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은 '충남의 알프스'로 불릴 만큼 청정한 지역이지만, 인구 감소로 인해 '지역소멸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등 절박한 상황에 놓여 있다. 충남연구원이 수행한 청양군의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주민들은 인구유출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열악한 일자리를 꼽았다. 충남연구원은 연구용역을 통해 청양군이 '청정 농촌도시'의 이미지를 벗어나 '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일반산업단지 조성은 인구 유입을 위한 방안인 동시에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시도다. 산업단지는 충남도의 탄소중립 정책과 연계해 수소연료전지·친환경 자동차 부품업체 유치 등 '수소특화단지'로 개발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청정지역의 '맞춤형 산업단지 조성'이라 할 수 있다. 군은 입주 기업을 위한 투자유치진흥기금 설치와 투자선도지구 및 외국인투자지역 지정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김돈곤 청양군수는 "청양 일반산업단지 조성 사업은 청양의 미래를 책임질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고 밝혔다. 양해각서를 체결했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군은 투자업체는 물론 충남도와 수시로 협의해 실행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 산업단지계획 승인 후 진행될 주민들에 대한 토지·건물 보상 작업도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 '지역소멸 위기'는 비단 청양군에 국한된 문제만은 아니다. 일반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져 '소멸위기'라는 어려움을 극복한 모범 사례가 되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