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오스크에 방역패스까지...고령층, 장애인 디지털소외 '가속'

  • 경제/과학
  • 유통/쇼핑

키오스크에 방역패스까지...고령층, 장애인 디지털소외 '가속'

방역패스·인터넷화에 노인들 '당황'
비대면 기기도 비장애인 기준

  • 승인 2022-01-12 15:58
  • 수정 2022-05-07 21:37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KakaoTalk_20220112_140751331
대전 이마트 둔산점에서 한 노인이 직원에게 핸드폰을 보여주며 방역패스에 대해 묻고 있다.
"크알? 큐알? 그게 어떻게 하는겨?"

대전의 한 백화점 입구에서 70대 김 씨는 휴대폰을 잡고 씨름을 하고 있었다. 방역패스 때문이었다.

스마트폰은 있지만 인터넷 연결 제한을 걸어둔 탓에 와이파이를 잡고, 방역패스 애플리케이션(앱)을 깔기까지 10여 분이 넘게 걸렸다.

또 다른 대형마트 입구 앞 화면 터치 방식의 사물함 앞에서도 백발의 이 씨(81)가 진땀을 흘리며 서 있었다.



무거운 짐을 넣고 장을 보려고 사물함을 사용하려 했지만, 열쇠 대신 화면터치 방식의 사물함을 어떻게 사용할지 몰라 난감한 표정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비대면 방식의 업무 디지털화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고령층의 디지털 기기 소외가 커지고 있다.

당장 10일부터 백화점과 대형마트에서도 방역패스가 시행되는 등 일상 생활 전반에 비대면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정보 습득에 취약한 고령층 등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기불황과 인건비 부담으로 직원을 줄이고 키오스크를 설치하는 가게도 늘면서 고령층은 물론 장애인들의 접근도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에겐 비장애인 기준에서 설계된 키오스크·방역패스·체온 측정기 장치가 너무 높이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시각장애인은 큐알코드 자체가 어렵다.

지자체 차원에서 노인 교육·장애인 활동 지원사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김현기 대전장애인단체 총연합회 사무처장은 "디지털화는 어쩔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지만 처음부터 기기를 설계할 때 (장애인을 포함한)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수렴했어야 한다"라며 "기기들이 비장애인 기준으로 만들어져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엔 어렵다"라고 말했다.

노인 정책을 담당하는 대전시 관계자는 "노인 일자리 사업 중 퇴직한 노인이 디지털 교육을 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라고 말했다. 장애인 정책을 담당하는 관계자는 "시각장애인의 경우 따로 활동 지원사가 있다"라며 "기기 높이처럼 장애인들이 겪는 불편함을 모두 해결하기엔 현실적인 한계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5년'대전시 건축상' 금상에 ㈜알피에스 둔곡사옥 선정
  2. [월요논단] 세금이 못하는 일을 해낸 고향사랑기부제
  3. 대전사회혁신센터, "붓으로 연 대전 0시 축제"… 붓글씨 퍼포먼스 눈길
  4. 대전 0시 축제, 외국인 장기자랑 대회 성료
  5. [한성일이 만난 사람]백상기 국제라이온스협회 356-B지구 라이온스 축구단장(356복합지구 전 의장)
  1. 이제는 역발상 '농촌 특화 관광지'로...8~11월 이벤트 풍성
  2. 굿네이버스 대전지부-윤크커피, 좋은이웃가게 현판 전달식
  3. 제98차 지역정책포럼-이재명 정부의 문화관광정책과 지역의 과제 주제로
  4. 신영복지재단 대덕구노인종합복지관 제1분관 신대노인복지관 강당 준공식
  5. 저탄소 축산물 소비 기반 확대...인증 농가 증가 눈길

헤드라인 뉴스


대전 0시축제,  참가자의 눈과 귀, 입 사로잡았다

대전 0시축제, 참가자의 눈과 귀, 입 사로잡았다

2025 대전 0시 축제가 궂은 날씨를 잊게 하는 재미로 참가자들로부터 폭발적 반응을 얻고 있다. 대전시는 8일 개막 후 3일 동안 대전 0시 축제를 찾은 관람객은 잠정 87만 명으로 추정된다고 11일 밝혔다. 8일 첫날에는 24만 7000명, 9일 32만 5000명, 10일 29만 4000명이다. 이는 2024년 같은 기간 77만 9928명보다 10만 명이 증가한 수치다. 특히 가족 및 단체 관람객이 늘어난 것으로 시는 분석하고 있다. 시 종합상황실 관계자는 "K-POP 콘서트가 매년 최대 관람객이 집적되는 시간대였으나, 올해는..

국회세종의사당 설계공모 착수… 2026년 5월 밑그림 공개
국회세종의사당 설계공모 착수… 2026년 5월 밑그림 공개

세종시 세종동 일대에 들어선 ‘국회세종의사당’의 밑그림이 2026년 5월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국회사무처가 11일 국회세종의사당 설계 공모 관리용역에 착수했다고 발표하면서다. 용역 수행업체는 (사)한국건축가협회로, 15개월 동안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국회세종의사당은 ‘국회법 제22조의 4와 국회세종의사당의 설치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세종시 세종동 일대에 들어선다. 현재 진행 중인 기획재정부와의 총사업비 협의 후 설계 공모를 하고 2026년 5월까지 설계 공모 당선작을 선정해 국민에게 국회세종의사당의 밑그림을 제시할..

대전 괴정동 전 연인 살해 장재원 신상 공개
대전 괴정동 전 연인 살해 장재원 신상 공개

대전 괴정동에서 전 연인을 살해한 피의자 장재원의 신상이 공개됐다. 대전경찰청은 특정중대범죄 피의자 등 신상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라 살인 사건 피의자의 신상정보를 공개한다고 11일 밝혔다. 경찰은 대전경찰청 누리집에 피의자 장씨의 이름과 나이, 정면·측면 얼굴 사진을 공개했다. 공고는 이날부터 다음 달 10일까지 30일 동안이다. 대전경찰은 지난 8일 신상정보공개심의위원회를 열어 장씨의 신상 공개 여부를 논의했고 범행의 심각성, 피해의 중대함 등을 따져 공개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장씨는 지난 7월 29일 대전 서구 괴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태극기를 게양합시다’ ‘태극기를 게양합시다’

  • 대전오월드 동물들의 시원한 여름나기…‘아이 시원해’ 대전오월드 동물들의 시원한 여름나기…‘아이 시원해’

  •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뻔한 대전 오류동 교통사고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뻔한 대전 오류동 교통사고

  • 계곡 물놀이로 날리는 무더위 계곡 물놀이로 날리는 무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