통해 상권을 활성화 시키자는 주장이 제기됐지만 상인회장들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축제로 결론이 났다.



이 과정에서 참석자 간 고성이 오가는 모습이 연출되면서 시가 이 같은 결정에 얼마나 호응해줄지 미지수라는 지적이다.

이광진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위원장, 구범림 대전상인연합회장, 안부용 대전소상공자영업연합회장, 김태호 대전상권발전위원회 부회장, 이종호 대전광역시의원이 패널로 참석한 이날 토론회에서 이광진 위원장은 지역환원금을 종잣돈으로 사용해 기금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

이 위원장은 "기금을 만들면 지속성과 종합성을 가진 중소상인 지원체계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구범림 회장은 "전통시장에서 가장 급한 사안은 방역"이라며 "시간이 지연되더라도 숙의의 과정을 걸쳐 결정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안부용 회장은 신세계를 비판했다. 안 회장은 "대전에서 가장 노른자 땅에 신세계가 있으며 임대료를 1년에 120억만 내는 건 말이 안 된다"라며 "지역환원금이라고 내놓은 80억도 너무 적은 금액"이라고 지적했다.

김태호 대전상권발전위원회 부회장은 최대한 빨리 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47개 상인단체들이 모두 수렴한 결과"라며 "오늘이 마지막 회의"라고 강조했다.

일회성 축제로 자금을 집행키로 한 결정을 놓고노 논란이다.

원종문 남서울대 유통학과 교수는 "일회성 사업으로는 수조 원을 써도 원도심 활성화가 불가능하다"며 "적은 돈이라도 뭉쳐서 종잣돈을 만들어야 한다"고 재주장했다.

정용길 충남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지금 당장 어려움이 있어서 축제를 한다고 사람들이 온다는 보장이 없다"라며 "기금을 만드는 것이 타당하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상인들도 토론회에서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서로 명분과 예의를 갖춰야 지역에서 좋은 평을 얻어 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라며 "집단 이기주의적인 발상을 극복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중·서구 새마을금고 파크골프 어울림 한마당 성황
  2. 청주시에 코스트코 입점한다
  3. 금강환경청, 논산 임화일반산단 조성 환경영향평가 '반려'
  4. 9월의 식물 '아스타', 세종호수·중앙공원서 만나보세요~
  5. 둔산경찰서, 기초질서 확립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1. 한남대, 대전 소제동서 로컬 스타트업 Meet-up Day 개최
  2. 대산산단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에도 '대기업들은 효과 글쎄'
  3. 대전 양성평등주간 기념식
  4.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경로당 활성화 지원사업' 맞춤형 프로그램 마무리
  5. 대전성모병원 홍유아 교수, 최적화된 신장질환 치료 전략 제시

헤드라인 뉴스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소아과 전문의 절반 수도권에 집중… 환자 당 전문의 편차 2배

국내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절반가량이 서울과 경기에 쏠려있는 사이 충청권은 대전 217명, 세종 78명, 충남 175명, 충북 146명으로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아청소년 인구 1000명당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 격차는 서울 1.15명일 때 충남 0.56명으로 최대 격차(0.59명)를 보였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소아·청소년 의료체계 개선방안연구'에 따르면 2024년 6월 말 기준 전국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수는 6490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1510명)과 경기(1691명), 인천(350명) 등 수도권이 전체의 56%를..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메가충청스퀘어, 연내 첫 발 뗄 수 있을까

대전 도심융합특구의 중심 사업인 '메가충청스퀘어'가 연내 청신호가 켜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부의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초읽기에 들어감에 따라 대전 혁신도시에 자리한 '메가충청스퀘어 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이 중요해지고 있다. 3일 대전시에 따르면 메가충청스퀘어 조성 사업은 대전 역세권 동광장 일원에 연면적 22만 9500㎡, 지하 7층-지상 49층 규모로 컨벤션, 상업·주거시설, 호텔 등 주요 시설을 포함한 건물 2개 동을 짓는 사업이다. 대전역 동광장 일대를 중심으로 조성되는 대규모 복합 개발 프로젝트로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 美 관세 피해기업 긴급경영자금 연말까지 13.6조 푼다

정부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를 입은 수출기업에 연말까지 13조60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공급한다. 대전·세종·충남의 경우 대미 수출기업은 1317곳으로 지역 전체의 30.2%를 차지하는 만큼, 상당수 기업이 수혜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3일 관계부서 합동으로 경제관계장관회의 및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美 관세협상 후속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앞서 정부는 미국과 관세협상을 통해 상호관세를 15% 수준으로 낮췄지만, 수출 하방 요인이 여전해 이번 지원대책을 마련했다.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 여력과 자금력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2026학년도 수능 전 마지막 모의평가

  •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꼬마선비의 유생체험

  •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 ‘5대 반칙운전 집중 단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