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1년] 보통의 나날, 우리에게 돌아올까요

  • 정치/행정
  • 대전

[코로나19 사태 1년] 보통의 나날, 우리에게 돌아올까요

  • 승인 2021-01-19 16:35
  • 신문게재 2021-01-20 1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2021010701000593300024061
1월 19일 기준 국내 확진자 7만3115명, 검사 중 15만4345명, 격리해제 5만9468명, 사망자 1283명.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를 삼켰다. 79억 인류의 삶을 지배한 21세기 최악의 바이러스는 평생 우리와 공존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현실로, 불안은 공포가 됐다.

마스크 대란과 종교발 집단감염, 긴급재난지원금, 사회적 거리두기, 재택근무, 백신 확보까지 계절은 속절없이 흘렀다. 보통의 나날을 그리워하며 우리는 코로나19 사태 1년을 맞았다. 코로나 이전의 삶은 없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조언 속에서 코로나19가 남긴 흔적, 그리고 현장의 목소리를 살펴봤다. <편집자 주>





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국내 첫 번째 감염자가 발생했던 날, 우리는 잠시 앓고 지나가는 감기처럼 대수롭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을 섰습니다. 회사가 아닌 집에서 일했고, 학교 가던 설렘은 모니터에 떠오른 친구 얼굴로 대신해야 했죠.

낯선 삶은 이제부터 시작이었습니다. 버스와 지하철, 기차에도 사람이 사라졌습니다. 북적이던 맛집도 텅 비었죠. 식당 주인 내외의 미소가 사라진 것도 이때쯤이었나요. 대신 저녁밥, 생필품을 실은 오토바이들이 세상을 활보합니다.



고맙다는 말도 문자로, 안부 인사는 영상통화로 대신합니다. 비행기를 타고 가던 휴가는 꿈 같습니다. 큰 마음 먹고 예매했던 콘서트나 전시도 영상으로 돌려보는 게 유일한 낙이 됐네요. 달력마다 꼭 있던 누군가의 결혼식도 갈 수 없어 무거운 마음이 커져만 갑니다.

2020062201001885200074911
이제 한숨 돌릴 수 있을까 희망을 품으면 보란 듯 그래프가 요동칩니다. 하루종일 울려대는 재난문자 속보도 이젠 면역력이 생겼는지 놀라지도 않습니다. 대면의 거리는 더욱 멀어졌습니다. 명절에도 그리운 가족은 볼 수 없었습니다. 5명은 의도적인 사적 모임이라고 만나지 말라고 합니다. 기약할 수 없는 약속만 수북이 쌓였는데 연말도 지나갔네요. 밤 9시면 모두 문을 닫고 집으로 갑니다. 스트레스를 풀어주던 수영도 요가도 끊은 지 오래네요.

코로나 1년, 우리는 하루하루 달라지는 방역 수준에 놀랍니다. 발열 체크는 아날로그 체온계에서 자동인식 시스템으로 교체했습니다. 차를 타고 커피를 사듯 선별진료소로 들어서면 내릴 필요 없어요. 잠깐의 고통을 참으면 24시간 안에 검사 여부가 문자로 전송됩니다.

자가 격리자에게 관할 구청은 비상식량도 지원합니다. 코로나가 잠시 소강상태였던 여름 기억하시나요? 나라에서 온국민에게 용돈을 줬습니다. 소고기도 사 먹고, 학원비도 내며 알뜰하게 잘 썼죠. 국민이 잠시나마 함께 웃었던 시절이었습니다.

코로나 사태 1년, 비극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1년의 시간동안 일부의 이기심이 모두를 사지로 몰아넣을 수 있다는 공포를 경험했습니다. 나 하나 조심한다고 괜찮아질 일이 아님을 이젠 알았습니다.

2020063001002477700102321
방호복을 입고 24시간 죽음과 맞서 싸우는 의료진들의 투혼을 봤습니다. 그들의 땀에 배인 것은 극한의 경계에서 발휘된 희생임을 압니다. 주말이면 조용히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당신의 평범한 수고스러움도 이웃을 생각하는 이타심이라는 것을 이젠 확신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기대하는 보통의 나날, 어쩌면 오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지금처럼 마스크에 가린 눈웃음으로 서로를 본다는 건 애석한 일입니다. 5600만 명분의 백신이 곧 온다고 합니다. 백신에 대한 불신 또한 시간이 지나면 가라앉을까요. 집단감염이 아니라 집단면역이 생겼다는 속보를 하루빨리 보고 싶은 1월입니다.

마스크를 써주세요. 잠시만 거리를 두세요. 일탈도 믿음도 잠시만 내려놓으세요. 그래야만 옵니다. 당신과 우리가 꿈꾸는 보통의 나날.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구미, 주민안전 무시한 보행자 보도정비공사 논란
  2. "아산페이 안 쓰면 손해"-연말까지 18% 할인 연장, 법인 10% 연장 할인
  3. 아산소방서, 전통사찰 화재 예방훈련
  4. 천안시, 청소년유해환경 개선 합동점검·단속 및 캠페인
  5. 삼성디스플레이, 취약가정에 1억5천만원 후원
  1. 아산시 음봉어울림도서관, '시선 너머의 이야기' 전시
  2. [대입+] 종로학원 2026 수능 가채점 정시 분석… 서연고 경영 280점대, 의대는 290점 안팎
  3. 천안법원, 음주 측정 거부한 50대에 '징역형'
  4. 천안법원, 지인 간 법적소송에서 위증한 혐의 50대 남성 무죄
  5. 천안시 서북구, 동절기 제설작업 대비 안전교육 나서

헤드라인 뉴스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서연고 경영 280점대… 수도권 의대 285, 비수도권 275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한 정시 합격선 예측에서 서울 주요 대학의 경영·의학계열 합격선이 280~290점대에서 형성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는 문과 지원확대와 의대 정원 원복, 탐구영역 선택 변화 등으로 인해 정시 지원전략에서 문·이과 모두 경쟁 양상이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종로학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국어·수학·탐구(2) 원점수 합 기준으로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284점, 연세대·고려대 경영이 280점, 성균관대 글로벌경영이 279점, 서강대 경영학부 268점, 한양대 정책학과..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합작…한국 대표팀 볼리비아에 2-0 승리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캡틴' 손흥민과 조규성의 활약에 힘입어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대표팀은 14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볼리비아와의 평가전에서 2-0으로 승리했다. 홍명보 감독은 4-2-3-1 포메이션을 꺼내 들었다. 9월과 10월 A매치에서는 스리백을 시험했지만, 이날은 포백을 통해 선수들의 기량을 점검했다. 손흥민을 원톱에 세운 뒤 2선에 황희찬과 이재성, 이강인을 배치해 공격 라인을 꾸렸다. 중원조합은 김진규와 원두재를 내보냈고, 포백라인은 이명재, 김태현, 김민재, 김..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대흥동의 '애물단지' 메가시티 건물…인공지능 산업으로 부활하나

인공지능 데이터센터 설립을 앞둔 대전 중구 대흥동의 애물단지인 메가시티 건물이 기피시설이란 우려를 해소하고 새롭게 변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치권에서는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해 미래 첨단 산업 및 도시재생과의 연계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박용갑 의원(대전 중구)은 국회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를 만나 대전 중구 대흥동에 인공지능 산업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대전 중구 대흥동에 위치한 메가시티 건물은 2008년 건설사의 부도로 공사가..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3~4학년부 4강전

  •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2025 청양군수배 풋살 최강전…초등 5~6학년부 예선

  • ‘수능 끝, 해방이다’ ‘수능 끝, 해방이다’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