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광역시는 시민참여형 사회문제해결사업 실증기관으로 대덕구장애인종합복지관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에 돌입한다고 22일 밝혔다.
시민참여형 사회문제해결사업은 리빙랩 방식으로 지역의 사회문제 및 해결책을 발굴하고 지역 기업의 정보통신기술(ICT)로 문제를 해소해 시민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사업으로 1억 2000만 원의 예산으로 진행된다.
대전시는 지난 4월 수요조사를 통해 실증기관(테스트베드)을 모집하고, 현장실사를 통해 사회문제해결의 시급성 및 해당 구청·기관의 참여 의지가 높은 대덕구장애인종합복지관을 선정했다.
향후 리빙랩 퍼실리테이터, 기술전문가, 시설이용자 등의 시민협의체를 구성해 대덕구장애인종합복지관 이용자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시설 이용 시 편의성 및 안전성 증진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 기반 서비스를 개발·적용할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역사회문제는 그 안에서 생활하고 있는 시민들이 더 현실적인 해법을 찾아낼 수 있다"며 "앞으로도 현장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개발 및 검증을 통해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방자치가 활성화되면서 시민참여형 사회문제 해결이 강조되고 있다. 크게 개인의 참여와 집단행동을 통한 시민참여 방법이 있는데, 개인의 경우 선거와 투표, 일인시위, 불매운동 등이 있으며, 집단의 경우에는 특히 시민단체의 역할이 중요시된다.
한편, 대전시는 지방분권 강화에 힘쓰고 있다. 지방분권으로 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각각의 특색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지역경쟁력과 차별성 확보, 그리고 지역간 연계협력을 통해 지역발전의 동력을 만들어 냄으로써, 청년들에게 일자리와 주택 등 지역에서 정착하여 살아갈 수 있는 기본적인 삶의 질과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면 국가균형발전에 한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실질적 지방분권을 위해 정부는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풀뿌리 민주주의는 국민 개개인에게 골고루 영향을 미치는 대중적인 민주주의를 의미한다. 1935년 미국 공화당의 전당대회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말로 의회제에 의한 간접민주주의에 반대하는 시민운동·주민운동 등을 통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참여민주주의가 해당된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