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방센터 방문자를 통한 확산세, 9개 시·도 종교모임 연관성을 적시에 못 끊어내면 더 시급하고 현존하는 위험으로 떠오를 것이다. 종교시설을 새로운 집단 감염원으로 만들지 않는 것이 관건이다. 자칫하면 14일까지 사흘째 하루 확진자 500명대인 주춤세를 단숨에 물거품으로 만들 만한 폭발력을 지녔다. 고의로 방역에 비협조적이라면 말이 안 된다. 숨은 감염과 변이 바이러스, 집단감염 차단이 3차 유행의 남은 변수다.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한 참가 교인 명단을 중심으로 끝까지 진단검사를 받도록 유도해야 한다. 출입명부에 등록됐거나 역학조사로 확인한 총 3013명 등을 중심으로 보다 촘촘한 방역망을 짜기 바란다. 지난해 11월 27일부터 12월 27일 사이 방문한 열방센터 관련 확진자가 어느새 700명선에 다가선 엄중한 상황이다. 한시바삐 검사를 마쳐야 할 검사 대상자들이 역학적 추적을 피한다면 이는 굉장히 그릇된 판단이다.
방해나 거부는 있을 수 없다. 1, 2차 유행과 견줘볼 때도 절대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 다음주까지 100~200명대로 낮춘다는 목표와 자세로 방역에 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열방센터 방문 미검사자가 많을수록 양성률이 높아질 게 확실시된다. 검사에 계속 불응한다면 사회 공동체의 안녕을 위해 행정명령뿐 아니라 강제처분은 불가피하다. 주말까지라도 행정명령을 추가 연장해 감염 불쏘시개로 비화하는 일은 막아야 할 것이다. 더 이상의 집단감염 차단을 위해 미검사자의 협조를 촉구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