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둔산동 번화가 모습. |
손실지원금 500만 원에 대해서도 실효성이 없다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는 사적 모임인원을 4명(백신 접종 완료자)으로, 식당·카페 유흥시설의 운영시간을 저녁 9시로 제한하는 거리두기를 16일까지 연장했다. 이와 더불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55만 명에게 내년 1분기 손실보상금 500만 원을 선지급키로 했다. 보상금을 대출해주고 추후 정산하는 방식이다.
자영업자들은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자영업자들을 우롱하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가오동에서 술집을 하는 양관모씨는 거리두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양 씨는 "거리두기를 해도 확진자가 많이 나오는 걸 보며 방역 효과가 없다는 걸 알 수 있다"라고 분노했다. 손실보상금 500만 원에 대해서도 너무 적다고 목소리를 냈다. 양 씨는 자영업자들이 거리두기에 가장 많이 희생하지만 보상은 적은 구조라고 비판했다. 양 씨는 "500만 원을 받아도 월세 200만 원을 내면 남는 게 없다"라며 "월세만 500만원에서 1000만 원이 되는 가게도 있는데 마지 못해 받는 것"이라고 했다.
신탄진동에서 술집을 하는 구두환씨도 같은 의견이었다. 구 씨는 "영업 제한으로 매출이 10분의 1로 줄어들었다"라며 "자영업자들 다 죽으라는 말이 아닌가"하며 한숨을 쉬었다.
지족동에서 맥주집을 하는 장승현씨는 손실보상금의 사각지대에 있어 불만을 토로했다. 장 씨는 "저희 가게는 허가를 슈퍼로 해서 영업제한엔 적용되지만 손실보상 대상에서 빠진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코로나 유행이 오래됐는데 세부적으로 사각지대를 파악해줬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거리두기 연장이 계속되면서 자영업자들의 단체행동도 구체화되고 있다.
한국외식업중앙회와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등 7개 단체로 구성된 코로나피해자영업총연합(코자총)은 지난 1일 "정부의 거리두기 연장은 생존권을 박탈하는 조치"라며 "실망스럽고 아주 절망적인 결과"라고 반발했다.
전국적으로 정부 방침에 반발하며 9시를 넘겨 영업을 진행하겠다는 자영업자들도 나오고 있다.
지역의 한 자영업자는 "식당때문에 코로나19가 확산한다는 정확한 통계도 없이 무조건 자영업자만 제한을 두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모든 영업장에 똑같은 방침을 두던지, 아니면 거리두기 말고 보다 실질적인 대안이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