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미·대중 수출격차 21년만에 최소

  • 경제/과학
  • 지역경제

한국, 대미·대중 수출격차 21년만에 최소

대중 수출 감소세… 대미 수출 증가세
2003년 8.9억 이후 수출격차 52억달러
트럼프 2기 출범땐 대중수출 험로 예고

  • 승인 2025-01-06 16:16
  • 수정 2025-01-06 17:32
  • 신문게재 2025-01-07 7면
  • 김흥수 기자김흥수 기자
우리나라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가 21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내수 부진과 한중 공급망 분업 체계가 흔들리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미국은 미중 갈등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라 대미 투자와 수출이 동시에 증가하는 추세다.

0106_export
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대중 수출은 2023년보다 6.6% 늘어난 1330억 2600만달러로, 주요 10개 지역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대미 수출은 10.45% 증가한 1277억 9100만달러로 2위를 나타냈다.

대미 수출은 지난해까지 7년 연속 최대 실적을 갈아치우며, 8년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52억 35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03년(8억 9100만달러) 이후 가장 좁혀졌다.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대중 수출이 대미 수출을 처음으로 앞선 2003년 8억 9100만달러였다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8년 894억 500만달러로 역대 가장 컸다. 2018년 대중 수출액은 1621억 2500만달러로, 대미 수출(727억 2000만달러)의 2배 이상이었다. 이후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2019년 628억 5900만달러, 2020년 584억4900만달러, 2021년 670억 1100만달러, 2022년 460억 2300만달러, 2023년 91억 2200만달러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 같은 수출 격차 감소는 대중 수출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대미 수출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 수출은 2021년 1629억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2022년 1557억달러, 2023년 1248억달러, 2024년 1330억달러로 부진했다. 중국의 내수 부진과 중간재 자급률 상승으로 인해 한중 교역 구조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은 부품·소재 등 중간재를 중국으로 수출하고, 중국이 이를 완제품으로 만들어 세계 시장에 내놓으면서 한국도 중국 경제의 성장 과실을 함께 누려왔다. 실제 대중 수출은 중국이 WTO에 가입한 지 10년 만인 2010년 처음으로 1000억달러를 넘어섰고, 2015년 한중 FTA까지 발효되면서 2021년 정점에 달했다가 감소하는 추세다.

반면 미국으로의 수출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8.2%), 반도체(122.8%), 일반기계(3.6%), 컴퓨터(196.8%) 등의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삼성, SK, 현대차, LG 등 국내 대기업들이 미국 내 반도체, 이차전지, 전기차 등 첨단산업 설비 투자를 확대하면서 관련 기계류 및 중간재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미국 빅테크 기업의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도 반도체 수출 성장에 기여했다.

장상식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큰 소비시장을 갖춘 미국은 소비재와 인프라 투자 증가에서 기인한 IT·기계류·석유화학 등으로 수출 품목이 다변화돼 있다"며 "미국 현지 투자까지 늘면서 관련 중간재 수출이 늘어나 보다 안정적인 수출 구조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미중 갈등과 중국의 자립도 강화 움직임을 고려하면 대중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첨단산업 분업 체계와 공급망 강화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 2기에도 미국과 상호보완적인 교역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발표한 '2024년 연간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역대 최대인 6838억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한해 중국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의 19.5%를, 미국이 18.6% 차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흥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사)한국청소년육성연맹, 관저종합사회복지관에 후원물품 전달식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