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초 1차 공모에서 이사진들의 의견 불일치로 무산된 대표 선임이 지난 23일 임원추천위원들이 다시 6명에 대한 면접을 실시해 최종 2명으로 압축하고 이사진들에게 공을 넘겼다. 따라서 오는 28일 이사진들의 결정만 남게 됐다.
지난 23일 면접을 본 6명은 부여군과 공주시, 충남도가 추천한 인사들이다. 그러나 부여박물관 관장을 지내고 중앙박물관, 현대사 박물관 등 경력과 실력이 탁월한 부여군 신모씨가 면접에서 탈락 되면서 부여 군민들은 면접 과정에 대한 불신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달 초 1차 공모에서 서류심사를 거쳐 최종 이사회까지 오른 공주시 A모씨가 이번 공모에서는 아예 서류심사에서 조차 탈락되면서 불신은 시작됐고, 신모씨 탈락으로 면접 방식에 대한 불신은 점점 커지고 있다.
재단은 설립과정과 추천위원 구성은 투명하다면서 임원추천위원 숫자 등 모든 것을 비공개라고 입을 다물고 있다. 대표를 뽑는데 어떤 기준을 우선적으로 보는지가 비공개라면 밀실 행정으로 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하고 있다.
앞서 제기한 A모씨가 대표적인 사례로 재단은 서류심사와 면접이 고무줄이라는 비난은 피할 수 없게 됐다.
백제문화제 격년제 개최는 박정현 군수의 끈질긴 제의를 공주시 김정섭 시장의 용단으로 결정됐다. 박정현 군수는 수륙제로 시작된 문화제가 시간이 지나면서 본질이 퇴색되고 예산낭비가 심하다며 격년제를 하지 않으면 참여를 하지 않겠다는 강수를 내밀었고, 김장섭 시장은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를 받아들여 어렵게 결정됐다.
이처럼 부여군과 공주시 수장의 어려운 결정이 대표이사 선임 과정의 잡음으로 빛이 바래고 있다.
박정현 군수는 "재단 대표는 정치나, 특정 집단의 입김으로 뽑혀서는 안된다"며 "이번 면접 과정의 절차를 꼼꼼히 살펴 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사진은 박정현 군수를 비롯 공주시장, 충남도 문화체육관광국장, 교수 2명 등 총 5명이다. 교수 2명은 부여군과 공주시가 각각 추천한 인물로 오는 28일 이사회가 어떻게 결정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부여=김기태 기자 kkt052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