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의 취재 기록-16] 충북지역,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 중 ‘2명’ 품다

[10년간의 취재 기록-16] 충북지역,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 중 ‘2명’ 품다

신라의 우륵(가야금), 충주·제천·괴산에서…조선의 박 연(국악이론) 영동에서 각각 ‘활동’
“우륵은 제천 청풍사람”…제천 향토학자, 우륵 찾기 나서, 국악계 관심

  • 승인 2021-08-16 13:46
  • 수정 2021-09-28 14:12
  • 손도언 기자손도언 기자
KakaoTalk_20210812_142413679
제천시 의림지 둑 남동쪽 마을. 신라의 우륵(가야금) 선생이 이 마을(빨강 원)에서 살았다고 전해지고 있다. <제천 류금열 학자 제공>

지난 5월, 제천 국악계가 흥분했다. 김화자(70·제천시 모산동)씨가 전공자도 어렵다는 '제47회 전주대사습놀이'에서 시조부분 장원을 차지한 것이다. 그것도 국악의 성지인 호남이 아닌 충북 산간지역에서 장원이 나온 것이다. 그의 전주대사습놀이 '깜짝 장원'은 우리나라 국악계에서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국악은 호남지방'이라는 인식이 이번 전주대사습놀이에서 다시 한번 깨졌다. 그동안 충북은 '국악의 불모지와 같다'는 평가다. 충북의 한 국악인은 "그랬어유~ 라는 충청도 사투리로 어떻게 판소리를 하겠냐"며 비아냥도 들었을 정도다.

그렇다면, 충북 제천사람인 김화자 씨의 전주대사습놀이 장원은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일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NO'다. 충북은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 중에서 2명을 품고 있다. 3대 악성은 고구려의 왕산악(거문고), 신라의 우륵(가야금), 조선의 박연(국악이론) 선생이다. 그런데 우륵은 충주·제천·괴산, 그리고 박연은 영동과 관련이 매우 깊다. 충주시는 우륵 국악단을 운영 중이고, 영동군은 난계국악단을 세계화에 힘을 쏟고 있다. 이것만 봐도 국악 초기, 충북은 국악의 성지 급이다. 제천 향토학자들이 '우륵 선생' 찾기에 나서 국악계에 관심을 받고 있다. 제천 향토사가 류금열 학자는 최근 '청풍성열현인악성우륵(771쪽)'이라는 책을 냈다. 이 책의 핵심 내용은 '우륵이 제천 청풍사람'이라는 것이다.


책에 따르면 우륵은 삼국사기에 '성열현(省熱縣) 사람'으로 기록돼 있다. 성열현은 지금의 제천시 청풍면이라는 게 류 학자의 설명이다. 류 학자는 "제천시 청풍대교 인근에 평등석(자연석)이 있었는데, 거기 평등석에서 우륵 선생 등 악사들이 노래와 함께 풍류를 즐겼다"며 "지금은 평등석이 수몰돼 사라졌지만, 청풍지역은 우리나라 국악(음악)의 성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의 청풍면 물태리에 위치한 청풍명월비 비석 인근에서 우륵 선생이 악사들과 함께 연주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KakaoTalk_20210816_104539671
제천시 의림지 인근에 위치한 '우륵샘'. 우륵 선생은 이곳에서 물도 마시며 풍류를 즐겼다고 전해지고 있다.
류 학자는 "1893년 우리나라 33명의 악사들이 제천 청풍면에서 우륵 정신을 받들고자 악단을 조직했다"며 "관악과 현악, 타악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6.25 전쟁 때 악기 등이 분실되면서 국악단 조직도 모두 흩어졌다"고 설명했다.

우륵의 흔적은 충북지역 곳곳에서 발견된다. 옛 문헌에 따르면 우륵은 제천 백운면 장금대에서 신라인 3명을 가르쳤다. 우륵은 또 제천의 구담봉(제천과 단양 경계)과 봉양 파병암, 의림지, 청풍면 등지에서 가야금을 연주했다. 괴산 제월대에서도 연주한 기록이 있다. 충주로 가보면 우륵이 탄금대에서 신라인의 제자를 가르쳤다는 기록도 발견됐다.

영동군과 박연(1378∼1458)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다. 일단 박연의 묘소가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에 위치해 있다. 박 연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음악가다. 박 연의 묘소는 1987년 3월 충북도 기념물 제75호로 지정돼 있다. 영동군은 박 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호를 딴 '난계국악단'도 운영 중이다. 국악단은 충북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그리고 세계 곳곳에서 활동 중이다.



