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전체 인구는 주는데, 1인 가구는 증가… "미래세대 주거지원 필요"

  • 정치/행정
  • 대전

대전 전체 인구는 주는데, 1인 가구는 증가… "미래세대 주거지원 필요"

청년부터 노년까지 전 연령대 1인 가구 늘어
2015년 대비 대전 1인 가구 42.2%나 증가

  • 승인 2023-06-26 09:44
  • 송익준 기자송익준 기자
Cap 2023-06-26 09-39-31-562
[출처=대전세종연구원]
대전의 전체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1인 가구'는 갈수록 늘고 있다.

특히 20대부터 노년층까지 전 연령대에서 1인 가구 비율이 증가하면서 이들을 포용할 수 있는 정책과 미래 세대의 안정적인 대전 정착을 위한 다양한 정책지원이 필요해 보인다.

대전세종연구원이 발간한 대전세종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2015년 대비 2021년 대전의 총인구는 153.8만 명에서 148.0만 명으로 감소했다. 총인구에서 3.8%가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1인 가구는 16만9391가구에서 24만0932가구로 늘었다. 비율로 따지면 42.2%나 증가했다. 이로써 대전시 전체 일반 가구 중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29.1%에서 2021년 37.6%로 늘었다.



123123123
[출처=대전세종연구원]
1인 가구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부터 80대 이상까지 전 연령대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20대는 4만5199가구에서 7만95가구(+55.1%), 30대는 3만446가구에서 4만847가구(+34.2%), 40대는 2만5382가구에서 2만8382가구(+11.8%), 50대는 2만5420가구에서 3만2099가구(+26.3%), 60대는 1만7884가구에서 3만3224가구(+85.8%), 70대는 1만3498가구에서 1만9531가구(+44.7%), 80대 이상은 6693가구에서 1만2028가구(+79.7%)로 각각 증가했다.

Cap 2023-06-26 09-39-41-049
[출처=대전세종연구원]
2인 가구는 14만0603가구에서 17만37가구로 늘었지만, 3인 가구는 12만2088가구에서 11만5093가구, 4인 가구는 11만2055가구에서 8만9199가구로, 5인 가구는 3만8367가구에서 2만4824가구로 각각 줄었다. 도시 인구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3인 이상 가구는 줄고 있는 것이다.

대전 5개 자치구별로 1인 가구 현황을 보면 2015년과 2021년 모두 1인 가구 규모는 서구가 가장 높았다. 서구의 2015년 1인 가구는 5만2538가구, 2021년은 7만6038가구였다.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유성구였다. 유성구는 2015년 3만7294가구에서 2021년 6만127가구로 61.2%나 증가했다. 다른 자치구는 동구 3만4631가구에서 4만3711가구(+26.2%), 중구 2만4377가구에서 3만3979(+39.4%), 대덕구 2만551명에서 2만6088명(+26.9%)으로 늘었다.

Cap 2023-06-26 09-39-51-660
[출처=대전세종연구원]
2021년 기준 대전 5개 자치구별 1인 가구 연령대 비중은 20대와 6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동구와 서구, 유성구는 20대, 중구와 대덕구는 60대가 가장 많았다. 20대 1인 가구는 동구 1만3256가구, 중구 5996가구, 서구 2만4075가구, 유성구 2만1937가구, 대덕구 4831가구였다. 60대 1인 가구는 동구 6785가구, 중구 6583가구, 서구 9367가구, 유성구 5655가구, 대덕구 4834가구로 조사됐다.

Cap 2023-06-26 09-39-58-647
[출처=대전세종연구원]
1인 가구가 전 연령대에서 늘고 특히 미래 세대인 20대 청년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단 의견이 많다. 주거 공간 조성방안으론 공공 주도의 육아 돌봄이 가능하고 일자리와 기초 생활을 복합화한 공공주택지구가 있다. 주거비 지원도 하나의 방안이다. 특히 1인 가구를 넘어 '은둔형 외톨이'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실태조사와 체계적인 관리도 필요해 보인다. 최근 민경배 대전시의회 복지환경위원장은 지원조례를 대표 발의했다.

