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일주일 동안 열무비빔밥 먹은 사연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일주일 동안 열무비빔밥 먹은 사연

  • 승인 2022-07-27 17:18
  • 신문게재 2022-07-28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20727_101301443
"아자씨 지슈(계세요)? 말씀드릴 게 있어서유. 어이구, 저녁 드시네유." 소쩍새가 우는 한 여름 저녁, 우리 식구는 두리반에 둘러앉아 저녁으로 상추쌈을 먹는 중이었다. 밭에서 뜯어온 한 소쿠리 상추와 된장을 끓여 올린 밥상이었다. "어, 여기 앉게나." 먼 친척뻘 되는 아저씨는 못이기는 척 비집고 앉는다. 엄마는 부엌에서 가져온 밥 한 공기와 수저, 젓가락을 아저씨 앞에 놓는다. 우리는 다시 와글와글 얘기를 나누며 볼이 미어터지게 상추 쌈을 먹는다. 며칠 후 저녁. "아줌니, 저 또 왔슈. 저번에 먹은 상추쌈이 얼매나 맛있던지 자꾸 생각나더라니께유." 엄마, 아버지의 환대와 함께 아저씨는 그날도 상추쌈으로 밥 공기 뚝딱 먹어치웠다. 유년시절 여름의 추억이다.

올해 난 도시농부가 됐다. 내가 사는 아파트 단지엔 자그마한 공동체 텃밭이 있다. 올 초 제비뽑기에서 당첨돼 손바닥만한 밭을 분양받아 2년동안 밭을 일구게 됐다. 명색이 농부의 딸이었지만 한번도 농작물을 가꿔 본적이 없어서 흥분됐다. 사실 이 텃밭을 볼 때마다 꽤나 부러웠었다. 거기다 수도시설과 농기구도 있다니, 난 환호성을 질렀다. 4월 중순에 열무와 상추, 쑥갓, 시금치는 씨를 뿌리고 가지, 방울토마토, 고추, 겨자는 모종을 심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나도 싹이 안 나 애가 탔는데 어느 날 싹이 삐죽이 올라왔다. 매일 매일 물을 주느라 마동석 팔뚝이 됐다. 퇴근하면 운동하랴, 텃밭 가꾸랴, 밥 해먹으랴 1초가 금쪽같았다. 새롭게 안 사실이 있다. 상추는 씨보다 모종을 심는 게 튼튼하고 잘 자란다는 것.

역시 농사도 수월하지 않았다. 비료, 농약을 안친데다 거름기가 없어 실패를 맛봤다. 시금치가 잘 크는가 싶었는데 중간에 시들면서 누렇게 뜨기 시작했다. 겨우 두 줌 뜯어다 김밥 재료로 썼다. 여러 사람과 같이 밭을 가꾸다 보니 밭마다 주인의 성향이 보였다. 욕심많은 사람은 공간이 안보이게 빽빽하게 심었다. 풀 한포기 없이 깔끔한 밭도 있다. 나는? 적당히 방목하는 스타일! 일단 공간이 많고 채소와 풀들이 어울렁더울렁 살아간다. 게으른 농부란 말씀. 말로만 듣던 고수도 처음 봤다. 주인이 없을 때 살짝 이파리 두어 개를 뜯어 씹어먹었다. 헉, 정말 화장품 냄새가 훅 끼쳤다.

드디어 내 손으로 가꾼 채소를 먹게 됐다. 유기농이라 시원한 물에 설렁설렁 씻기만 하면 된다. 깊게 파인 스뎅 볼에 밥을 퍼 담고 연하고 파릇파릇한 열무와 상추를 산처럼 얹었다. 거기에 고추장과 들기름, 깨소금을 넣고 써억써억. 일주일 동안 저녁마다 열무비빔밥을 먹는데도 질리지 않았다. 소화도 잘돼 10시껜 배가 고팠다. 상추는 옆 텃밭 아저씨 조언대로 물만 열심히 줘도 잘 자랐다. 쑥쑥 자라는 상추와 쑥갓을 매일매일 뜯어야 했다. 경비실에도 넉넉히 드렸다. 한번은 라면을 상추, 쑥갓에 싸먹어 봤다. 오호, 이런 맛이? 묵은지돼지고기찜, 고등어 조림도 마찬가지. 비빔국수는 면보다 채소가 더 많았다.



초보지만 나도 제법 농부 티가 났다. 흙을 만지다보니 현관엔 운동화에서 떨어진 흙이 날리고 손톱 밑엔 까만 때가 끼기 일쑤였다. 아침 데스크회의 때 엄지 손톱으로 나머지 손톱 때를 긁어내는 일이 많았다. 밭농사는 그야말로 잡초와의 전쟁이었다. 며칠동안 비가 온 후에 가보니 풀들이 순식간에 밭을 점령했다. 이틀간 퇴근 후 풀과 쓸모없어진 채소를 뽑고 정리했다. 풀에 쓸린 팔이 따갑고 허리가 뻐근했지만 속이 후련했다. 그 사이 가지는 팔뚝만했고 주렁주렁 열린 방울토마토는 빨갛게 익어갔다. 고추도 손가락만했다. 하나 따서 우적우적 씹었다. 우엑! 꼬리를 밟힌 살모사처럼 독이 바짝 올랐다. 청양 고춘가? 빈자리에 또 뭘 심어야 할텐데. 이번 주말엔 당근 씨를 뿌려야겠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