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청양을 찾아 우수사례를 공유한 지자체는 모두 50여 곳에 이른다.
23일에는 경북 구미시 관계자들이 청양군을 찾아 지역활성화재단 설립 과정을 공유했다. 24일에는 전북 남원시 관계자들이 청양을 방문해 신활력플러스사업 추진사례를 수집했다.
군이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안전 먹거리 종합정책과 새로운 공동체 만들기, 청년 인재 육성 중심의 신활력플러스사업이 우수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군은 안전 먹거리 정책 수립과 관련 지난해 푸드플랜 선도 지자체로 선정되면서 사업비 62억 원을 확보했으며, 올해 들어 5대 분야 10대 과제를 중심으로 소비자와 생산 농가에 이익을 주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군은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농산물 유통을 위해 기획생산농가 440호를 만들었으며, 청양군 지역먹거리 기본조례 제정, 대전로컬푸드 직매장 건립(86억), 먹거리 종합타운 건립(70억), 서울시 도농상생 공공급식 산지지자체 선정, 청양농산물 기준가격보장제 시행, 군수품질인증제 마련 등 농가소득 증대와 안전 먹거리 제공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에서 푸드플랜과 마을공동체 정책 영역에 대한 재단 설립, 신활력플러스사업과 연계한 민간 액션그룹 육성, 핵심정책 통합운영을 위한 전담부서 농촌공동체과 신설, 새로운 마을 만들기를 위한 '함께이음' 정책이 우수사례로 소개됐다.
군은 지난 2년간 63건의 공모사업 유치로 예산 1869억6200만 원을 확보했으며, 사업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신활력플러스사업과 연계한 사람 키우기에 집중하면서 충남 사회적경제 혁신타운(280억), 도시재생뉴딜 정책을 연계한 새로운 농촌모델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돈곤 군수는 "청양군은 지난해부터 푸드 플랜, 마을공동체, 지역활성화재단, 커뮤니티케어 등 새로운 농촌 모델을 만들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했다"면서 "공모사업 유치로 확보한 사업비를 지역변화와 군민 행복을 위해 쓰고 있다"고 말했다.
청양=최병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