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에서 2016년 12월 한 달 동안 발생한 안구건조증 환자는 1만2620명, 2017년에는 1만1530명, 작년에는 1만1609명으로 나타났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샘의 기능 이상으로 눈물 생산이 줄어들어 안구가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건조한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눈이 자주 시리며, 뻑뻑하고 이물감이나 건조감 같은 자극을 느끼게 된다. 또한, 눈이 쓰라리거나 눈꺼풀이 무거운 느낌을 받으며 안구표면이 쉽게 손상되기도 한다.
요즘 같이 춥고 건조한 날씨에 나타나기 쉬우며, 미세 먼지나 연기를 쐴 때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또한,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은 날은 눈물 분비가 더 안 되는 경향도 있다.
안구건조증의 가장 주된 치료이면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방법은 부족한 눈물을 보충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눈물(인공누액)을 점안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공누액은 부족한 눈물을 임시로 보충해주는 역할만을 하므로 증상이 좋아졌다고 해서 중단해서는 안 되고 안구 통증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안구건조증을 제때 치료하지 않거나 증상이 좋아졌다고 내버려 둘 경우 각막염 등 합병증으로 이어져 시력장애가 생길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실내습도를 4~60% 정도로 유지해 주고 하루 8~10컵 정도의 물을 마셔 수분을 충분히 공급해주는 것이 좋다.
특히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발생위험이 커지는데, 집중하다 보면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가벼운 눈 운동을 통해 안구가 건조해지지 않게 한다.
또 컴퓨터 화면의 높이를 낮춰주면 눈이 노출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안구건조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외출 시에는 보호 안경이나 모자 등으로 찬바람이나 미세먼지를 막아준다. 귀가 후 눈이 피로하다면 따뜻한 수건으로 온찜질을 해주고 눈 주변을 가볍게 마사지해주는 것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안과 강승범 교수는 "눈을 자주 깜빡여 각막에 눈물을 적셔주고 가습기를 사용해 실내습도를 높이는 것도 증세를 완화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며 "안구건조증이 있는 경우에는 콘택트렌즈 사용은 되도록 자제하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