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장애인 고용률 전국 16개 시도 중 두 번째 낮아

  • 경제/과학
  • 지역경제

대전 장애인 고용률 전국 16개 시도 중 두 번째 낮아

대전 장애인 고용률 29.3% 불과
충남 특별교통수단 보급률 최하

  • 승인 2023-05-31 17:46
  • 수정 2023-10-21 21:06
  • 신문게재 2023-06-01 5면
  • 이유나 기자이유나 기자
장애인고용 연합
연합뉴스 자료사진
대전 지역의 장애인 고용률이 전국 16개 시도 중 두 번째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퇴근 등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교통 인프라도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5월 31일 고용노동부의 '2022년 장애인 통계'에 따르면 대전 지역의 장애인 고용률은 29.3%로 제주도 다음으로 전국 16개 시도에서 두 번째로 낮았다. 대전 장애인 고용률은 전국 평균인 36.4%보다 7.1% 낮은 상황이다.

대전의 15세 이상 장애인 인구는 7만 578명이며, 이중 취업자는 2만 670명, 비경제활동 인구는 4만 8431명이다.

충남과 충북의 장애인 고용률은 각각 42.8%, 45.3%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충남의 15세 이상 장애인 인구는 14만 4082명으로 이 중 취업자는 6만 1733명, 비경제활동인구는 8만 408명으로 집계됐다. 충북 15세 이상 인구는 9만 5826명으로 취업자는 4만 3411명, 비경제활동인구는 4만 2084명으로 나타났다. 세종시는 충남에 포함됐다.



공공기관과 대기업에서 장애인 고용이 미진했다. 2021년 기준 법정 의무고용률은 공공기관 3.4%, 민간기업 3.1%였지만, 출자·출연 기관에선 단 3.14%, 대기업집단에서 2.37%만 고용하고 있었다. 중앙행정기관 비공무원(3.08%)과 헌법기관 공무원(2.93%), 헌벝기관 비공무원(3.15%), 교육청 공무원(1.94%) 부문에서도 해당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교통수단도 확충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충청권 마을버스의 저상버스 보급률도 0%로 나타났다. 전국 마을버스 보급률은 3.9%였는데, 서울과 경기, 경남을 제외하고 마을버스에 저상버스가 도입된 곳은 전무했다.

휠체어 탑승 설비 등을 장착 특별 교통수단 보급률도 낮았다. 대전 특별교통수단 보급률은 71.6%로 전국 평균(86%)을 밑돌았다. 충남 보급률은 49.1%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충북 보급률도 64.4%로 전국 평균에 못 미쳤다. 세종은 95.5%에 달했다.

대전의 법정 기준 대수는 134대였지만, 운행 대수는 96대였다. 세종은 법정 기준 대수 22대 중 21대를 운행하고 있다. 충남은 법정 기준 대수 236대 중 163만 운행하고 있었으며, 충북은 법정 기준대수 180대 중 116대에 불과했다.

2021년 기준 등록장애인 수는 대전 7만 2489명(2.7%), 세종 1만 2630명(0.5%), 충남 13만 4749명(5.1%), 충북 9만 9739명(3.7%)으로 집계됐다. 이유나 기자

지역고용률지역고용률
전체36.4%경기36.1%
서울35.5%강원46.1%
부산35.0%충북45.3%
대구31.3%충남42.8%
인천31.7%전북42.1%
광주32.4%전남41.5%
대전29.3%경북33.9%
울산36.1%경남33.5%
세종-제주28.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성추행 유죄받은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 촉구에 의회 "판단 후 결정"
  2. 김민숙, 뇌병변장애인 맞춤 지원정책 모색… "정책 실현 적극 뒷받침"
  3. 천안 A대기업서 질소가스 누출로 3명 부상
  4. 회덕농협-NH누리봉사단, 포도농가 일손 돕기 나서
  5. "시설 아동에 안전하고 쾌적한 체육시설 제공"
  1. 천안김안과 천안역본점, 운동선수 등을 위한 '새빛' 선사
  2. 세종시 싱싱장터 납품업체 위생 상태 '양호'
  3.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4. '세종교육 대토론회' 정책 아이디어 183개 제안
  5. ‘몸짱을 위해’

헤드라인 뉴스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 해수부 이전 강행…국론분열 자초하나

이재명 정부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추진하면서 국론분열을 자초하지 않을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집권 초 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 등 매크로 경제 불확실성 속 민생과 경제 회생을 위해 국민 통합이 중차대한 시기임에도 되려 갈등만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공론화 절차 없이 해수부 탈(脫) 세종만 서두를 뿐 특별법 또는 개헌 등 행정수도 완성 구체적 로드맵 발표는 없어 충청 지역민의 박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는 10일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건물 모두..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31년 만에 폐원한 세종 '금강수목원'...국가자산 전환이 답

2012년 세종시 출범 전·후 '행정구역은 세종시, 소유권은 충남도'에 있는 애매한 상황을 해결하지 못해 7월 폐원한 금강수목원. 그동안 중앙정부와 세종시, 충남도 모두 해법을 찾지 못한 채 사실상 어정쩡한 상태를 유지한 탓이다. 국·시비 매칭 방식으로 중부권 최대 산림자원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 수 있었으나 그 기회를 모두 놓쳤다.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인접한 입지의 금남면인 만큼, 금강수목원 주변을 신도시로 편입해 '행복도시 특별회계'로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제안이 나왔다. 무소속 김종민 국회의원(산자중기위, 세종 갑)은 7..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신탁계약 남발한 부동산신탁사 전 임직원들 뒷돈 수수 '적발'

전국 부동산신탁사 부실 문제가 시한폭탄으로 여겨지는 가운데 토지신탁 계약 체결을 조건으로 뒷돈을 받은 부동산신탁회사 법인의 임직원들이 재판에 넘겨졌다. 대전지검 형사4부는 모 부동산신탁 대전지점 차장 A(38)씨와 대전지점장 B(44)씨 그리고 대전지점 과장 C(34)씨를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수재등) 등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시행사 대표 D(60)씨를 특경법위반(증재등) 혐의로 함께 불구속 기소했다. A씨 등 부동산 신탁사 대전지점 차장으로 지내던 2020년 1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시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몸짱을 위해’ ‘몸짱을 위해’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