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조사 결과, 대전·세종·충남지역의 성인들 가운데 '나는 국제 관계에서 일어나는 최근 이슈를 알고 있다'라는 진술에 매우 잘 알고 있다(6.9%), 잘 알고 있다(73.3%)고 응답한 비율은 80.2%였다. 잘 알지 못한다(17.1%), 매우 잘 알지 못한다(2.8%)고 응답한 비율은 19.9%로, 국제 관계 이슈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 |
"적응능력"과 관련해 '나는 새로운 문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는 진술에 대해서 매우 그렇다(8.8%)와 그렇다(57.8%)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31.7%)와 전혀 그렇지 않다(1.7%)는 응답보다 많았다. '나는 다른 문화권 사람들과 지내는 데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에 대해서도 매우 그렇다(6.2%)와 그렇다(66%)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26%)와 전혀 그렇지 않다(1.7%)는 응답에 비해 대체로 높은 편이다. 다만 조망수용능력에 비해 적응능력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조망수용능력을 보다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 |
한편, 글로벌 역량 태도에 대한 질문을 통해 개방성, 존중, 글로벌 마인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개방성"과 관련하여 '다른 나라 사람들의 생활 방식을 배우고 싶다'는 진술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8.1%)와 그렇다(64.8%)는 긍정 응답이 72.9%로 나타났다. 그렇지 않다(25.3%)와 전혀 그렇지 않다(1.7%)는 부정 응답은 27.1%로 긍정 응답에 비해 1/3 수준이다. 이를 통해 주민들이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해 개방적 태도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존중"과 관련해 '다른 사람들의 문화배경과 관계없이 사람들을 존중한다'는 진술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18.1%)와 그렇다(73.3%)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8.1%)와 전혀 그렇지 않다(0.5%)는 응답보다 9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대다수의 주민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타인에게 존중과 배려의 태도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 |
'빈곤한 사람들을 볼 때 책임감을 가지게 된다'는 진술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7.2%), 그렇다(54.7%)는 긍정 응답이 61.9%였고, 그렇지 않다(34.7%), 전혀 그렇지 않다(3.4%)는 부정 응답이 38.1%였다. 글로벌 마인드에서도 긍정 응답이 부정 응답이 높게 나타났지만, 개방성과 존중에 비해서는 긍정 응답의 비중이 낮았다. 이는 글로벌 역량 태도 영역에서 글로벌 마인드 교육이 한층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
![]() |
김정겸 단장은 "글로벌 이슈에 대한 주민들의 자기효능감이 높은 편이지만, 글로벌 사회에서 요구하는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과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교육이 요구된다"면서 "주민들이 기대하는 문화다양성 및 문화 간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각 급 학교에 글로벌 이슈에 관한 교육활동을 제안하는 등, 세계시민교육 주도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