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장애인 고용률 전국 16개 시도 중 두 번째 낮아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장애인 고용률 전국 16개 시도 중 두 번째 낮아

대전 장애인 고용률 29.3% 불과
충남 특별교통수단 보급률 최하

  • 승인 2023-05-31 17:46
  • 수정 2023-10-21 21:06
  • 신문게재 2023-06-01 5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장애인고용 연합
연합뉴스 자료사진
대전 지역의 장애인 고용률이 전국 16개 시도 중 두 번째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등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교통 인프라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5월 31일 고용노동부의 '2022년 장애인 통계'에 따르면 대전 지역의 장애인 고용률은 29.3%로 제주도 다음으로 전국 16개 시도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 대전 장애인 고용률은 전국 평균인 36.4%보다 7.1% 낮은 상황이다.

대전의 15세 이상 장애인 인구는 7만 578명이며, 이중 취업자는 2만 670명, 비경제활동 인구는 4만 8431명이다.

충남과 충북의 장애인 고용률은 각각 42.8%, 45.3%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충남의 15세 이상 장애인 인구는 14만 4082명으로 이 중 취업자는 6만 1733명, 비경제활동인구는 8만 408명으로 집계됐다. 충북 15세 이상 인구는 9만 5826명으로 취업자는 4만 3411명, 비경제활동인구는 4만 2084명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충남에 포함됐다.



공공기관과 대기업에서 장애인 고용이 미진했다. 2021년 기준 법정 의무고용률은 공공기관 3.4%, 민간기업 3.1%였지만, 출자·출연 기관에선 단 3.14%, 대기업집단에서 2.37%만 고용하고 있었다. 중앙행정기관 비공무원(3.08%)과 헌법기관 공무원(2.93%), 헌벝기관 비공무원(3.15%), 교육청 공무원(1.94%) 부문에서도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교통수단도 확충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충청권 마을버스의 저상버스 보급률도 0%로 나타났다. 전국 마을버스 보급률은 3.9%였는데, 서울과 경기, 경남을 제외하고 마을버스에 저상버스가 도입된 곳은 전무했다.

휠체어 탑승 설비 등을 장착 특별 교통수단 보급률도 낮았다. 대전 특별교통수단 보급률은 71.6%로 전국 평균(86%)을 밑돌았다. 충남 보급률은 49.1%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충북 보급률도 64.4%로 전국 평균에 못 미쳤다. 세종은 95.5%에 달했다.

대전의 법정 기준 대수는 134대였지만, 운행 대수는 96대였다. 세종은 법정 기준 대수 22대 중 21대를 운행하고 있다. 충남은 법정 기준 대수 236대 중 163만 운행하고 있었으며, 충북은 법정 기준대수 180대 중 116대에 불과했다.

2021년 기준 등록장애인 수는 대전 7만 2489명(2.7%), 세종 1만 2630명(0.5%), 충남 13만 4749명(5.1%), 충북 9만 9739명(3.7%)으로 집계됐다. 이유나 기자

지역고용률지역고용률
전체36.4%경기36.1%
서울35.5%강원46.1%
부산35.0%충북45.3%
대구31.3%충남42.8%
인천31.7%전북42.1%
광주32.4%전남41.5%
대전29.3%경북33.9%
울산36.1%경남33.5%
세종-제주28.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옛 파출소·지구대 빈건물 수년씩… 대전 한복판 중부경찰서도 방치되나
  2. <속보> 이상민 국민의힘 대전시당위원장 별세
  3. AI 시대 모두가 행복한 대전교육 위해선? 맹수석 교수 이끄는 미래교육혁신포럼 성료
  4. [기고] 전화로 모텔 투숙을 강요하면 100% 보이스피싱!
  5. 충남도 "해양생태공원·수소도시로 태안 발전 견인"
  1. ['충'분히 '남'다른 충남 직업계고] 논산여자상업고 글로벌 인재 육성 비결… '학과 특성화·맞춤형 실무교육'
  2. 충남교육청 "장애학생 취업 지원 강화"… 취업지원관 대상 연수
  3. 태안국제원예치유박람회 조직위, 준비상황보고회 개최
  4. "도민 안전·AI 경쟁력 높인다"… 충남도, 조직개편 추진
  5.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헤드라인 뉴스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납세자 늘어도 세무서 3곳뿐… 대전시 세정 인프라 태부족

대전의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납세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세무서가 3곳에 불과해 세무서 신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갑)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의 2024년도 주요 세목별 신고인원은 2019년 대비 부가가치세 17.9%, 종합소득세 51.9%, 법인세는 33.9% 증가했다. 또 대전의 2023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54조원으로, 전년 대비 3.6% 성장해 전국 17대 시·도 중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납세 인원 역시 2019..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가치 재확인… 개방 확대는 숙제

조선시대 순성놀이 콘셉트로 대국민 개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3.6km)'. 2016년 세계에서 가장 큰 옥상정원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주·야간 개방 확대로 올라가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의 주·야간 개방 확대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주간 개방은 '국가 1급 보안 시설 vs 시민 중심의 적극 행정' 가치 충돌을 거쳐 2019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확대되는 양상이다. 그럼에도 제한적 개방의 한계는 분명하다. 평일과 주말 기준 6동~2동까지 매일 오전 10시, 오후 1시 30분, 오후..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전국 대학 실험실 발생 사고 매년 200건 이상…4월 사고 집중 경향

최근 3년간 대학 내 실험실에서 발생한 사고로 매년 2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문정복 의원(더불어민주당, 경기 시흥갑)이 한국교육시설안전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5년 8월까지 최근 3년간 전국 대학 연구실 사고로 총 607명의 부상자와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같은 기간, 대학 내 실험실 사고로 지급된 공제급여는 총 8억 5285만 원에 달한다. 특히 4월에 매년 사고가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23년 4월에 33명, 2024년 4월에 32명, 2..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

  •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유성국화축제 개막 준비 한창

  •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 이상민 전 의원 별세에 정치계 ‘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