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일주일 동안 열무비빔밥 먹은 사연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일주일 동안 열무비빔밥 먹은 사연

  • 승인 2022-07-27 17:18
  • 신문게재 2022-07-28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20727_101301443
"아자씨 지슈(계세요)? 말씀드릴 게 있어서유. 어이구, 저녁 드시네유." 소쩍새가 우는 한 여름 저녁, 우리 식구는 두리반에 둘러앉아 저녁으로 상추쌈을 먹는 중이었다. 밭에서 뜯어온 한 소쿠리 상추와 된장을 끓여 올린 밥상이었다. "어, 여기 앉게나." 먼 친척뻘 되는 아저씨는 못이기는 척 비집고 앉는다. 엄마는 부엌에서 가져온 밥 한 공기와 수저, 젓가락을 아저씨 앞에 놓는다. 우리는 다시 와글와글 얘기를 나누며 볼이 미어터지게 상추 쌈을 먹는다. 며칠 후 저녁. "아줌니, 저 또 왔슈. 저번에 먹은 상추쌈이 얼매나 맛있던지 자꾸 생각나더라니께유." 엄마, 아버지의 환대와 함께 아저씨는 그날도 상추쌈으로 밥 공기 뚝딱 먹어치웠다. 유년시절 여름의 추억이다.

올해 난 도시농부가 됐다. 내가 사는 아파트 단지엔 자그마한 공동체 텃밭이 있다. 올 초 제비뽑기에서 당첨돼 손바닥만한 밭을 분양받아 2년동안 밭을 일구게 됐다. 명색이 농부의 딸이었지만 한번도 농작물을 가꿔 본적이 없어서 흥분됐다. 사실 이 텃밭을 볼 때마다 꽤나 부러웠었다. 거기다 수도시설과 농기구도 있다니, 난 환호성을 질렀다. 4월 중순에 열무와 상추, 쑥갓, 시금치는 씨를 뿌리고 가지, 방울토마토, 고추, 겨자는 모종을 심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나도 싹이 안 나 애가 탔는데 어느 날 싹이 삐죽이 올라왔다. 매일 매일 물을 주느라 마동석 팔뚝이 됐다. 퇴근하면 운동하랴, 텃밭 가꾸랴, 밥 해먹으랴 1초가 금쪽같았다. 새롭게 안 사실이 있다. 상추는 씨보다 모종을 심는 게 튼튼하고 잘 자란다는 것.

역시 농사도 수월하지 않았다. 비료, 농약을 안친데다 거름기가 없어 실패를 맛봤다. 시금치가 잘 크는가 싶었는데 중간에 시들면서 누렇게 뜨기 시작했다. 겨우 두 줌 뜯어다 김밥 재료로 썼다. 여러 사람과 같이 밭을 가꾸다 보니 밭마다 주인의 성향이 보였다. 욕심많은 사람은 공간이 안보이게 빽빽하게 심었다. 풀 한포기 없이 깔끔한 밭도 있다. 나는? 적당히 방목하는 스타일! 일단 공간이 많고 채소와 풀들이 어울렁더울렁 살아간다. 게으른 농부란 말씀. 말로만 듣던 고수도 처음 봤다. 주인이 없을 때 살짝 이파리 두어 개를 뜯어 씹어먹었다. 헉, 정말 화장품 냄새가 훅 끼쳤다.

드디어 내 손으로 가꾼 채소를 먹게 됐다. 유기농이라 시원한 물에 설렁설렁 씻기만 하면 된다. 깊게 파인 스뎅 볼에 밥을 퍼 담고 연하고 파릇파릇한 열무와 상추를 산처럼 얹었다. 거기에 고추장과 들기름, 깨소금을 넣고 써억써억. 일주일 동안 저녁마다 열무비빔밥을 먹는데도 질리지 않았다. 소화도 잘돼 10시껜 배가 고팠다. 상추는 옆 텃밭 아저씨 조언대로 물만 열심히 줘도 잘 자랐다. 쑥쑥 자라는 상추와 쑥갓을 매일매일 뜯어야 했다. 경비실에도 넉넉히 드렸다. 한번은 라면을 상추, 쑥갓에 싸먹어 봤다. 오호, 이런 맛이? 묵은지돼지고기찜, 고등어 조림도 마찬가지. 비빔국수는 면보다 채소가 더 많았다.



초보지만 나도 제법 농부 티가 났다. 흙을 만지다보니 현관엔 운동화에서 떨어진 흙이 날리고 손톱 밑엔 까만 때가 끼기 일쑤였다. 아침 데스크회의 때 엄지 손톱으로 나머지 손톱 때를 긁어내는 일이 많았다. 밭농사는 그야말로 잡초와의 전쟁이었다. 며칠동안 비가 온 후에 가보니 풀들이 순식간에 밭을 점령했다. 이틀간 퇴근 후 풀과 쓸모없어진 채소를 뽑고 정리했다. 풀에 쓸린 팔이 따갑고 허리가 뻐근했지만 속이 후련했다. 그 사이 가지는 팔뚝만했고 주렁주렁 열린 방울토마토는 빨갛게 익어갔다. 고추도 손가락만했다. 하나 따서 우적우적 씹었다. 우엑! 꼬리를 밟힌 살모사처럼 독이 바짝 올랐다. 청양 고춘가? 빈자리에 또 뭘 심어야 할텐데. 이번 주말엔 당근 씨를 뿌려야겠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