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 사태로 외국인 근로자 입국이 지연되면서 중소기업 절반 이상이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연내 생산 차질을 우려한다.
중소기업중앙회는 4월 이후 입국이 지연되는 외국인 근로자(E-9) 신청업체 147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외국인력 입국 재개 관련 업계 의견조사' 결과, 86.9%가 연내 생산 차질이 우려된다고 응답했다. 이미 생산 차질이 발생하는 곳은 57.7%에 달했다.
외국인 근로자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매년 4만여 명이 중소 제조업체에 배치된다.
올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4~7월 현재까지 외국인 근로자는 들어오지 않았다. 3월 말 기준 입국한 외국인 근로자는 2003명이다.
중소기업들은 생산인력 공백이 심화 됨에 따라 입국 재개조치를 희망했다.
업계 59.5%는 인력난 심화로 방역·검역을 강화한 외국인 근로자 입국 재개조치 시급하다고 응답했다. 또 코로나 상황을 감안 하더라도 연내 입국 재개 필요하다(20.8%)고 답했다.
한시가 급한 중소기업 65.6%는 외국인 근로자 철저한 검역을 통한 신속한 입국진행을 위해 코로나19 검사비용을 부담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단, 자체적 자가격리 조치 할 수 있는 시설이 미비해 88.4%는 정부·지자체 시설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태희 스마트일자리본부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근로자 입국지연이 장기화되는 경우, 위기 극복을 위한 중소기업 노력이 생산인력 공백으로 무력화될 수 있다"며 "자가격리 조치 등 검역조치를 강화해서라도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 재개를 검토할 시기"라고 말했다.
지역 중소기업 한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조현장들이 외국인 노동자들까지 입국 제한 또는 지연되면서 인력난을 겪고 있다"며 "하루 빨리 정부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장 목소리를 청취해 일부 근로자라도 입국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병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