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다문화] 2021년 신축년 '소의 해'

  • 다문화신문
  • 대전

[대전다문화] 2021년 신축년 '소의 해'

  • 승인 2021-01-13 08:18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어느새 2021년 새해가 밝은지 2주일이 지났다. 2021년은 신축년 '하얀 소의 해'로, 십간 중 여덟 번째인 '신(辛)'이 색으로 볼 때 흰색이며, '축'은 쥐(자, 子) - 소(축 ,丑) - 호랑이(인, 寅) - 토끼(묘, 卯), 용(진, 辰) - 뱀(사, 巳) - 말(오, 午) - 양(미, 未) - 원숭이(신, 申) - 닭(유, 酉) - 개(술, 戌) - 돼지(해, 亥)의 12마리의 동물들로 상징되는 12간지 중 두 번째 동물로 소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소는 오랫동안 농경사회의 가장 기본적이고 큰 노동력이자 운송 수단이었다. 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소를 한 가정의 부를 상징하는 재산목록 1호로 꼽아왔다. 농사를 근본으로 여겼던 우리 조상들은 묵묵히 일하는 근면 성실한 소의 힘을 빌려서 농사를 짓고 부를 축적했는데, '소를 팔아 자식들을 키웠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농가의 가장 큰 재산으로 간주하였다. 소를 중요하게 여겼던 사람들은 정월 첫 번째 축일을 소날이라 부르며 이날이 되면 소에게 일을 시키지 않고, 소를 잘 먹였다고 한다.

꾀부림 없이 평생 인간을 도와 일만 하고, 죽어서도 가죽과 고기를 남겨주는 소는 조상들에게 재산을 넘어 가족 같은 동물이었다. 그래서 소는 가축이라기보다는 생구라 하여 한 식구나 다름없이 소중히 여겼다. 일부 지역에서는 송아지가 태어나면 사람이 아기를 낳을 때처럼 부정 타지 말라고 대문에 금줄을 치기도 했고, 어미 소에게는 미역국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이렇듯 인간과 친숙하게 지내며 끊임없는 노동력을 제공해 온 이유로, 소를 순종과 힘, 참을성과 근면성의 상징으로 여겼다. 그리고 풍년과 평화로운 분위기를 상징하는 동물이기도 하였다. 옛사람들은 입춘 전후에 풍년을 기원하며 흙이나 나무로 만든 소 인형을 세우기도 하였으며, 풍년을 기원하는 각종 제례에서는 소가 신성한 제물로 바쳐졌다. 또한 소가 풀을 뜯고 목동이 한가로이 피리를 불고 있는 그림은 평화롭고 한적한 분위기의 대명사로 통했다.



그러나 이런 긍정적인 모습뿐만 아니라, 어리석거나 고집이 세다는 이미지도 함께 가지고 있어 '황소고집' 또는 '소귀에 경 읽기'라는 속담도 있다.

2021년 신축년 흰 소의 해를 맞아 풍요로운 소의 기운을 받아 많은 복과 좋은 일들이 넘쳐나기를 그리고 소의 우직함을 닮아 어려운 일들이 있어도 성실하고 우직하게 잘 헤쳐나가길 바라본다.

/이미경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국민의힘 대전시당 "이재명 정부, 충청권 철저히 배제"… 이 대통령 방문 전 기자회견
  2. 충남도의회 오인철 의원, 후계농업인 미래 위한 헌신 공로 인정받아
  3. AI헬스케어부터 전통음식까지… 중소기업들 제품 홍보 '구슬땀'
  4. 대전시한의사회, 한국조폐공사와 우즈베키스탄 의료봉사 협약
  5.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1. 2025 대한민국 중기박람회 부산서 개막 '전국 중소기업 총출동'
  2. 건양대병원, 전 교직원 대상 헌혈 참여 캠페인 전개
  3. 중도일보·대전MBC, 2025년 2분기 '목요언론인클럽 이달의 기자상' 수상
  4. 월드비전, 아산시에 1,000만원 냉방용품비 지원
  5. 동구아름다운복지관, 폭염대비 시원한 여름나기 사업 진행

헤드라인 뉴스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대전 온 李대통령 "대전, 前정부 R&D 예산 삭감에 폭격"

이재명 대통령은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국민소통 행보, 충청의 마음을 듣다'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우리가 기억하는 박정희 시대에는 성장을 위해 결국 한 쪽으로 (자원을) 집중할 수밖에 없었다"며 "고도성장기에는 성장을 위한 자원 배분이 한 쪽으로 몰릴 수밖에 없었고, (그 결과) 거의 특권 계급화된 사람들이 생겼다. 이제 이를 근본적으로 바꾸고 균형발전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식민지에서 해방된 나라 중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이룬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며 "재벌이라고 하는 대기업 군단으로 부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41. 대전 서구 가장동 돼지고기 구이·찜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트로트 신동 김태웅, 대전의 자랑으로 떠오르다

요즘 대전에서, 아니 대한민국에서 가장 잘 나가는 초등생이 있다. 청아하고 구성진 트로트 메들리로 대중의 귀를 사로잡고 있는 대전의 트로트 신동 김태웅(10·대전 석교초 4) 군이다. 김 군이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건 2년 전 'KBS 전국노래자랑 대전 동구 편'에 출연하면서부터다. 당시 김 군은 '님이어'라는 노래로 인기상을 받으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공중파 TV를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 김 군은 이후 케이블 예능 프로 '신동 가요제'에 출연해 화제를 모았다. 김 군은 이 무대에서 '엄마꽃'이라는 노래를 애절하게 불러 패..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이재명 대통령, ‘충청의 마음을 듣다’

  •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취약계층을 위한 정성 가득 삼계탕

  •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대통령 기자회견 시청하는 상인들

  •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 의정활동 체험 ‘재미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