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시급’ ‘열정페이’ 청춘은 언제까지 아파야 하나

  • 사회/교육
  • 노동/노사

‘이런 시급’ ‘열정페이’ 청춘은 언제까지 아파야 하나

정부 인턴고용 가이드라인 시행… 야근·휴일근무 금지 논란 1년, 패션업계의 ‘열정페이’ 관행은 여전해

  • 승인 2016-01-26 14:41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청년들의 열정을 빌미로 저임금을 지불하는 ‘열정페이’. 최저시급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으로 취업난 속 청년들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행태는 일부 업계의 노동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

취업희망자들에게 인턴과 견습생이라는 희망 이름표를 붙여놓고 생활 불가능한 금액을 지불하는 악랄한 업주들이 좀처럼 사라지지 않기 때문이다.

작년 국내 유명한 디자이너와 소셜커머스 업체에서 열정페이가 논란이 되자 국민들은 분노했고, 갑질 논란의 정점을 찍었다. 좋아하는 일을 하면 적은 돈을 줘도 된다는 논리, 도대체 어디서부터 잘못 된 것일까.

정부가 열정페이 관행을 다잡겠다며 26일 인턴 고용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체불임금은 1개월 내에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송이 발생할 경우 근로자에 대한 법률 지원을 강화, 사업에 대해서는 임금체불 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하기로 했다.

우선 청년들의 열정을 빌미로 한 저임금 노동 문제인 열정페이와 관련해서는 노동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을 경우 무조건 처벌한다는 방침이다. 인턴사원의 야근과 휴일 근무는 금지하고 근로교육을 6개월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

▲최저시급은 챙겨줍시다

국내 최저시급은 현재 6030원. 호주의 1만4298원에 절반도 못 미치는 금액이다. 하루 8시간, 주 40시간제일 경우 126만270원. 이마저도 최저시급으로 준다는 가정하에 가능한 금액이다.

6030원은 꿈의 숫자다. 로또도 아닌 것이 꿈의 숫자라니 우습지만 최저임금이 실제 노동현장에서 지켜지는 경우가 아주 극소수다. 아르바이트를 하는 중고생과 대학생들은 최저시급을 보장받지 못하는 것은 부지기수. 고용주를 고발하려 해도 보복이 두려워, 이마저도 받을 수 없을지 모른다는 소심한 생각에 버티고 있을 뿐이다.

사실 신고해도 상황은 크게 바뀌지 않는다. 고용주가 밀린 금액을 지불 할 경우 처벌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참으로 개탄스럽지 않은가.

논란이 있은 후 1년이 지났지만 패션업계와 방송, 예술업계의 ‘열정페이’는 아직도, 여전히 존재한다. 계약서상 근무 시간을 초과하기는 일쑤, 야근을 해도 추가 수당은 0원, 연차는 그림의 떡. 꿈을 위해 버티고는 있지만 결국 피해자는 열심히 일한 죄, 헐값에 팔린 청년들이 열정이다. 청춘이라는 이름에 너무 많은 짐을 짊어지게 해서는 결코 안 된다.

정부가 26일 내놓은 인턴 고용 가이드라인은 오랜만에 반가운 뉴스다. 그러나 정부의 시책이 단발성이 그치거나 성과 없이 묻혀버린다면 더 이상 청년들이 기댈 미래는 없어진다.

눈에 보이지 않는 열정에만 값을 매기지 말고 열정으로 빚어낸 과정에 결과에 박수와 정당한 대가를, 대우를 해주는 것이 어른들의 몫이다.

‘열정페이’, ‘이런 시급’ 올해는 좀 사라져 주길. 영화 제목도 있지 않은가. “열정같은 소리하고 있네.” /이해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집 좁아 에어컨 무상지원도 못 받아" 폭염에 노숙 택한 쪽방주민
  2. 새 정부 출연연 혁신 정책에 쏠린 눈… PBS·종사자 처우 등 개선 전망
  3. 대전노동청, 2025년 제1차 정기통합 워크숍 성료
  4. 마을어장에 '수상낚시터' 허용, 어촌에 새 활력 기대
  5. [박현경골프아카데미]스크린 골프장 주인이 회원들과 내기 골프를 쳤다는데.. 결과는?
  1. 세종미래전략산업펀드, 1호 투자 기업 큐노바 선정
  2. '국정기획위와 세종시' 첫 만남...지역 현안 얼마나 담길까
  3. 세종 대안·특수학교 수요 증가… 학교 추가설립 속도 낸다
  4. ‘시원하게 장 보세요’
  5. 세종시 학생 선수들, 체육 꿈 키운다

헤드라인 뉴스


여·야 전대 레이스 본격화… 충청 주자들 선전할까

여·야 전대 레이스 본격화… 충청 주자들 선전할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전당대회 레이스가 본격화되면서 충청 주자들의 선전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에선 황명선 국회의원(충남 논산·계룡·금산)이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했다. 황 의원은 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재명 대통령과 같은 길을 걸어온 동지로, 국민주권 정부의 성공을 제 사명으로 여기고 있다"며 "내년 지방선거는 이재명 정부에 대한 첫 민심의 평가다. 제가 승리를 책임질 야전사령관이 되겠다"고 밝혔다. 충남 논산 출생인 황 의원은 서울시의원과 3선 논산시장을 거쳐 22대 총선에서 국회의원 뱃지를 달..

이 대통령 “분열과 갈등 격화… 종교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
이 대통령 “분열과 갈등 격화… 종교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사회의 분열과 갈등이 격화된 점을 언급하며 포용적인 세상을 위해 종교 지도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종교 지도자들과의 오찬에서 “선거 과정에서 걱정했던 것처럼 우리 사회가 지나치게 분열적이고 대립적이고 갈등이 많이 격화돼 참 걱정”이라며 “종교 지도자 여러분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종교라는 게 기본적으로 사랑과 존중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종교 지도자 여러분들의 역할이 더 많이 요구되는 시대가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든다”며 “각별한 관심..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시 집현동 공동캠퍼스에 입주하는 충남대 의과대학이 오는 9월 문을 연다. 의정 갈등 여파로 한차례 개교 연기 끝 희소식으로, 앞으로 충남대 의대 입학생들은 의예과 1~2학년 과정을 세종공동캠퍼스에서 보내게 된다. 한석수 세종 공동캠퍼스 이사장은 9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임대형 캠퍼스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충남대 의대가 의정 갈등으로 입주를 못하다 보니 편의시설 미비 등 운영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 자리를 갖춰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세종공동캠퍼스 운영법인(이하 공캠법인)에 따르면 2024년 개교 이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

  •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