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들풀 작가, <주역경영>, <주역과학>, <주역공부> 3부작 출간기념 북토크 개최

  • 사람들
  • 뉴스

김들풀 작가, <주역경영>, <주역과학>, <주역공부> 3부작 출간기념 북토크 개최

3000년 전 <주역>을 경영 전략부터 빅데이터 분석까지
인문학 평론가 김미옥과 함께 <주역> 학술 교류의 장
고대 문헌과 현대 분석 아우르는 <주역> 해석
9월13일 오후 2시 한글회관 지하 대강당

  • 승인 2025-09-03 17:12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temp_1756875635786.931699173
user_1689214017671_hanbee3_P_sns
김들풀 작가
“주역을 재해석한 3부작 시리즈 북토크에 시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미래학자이자 IT 과학 전문기자인 김들풀 작가가 3000 년 역사의 고전인 <주역>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3부작 시리즈로 <주역경영>, <주역과학>, <주역공부> 완간을 선보이며 학계와 독자들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3부작은 각기 다른 관점에서 <주역>의 무궁무진한 가치를 조명하며, 고전의 지혜가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김들풀 작가는 신간 출간을 기념해 오는 9월 13일 토요일 오후 2시 한글학회 한글회관(서울 새문안로 3길 7) 지하 대강당에서 강연과 북토크를 개최할 예정이다.



주역경영


첫 번째 책 <주역경영>은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현대 경영 환경에서 <주역>의 지혜가 어떻게 경영의 나침반이 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저자는 <주역>이 제시하는 변화의 원리를 기업의 생존과 성장에 필요한 경영 전략에 접목했다. 이는 단순히 길흉을 예측하는 것을 넘어, 위기 속에서 기회를 포착하고, 변화의 흐름을 읽어 혁신적인 결정을 내리는 실질적인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혼돈의 시대에 흔들리지 않는 중심을 잡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emp_1756875628189.2122767613
두 번째 책 <주역과학>은 저자의 전공인 IT 과학 분야의 전문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책이다. 그는 <주역>의 음양(陰陽)과 괘(卦)의 수리적 구조가 현대 물리학의 양자역학과 통계학, 그리고 빅데이터 분석 방식과 놀랍도록 유사함을 밝힌다. 고대 지혜가 현대 과학 기술의 원리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주역>이 단순한 고전이 아니라 미래 예측과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적 방법론을 담고 있음을 논증한다. 이 책은 인문학과 과학의 경계를 허물고, 고전이 지닌 가치를 현대적 맥락에서 새롭게 조명하는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temp_1756875621446.2014254860
세 번째 책 <주역공부>는 난해한 고전으로 알려진 <주역>을 처음 접하는 이들을 위한 친절한 입문서다. 저자는 고려 시대 이후 본격적으로 한국에 전해진 해석에서 벗어나, 3천 년 전 <주역>의 본래 근원에 더 가깝게 다가가고자 했다. 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와 같은 고대 문헌을 토대로 <주역>의 기본 구조와 핵심 개념을 객관적으로 풀어냈다. 이 책은 기존 연구에 익숙한 독자들에게도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며, <주역>이 단순한 점술이 아닌 인간과 우주의 이치를 탐구하는 심오한 철학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김들풀 작가는 이번 3부작의 출간을 기념하며 "성인이 된 이후의 공부는 이치를 깨닫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오랜 시간 동안 <주역>을 공부하며 얻은 깨달음과 삶의 원리를 독자들과 나누고자 한다”며 “이번 북토크가 독자들의 삶에 작은 깨달음을 주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북토크는 인문학 평론가 김미옥 씨가 진행을 맡아 그 의미를 더할 예정이다. 평소 날카로운 통찰과 깊이 있는 글로 정평이 난 김미옥 평론가는 단순한 진행을 넘어, 저자의 발표 내용을 심도 깊게 해석하고 예리한 질문을 더해 행사의 수준을 한층 높일 예정이다.

김들풀 작가는 "저의 이야기보다는 김미옥 선생님의 통찰력이 더 돋보일 것"이라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두 전문가의 만남은 고전에 대한 진솔한 학문적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 작가는 “참석자분들은 이날 <주역>이 가진 철학적 깊이를 더욱 풍부한 관점에서 조망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 직원 대상 청렴·반부패 추가교육 실시
  2. 대한전문건설협회 대전시회, '중대재해 근절 성실·안전시공 결의식' 개최
  3. 대만 노동부 노동력발전서, 한기대 STEP 벤치마킹
  4. 한화이글스의 가을…만원 관중으로 시작
  5. 한화vs삼성, KBO 플레이오프 첫 경기 '접전'
  1. 한화이글스, 플레이오프 첫 경기 '승리'
  2. 아산시 영인면, 100세 이상 어르신에 선물 전달
  3. 순천향대, 공공의료서비스 개선 협약 체결
  4. 아산시가족센터, '2025 조부모-아동 행복 프로젝트' 진행
  5.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헤드라인 뉴스


일단 입학만 시키자?…충청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 급증

일단 입학만 시키자?…충청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중도탈락률 급증

국내 학령인구감소에 충청권 대학마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들어오는 만큼 중간에 나가는 유학생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학위과정 외국인 유학생 중도 탈락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충청권 4개 시도별 외국인 유학생 수는 늘고 있지만, 그만큼 중도탈락률도 급증했다. 대전의 경우, 들어오는 만큼 나가는 유학생도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대전권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2020년 5810명, 2021명 6419명, 2022년 6988..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국감서 혹독한 평가 우주항공청, 대전에 연구개발 역량 집중해야

개청한지 1년 반이 지난 우주항공청이 국정감사에서 혹독한 평가를 받는 가운데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을 위해선 대전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는 우주항공청의 운영 체계와 인력 구성 등 조직 안정성과 정책 추진력 모두 미흡하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전문가들은 우주청의 구조적 한계로 '예산 부족'을 꼽는다. 올해 우주항공청 예산은 약 9650억원으로, 1조원에도 미치지 못한다. 모든 분야를 포괄하기엔 역부족인 규모다. 여기에 입지 문제도 크다. 우주청..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창작센터, 원로 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

대전 미술의 창작 공간이던 대전창작센터가 20년 여정의 마침표를 찍고, 원로예술인 특화 전시관으로 전환된다. 19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전창작센터는 옛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청지원 건물로 故배한구(1917~2000) 선생이 설계한 것으로 등록문화재 10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 근대건축으로 평가받는다. 2005년 대전시립미술관은 한남대 건축학과 한필원 교수와 협력한 프로젝트 전시 <산책-건축과 미술>을 통해 문화시설로서의 재생 기능성을 확인하고 본격적인 프로젝트에 돌입, 2008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관리전환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올 가을 들어 가장 추운 날…‘두꺼운 외투 챙기세요’

  •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가을 물든 현충원길 함께 걸어요’

  •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빛으로 물든 보라매공원

  • 나에게 맞는 진로는? 나에게 맞는 진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