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상 시상식, 3.8민주의거기념관에서 열려

  • 사람들
  • 뉴스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상 시상식, 3.8민주의거기념관에서 열려

중도일보 김지윤, 최화진 기자. 대전MBC 김성국, 황인석, 양철규 기자 수상, 한평용 전 라이온스 총재, 3.8 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1000만원 기탁, 이재현 엠스퀘어글로벌(주)·대전서구커뮤니티 대표목요포럼에 1000만원 협찬

  • 승인 2025-07-10 16:46
  • 수정 2025-07-10 17:06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temp_1752132793592.557135213
temp_1752125684460.1772811331
목요언론인클럽(회장 박동일)은 7월 10일 오전 11시 3.8민주의거기념관(관장 송순기)에서 2분기 '이달의 기자상' 시상식을 포함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언론의 공적 역할을 되새기고, 지역사회에 헌신하는 언론인을 격려하는 의미 있는 시간으로 마련됐다.

temp_1752125684457.1772811331
행사 1부에서는 송순기 3.8민주의거기념관 관장의 기념관 관련 브리핑 후 목요언론인클럽 이사인 한평용 전 국제라이온스협회 356-B지구 총재가 3.8민주의거 기념사업비 지원을 위해 이양희 3.8 민주의거기념사업회 회장에게 1,000만 원의 후원금을 기탁하고 지역 민주운동의 역사적 가치를 지키는 데 뜻을 함께했다.

한평용 이사는 이날 기탁식에서 “그동안 3.8민주의거기념관 건립 추진위원장을 맡아 고생하셨던 김영광 이사님의 노고에 감사드리는 마음에서 오늘 성금 기탁을 하게 됐다”며 “이렇게 멋진 기념관이 건립된 모습을 보니 뿌듯하다”고 말했다.



temp_1752132783846.2114179123
이양희 3.8민주의거기념사업회 회장은 "목요언론인클럽에서 3.8민주의거기념관을 방문해주시고, 오늘 한평용 이사님께서 민주의거정신을 선양해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법적단체인 3,8민주의거기념사업 지원비까지 협찬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이양희 회장은 “국·시비 182억 원을 들여 중구 선화동에 건립한 3.8민주의거기념관에 많이 방문해주시길 바란다”며 “3,8 민주의거기념사업회는 자유민주정치 체제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파수꾼이라는 역사적 사명을 국가로부터 수임받은 성스러운 사단법인”이라고 소개했다.

이날 목요언론인클럽 회원들을 3.8민주의거기념관으로 초대한 김영광 3.8민주의거기념관 건립 추진위원장은 회원들에게 기념관을 견학시키며 “3.8 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8일 대전고, 3월10일 대전상고(현 우송고), 호수돈여고 등 대전지역 7개고 학생들이 자유당의 부정선거에 항거해 일으킨 대전·충청권 최초의 민주화운동을 기념하는 공간”이라고 설명했다.

temp_1752124185516.-1687966159 (1)
이어 이재현 엠스퀘어글로벌(주)·대전서구커뮤니티 대표도 목요언론인클럽 포럼의 지속적 운영과 지역 언론인의 성장 지원을 위해 1,000만 원의 협찬금을 전달했다.

이재현 대표는 “저희 회사는 전세계 최초로 코인 금융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블록체인 회사”라며 “목요언론인클럽 포럼 발전을 위해 성금을 기탁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temp_1752124185505.-1687966159
2부에서는 7월 월례회와 함께 '2025년 2분기 이달의 기자상'시상식이 이어졌다. 이번 수상작으로는 중도일보와 대전MBC의 보도가 선정됐다.

윤희일 심사위원장은 "이번 분기에는 신문 3편, 방송 4편 등 총 7편이 출품됐고, 심사위원회 논의를 거쳐 2편이 최종 선정되었다"고 설명했다.

temp_1752132793574.557135213 (1)
신문 부문 수상작인 중도일보 김지윤 기자와 최화진 기자의 보도는 전국 유일의 미카형 증기기관차 129호를 둘러싼 '진위 논란'을 심층 취재하며 주목받았다. 윤 위원장은 "단편적 주장에 휩쓸리지 않고 각종 기록을 추적하고 관련 기관 입장을 균형 있게 보도해 사료와 유물의 진정성에 대한 공적 논의를 유도한 점이 돋보였다"고 평가했다.

temp_1752132793586.557135213 (3)
방송 부문 수상작인 대전MBC 김성국, 황인석, 양철규 기자의 보도는 종교단체의 폭력과 사유지 무단 점유, 인권 침해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룬 탐사보도였다. 윤 위원장은 "현장 확인, 공무원 인터뷰, 법적 쟁점까지 총체적으로 접근해 구조적 방치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일으켰다"며 "지역 언론이 다뤄야 할 구조적 문제를 정면으로 파고들었다"고 높이 평가했다.

temp_1752132793599.557135213 (3)
중도일보 김지윤 기자는 수상 소감으로 "미카 129호 보도는 어렵고 고된 취재였지만, 진실을 알리고자 하는 기자로서의 사명을 되새길 수 있었던 소중한 경험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시민들에게 진실을 알리고 이를 바로잡는 게 기자의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아직 완벽하진 않지만 미카 129호 보도를 통해 배울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 기자는 “의혹으로만 남겨질 수 있었던 사실을 밝힐 수 있어 힘들었던 취재였음에도 행복한 시간이었고, 어려운 내용임에도 함께 취재를 해준 후배 최화진 기자에게도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temp_1752132793611.557135213 (1)
대전MBC 김성국 기자는 "비정상 종교단체에 대한 취재는 많은 부담이 있었지만, 피해자가 더 이상 생겨서는 안 된다는 책임감으로 임했다"며 "끝까지 주눅 들지 말고 밀어준 보도국장님과 동료 선후배들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박동일 회장은 "목요언론인상이 지역 언론의 사명감을 고취하고 저널리즘의 발전을 위한 동력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역 사회의 감시자이자 대변자로서 지역 언론의 성장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트램, 지하화 구간 착공 앞두고 캠페인 진행
  2.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3. [사이언스칼럼] 우주에서 만나는 두 가지 혁신: 디스럽션을 넘어 확장으로
  4. 자신이 돌보던 장애인 수당 빼돌린 요양보호사 실형
  5.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1.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2.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3. [교단만필] 나는 호구다
  4. 2027년 폐교 대전성천초 '특수학교' 전환 필요 목소리 나와
  5. [홍석환의 3분 경영] 정도 경영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학업중단율은 증가세를 보이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저출생 여파에, 대입 전략을 위해 스스로 자퇴를 택하는 고등학생들이 늘면서 등교하는 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8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충청권 시도별 유·초·중등 학생 수는 대전 16만 4591명, 세종 6만 8091명, 충남 24만 9281명, 충북 17만 3809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수는 전년보다 대전은 2.7%, 충남 2.1%, 충북 2%가 감소했고 세종만 유일하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