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촌대학 입학식<제공=고성군> |
민선8기 들어 외국인 계절근로자, 청년농업인, 귀농·귀촌, 농업인 교육 등 4대 전략을 축으로 농업과 농촌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2023년부터 본격 도입된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는 올해 500명 이상이 배치될 것으로 예상되며, 고용 안정과 제도 관리도 정착 단계에 들어섰다.
무단이탈 사례 없이 제도를 운영해 '운영 우수지자체'로 선정됐고, 고용주 교육과 숙소 안전관리, 보험 가입 등도 함께 추진되고 있다.
청년농업인 영농정착 지원, 농지 임대료 지원, 창업 맞춤형 지원 등 정책은 청년 귀농 유입과 농촌 활력 회복의 기초를 다지고 있다.
2019년부터 운영 중인 귀농지원센터는 귀농인의 집과 주말농장, 체험실습포를 통해 도시민의 정착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904세대, 1150명이 귀농·귀촌하며 지역사회 변화가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농업인 대상 새해 실용교육과 농촌대학 프로그램도 현장 중심 교육을 확대하며 예비 농업인의 실질적 역량을 키우고 있다.
한편 전략별 추진은 뚜렷하지만, 상호 연계와 통합적 관리 체계는 미비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예컨대 외국인 근로자 지역 정착이나 청년·귀농인의 네트워크 강화 등 전략 간 연결을 도모할 구체적 방안은 아직 부족하다.
또한 교육 성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측정 시스템의 도입과 대상별 맞춤 커리큘럼이 향후 과제로 지적된다.
고성군은 농업의 위기를 다시 '사람'으로 돌려 세우고 있다.
사람이 떠난 자리마다 사람이 돌아오고, 농촌은 과거가 아닌 미래를 말하기 시작했다.
고성=김정식 기자 hanul3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