KakaoTalk_20210816_110000337
'제천 백운면 장금대'. 우륵 선생이 이 바위 위에서 신라인 3명을 가르쳤다고 전해진다. 우륵 선생이 돌아가신 뒤, 이 바위가 울었다고 해서 '명(鳴) 바위'로 전해지고 있다.<제천 류금열 학자 제공>

충주와 영동지역에서 이젠 국악 관련 방송도 들을 수 있다. 사실, 엄두도 못 냈던 일이다. 국악방송은 현재 충주와 영동 지역에서 국악관련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국악방송은 2019년 3월부터 주파수 FM 99.3MHz를 통해 하루 24시간 영동군 전역에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국악방송은 또 같은 해 충주국악방송을 정식으로 개국했다. 현재 국악방송 주파수는 FM 101.7MHz로, 충주시와 음성군 지역에서 수신된다.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 관장은 "국악방송이 충북 일부지역(충주와 영동)에서 국악과 관련한 방송을 송출하는 것은 큰 의미"라며 "그만큼 충북지역이 국악과 매우 밀접한 관계로 해석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3대 악성 중 2명이 충북과 큰 연관성을 갖고 있다 것도 중요한 대목"이라고 덧붙였다. 충주시 관계자는 "(충주)탄금대는 악성 우륵 선생이 가야금을 연주한 곳으로 우륵의 선율이 흐르는 역사적인 장소"라고 말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2. 대전권 14개 대학 'RISE U-늘봄 협의체' 출범… 공교육 협력모델로
  3.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4. 한국영상대 타이난 세종학당, 세계한국어교육자 대회 '공로상'
  5. 한남대, 퓨리오사AI·ETRI와 글로컬대학 협력 MOU
  1.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2. 건보 대전세종충청본부, 충남 예산 수해복구 힘 보태
  3. 고 김진화 바오로 신부 선종
  4. "늘봄학교 전체 학년 확대 너무 빨라" 대전 교육계 토론회서 우려 제기
  5. 대전·울산 등 교제폭력·살인 속출에 경찰 뒤늦게 대책 마련

헤드라인 뉴스


대전·울산 등 교제폭력·살인 속출에 경찰 뒤늦게 대책마련

대전·울산 등 교제폭력·살인 속출에 경찰 뒤늦게 대책마련

전국 교제폭력 신고 건수가 한 해 8만 건에 달하는 가운데, 최근 대전과 울산 등 교제폭력· 살인 사건이 잇따라 속출하자 경찰이 뒤늦게 제도 보완책을 내놓았다. 관계성 범죄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스토킹 처벌법' 상 접근금지 조치 대상 가해자 전수 점검과 주변 순찰 집중, 구속영장 신청 시 재범 위험성 평가 등을 통해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겠단 계획이다. 다만 대전에서 발생한 교제 살인은 피의자의 스토킹 정황도 포착되지 않아 법적 사각지대에서 벌어진 사건인 만큼 조속한 교제폭력 방지 입법화 추진과 그 사이 법적 미비점을 보완할 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한미 상호관세 15% 타결에 충청권 반도체·자동차부품 수출 탄력받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하면서 충청권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부품 수출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충남은 17개 시·도 중 2위의 수출실적을 자랑하고 있어 이번 상호관세로 전반적인 탄력이 기대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에 3500억달러(약 487조원)를 투자하는 등의 조건으로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했다고 7월 30일(현지시간) 밝혔다. 한국은 미국과 협상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8월 1일부터 25..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계룡건설산업 부동의 1위

계룡건설산업(주)가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에서 대전지역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국토교통부와 대한건설협회는 7월 31일 전국 종합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시공능력평가' 결과 계룡건설산업이 전년 대비 2633억 원(9.7%) 증가한 2조9753억 원으로 5년 연속 2조 원을 돌파했다. 전국 순위도 두 계단 오른 15위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주)금성백조주택이 3884억 원으로 2위(전국 75위), 파인건설(주)는 2247억 원으로 3위(전국 114위), 크로스건설(주)는 1112억 원으로 4위(전국 217위), (..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대전 0시 축제 준비 완료…패밀리테마파크 축제 분위기 조성

  •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교제 범죄 발생한 대전 찾은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

  •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송치완 학생’ 대통령상

  •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 이동 노동자 위한 얼음물 및 폭염 예방 물품 나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