송익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사건사고] 해수욕장서 30대 물에빠져 숨져… 인명·재산 피해 속출
  2. 대전 전세사기 피해자 1천명당 2명 '전국 최고'… 금융기관 커넥션 드러나나
  3. 노은도매시장 중도매인 23명 영업정지… 점포 허용면적 20년 갈등 '수면 위'
  4. 교통편의 문제삼아 대전 투석전문의 징계 예고한 신장학회 '취약환자 어쩌나'
  5. 최교진 신임 교육부 장관 후보자 새 정부 교육정책 관심
  1. 대전0시축제 패밀리테마파크 방문객 53만명, 흥행 견인
  2. [2026 수시특집] 충남대 3357명 선발… 지역인재전형 확대, 수능최저 완화
  3. [편집국에서] 모두의 AI
  4. [사설] 대산석유화학 위기, 정부 지원 속도내야
  5. 내신 1.0등급 합격 학과 2년 연속 의약학계열… 이공계 최상위권 부재

헤드라인 뉴스


민생회복 쿠폰 전 연령대서 외식과 생필품에 `집중`

민생회복 쿠폰 전 연령대서 외식과 생필품에 '집중'

소비 진작을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전 연령대에서 외식과 생필품 구매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는 외식이 주를 이뤘고, 40대 이상은 생필품 비중이 컸다. 18일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7월 28일부터 8월 1일까지 전국 만 20~69세 금융소비자 510명으로 대상으로 진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이용행태' 분석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응답자 83.1%는 금융기관을 통해 소비쿠폰을 수령했다. 이중 76.7%는 신용·체크카드를 선택했다. 이어 지역사랑 상품권은 13.3%, 선불카드는 3.5% 순이다...

김윤덕 국토부 장관 부동산 공급대책 "늦어도 9월 초엔 발표하겠다"
김윤덕 국토부 장관 부동산 공급대책 "늦어도 9월 초엔 발표하겠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은 19일 부동산 공급대책과 관련해 "늦어도 9월 초에는 발표하겠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부동산 대책은) 이르면 8월 안에 (발표) 하는 것으로 원칙을 잡고 있는데, 다만 다음 주 대통령 순방 일정도 있어 실무적 조율에 시간이 더 걸린다면 늦어도 9월 초에는 발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주택 공급 문제에 대해 발표할 때 좀 더 치밀하고 안정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국토교통부 차원에서 여러 안을 준비하고 있고,..

시도지사협, 이재명 정부 지역경제 대책 사전협의·재정 요청
시도지사협, 이재명 정부 지역경제 대책 사전협의·재정 요청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이재명 정부의 지역경제 회복대책과 관련, 환영 입장을 밝히면서도 사전 협의와 충분한 재정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협의회는 19일 17개 시·도지사 공동 성명서를 통해 “최근 정부가 발표한 지역경제 회복 대책을 환영하며 지방자치 실현과 지역 주도의 성장 기반 조성에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협의회가 환영 성명을 발표한 건 정부 대책에 지역균형발전 특별회계 포괄보조금 규모 확대(3조8000억원→10조원 이상), SOC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기준 상향 조정(500억원→ 1000억원..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2025 을지훈련 시작…주먹밥과 고구마로 전쟁음식 체험

  •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송활섭 대전시의원 제명안 부결…시의회 거센 후폭풍

  • 대전엑스포시민광장 물놀이장 마지막 운영 날…‘북적북적’ 대전엑스포시민광장 물놀이장 마지막 운영 날…‘북적북적’

  • 2025 전국직장인밴드대전 흥행성공…전국대회 자리매김 2025 전국직장인밴드대전 흥행성공…전국대회 자리매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