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일주일 동안 열무비빔밥 먹은 사연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일주일 동안 열무비빔밥 먹은 사연

  • 승인 2022-07-27 17:18
  • 신문게재 2022-07-28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20727_101301443
"아자씨 지슈(계세요)? 말씀드릴 게 있어서유. 어이구, 저녁 드시네유." 소쩍새가 우는 한 여름 저녁, 우리 식구는 두리반에 둘러앉아 저녁으로 상추쌈을 먹는 중이었다. 밭에서 뜯어온 한 소쿠리 상추와 된장을 끓여 올린 밥상이었다. "어, 여기 앉게나." 먼 친척뻘 되는 아저씨는 못이기는 척 비집고 앉는다. 엄마는 부엌에서 가져온 밥 한 공기와 수저, 젓가락을 아저씨 앞에 놓는다. 우리는 다시 와글와글 얘기를 나누며 볼이 미어터지게 상추 쌈을 먹는다. 며칠 후 저녁. "아줌니, 저 또 왔슈. 저번에 먹은 상추쌈이 얼매나 맛있던지 자꾸 생각나더라니께유." 엄마, 아버지의 환대와 함께 아저씨는 그날도 상추쌈으로 밥 공기 뚝딱 먹어치웠다. 유년시절 여름의 추억이다.

올해 난 도시농부가 됐다. 내가 사는 아파트 단지엔 자그마한 공동체 텃밭이 있다. 올 초 제비뽑기에서 당첨돼 손바닥만한 밭을 분양받아 2년동안 밭을 일구게 됐다. 명색이 농부의 딸이었지만 한번도 농작물을 가꿔 본적이 없어서 흥분됐다. 사실 이 텃밭을 볼 때마다 꽤나 부러웠었다. 거기다 수도시설과 농기구도 있다니, 난 환호성을 질렀다. 4월 중순에 열무와 상추, 쑥갓, 시금치는 씨를 뿌리고 가지, 방울토마토, 고추, 겨자는 모종을 심었다. 그런데 며칠이 지나도 싹이 안 나 애가 탔는데 어느 날 싹이 삐죽이 올라왔다. 매일 매일 물을 주느라 마동석 팔뚝이 됐다. 퇴근하면 운동하랴, 텃밭 가꾸랴, 밥 해먹으랴 1초가 금쪽같았다. 새롭게 안 사실이 있다. 상추는 씨보다 모종을 심는 게 튼튼하고 잘 자란다는 것.

역시 농사도 수월하지 않았다. 비료, 농약을 안친데다 거름기가 없어 실패를 맛봤다. 시금치가 잘 크는가 싶었는데 중간에 시들면서 누렇게 뜨기 시작했다. 겨우 두 줌 뜯어다 김밥 재료로 썼다. 여러 사람과 같이 밭을 가꾸다 보니 밭마다 주인의 성향이 보였다. 욕심많은 사람은 공간이 안보이게 빽빽하게 심었다. 풀 한포기 없이 깔끔한 밭도 있다. 나는? 적당히 방목하는 스타일! 일단 공간이 많고 채소와 풀들이 어울렁더울렁 살아간다. 게으른 농부란 말씀. 말로만 듣던 고수도 처음 봤다. 주인이 없을 때 살짝 이파리 두어 개를 뜯어 씹어먹었다. 헉, 정말 화장품 냄새가 훅 끼쳤다.

드디어 내 손으로 가꾼 채소를 먹게 됐다. 유기농이라 시원한 물에 설렁설렁 씻기만 하면 된다. 깊게 파인 스뎅 볼에 밥을 퍼 담고 연하고 파릇파릇한 열무와 상추를 산처럼 얹었다. 거기에 고추장과 들기름, 깨소금을 넣고 써억써억. 일주일 동안 저녁마다 열무비빔밥을 먹는데도 질리지 않았다. 소화도 잘돼 10시껜 배가 고팠다. 상추는 옆 텃밭 아저씨 조언대로 물만 열심히 줘도 잘 자랐다. 쑥쑥 자라는 상추와 쑥갓을 매일매일 뜯어야 했다. 경비실에도 넉넉히 드렸다. 한번은 라면을 상추, 쑥갓에 싸먹어 봤다. 오호, 이런 맛이? 묵은지돼지고기찜, 고등어 조림도 마찬가지. 비빔국수는 면보다 채소가 더 많았다.



초보지만 나도 제법 농부 티가 났다. 흙을 만지다보니 현관엔 운동화에서 떨어진 흙이 날리고 손톱 밑엔 까만 때가 끼기 일쑤였다. 아침 데스크회의 때 엄지 손톱으로 나머지 손톱 때를 긁어내는 일이 많았다. 밭농사는 그야말로 잡초와의 전쟁이었다. 며칠동안 비가 온 후에 가보니 풀들이 순식간에 밭을 점령했다. 이틀간 퇴근 후 풀과 쓸모없어진 채소를 뽑고 정리했다. 풀에 쓸린 팔이 따갑고 허리가 뻐근했지만 속이 후련했다. 그 사이 가지는 팔뚝만했고 주렁주렁 열린 방울토마토는 빨갛게 익어갔다. 고추도 손가락만했다. 하나 따서 우적우적 씹었다. 우엑! 꼬리를 밟힌 살모사처럼 독이 바짝 올랐다. 청양 고춘가? 빈자리에 또 뭘 심어야 할텐데. 이번 주말엔 당근 씨를 뿌려야겠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INS 기밀 유출 있었나… 보안문서 수만 건 다운로드 정황에 수사 의뢰
  2.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3.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4. 수도권 뒤덮은 러브버그…충청권도 확산될까?
  5. [춘하추동]새로운 시작을 향해, 반전하는 생활 습관
  1.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2. 3대 특검에 검사 줄줄이 파견 지역 민생사건 '적체'…대전·천안검찰 4명 공백
  3.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4. aT,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 위해 총력 대응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요즘 뜨는 대전 역주행 핫플레이스…반석역 3번출구, 버드내초인근 상권 등

숨겨진 명곡이 재조명받는다. 1990년대 옷 스타일도 다시금 유행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를 이른바 '역주행'이라 한다. 단순히 음악과 옷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권은 침체된 분위기를 되살려 재차 살아난다. 신규 분양이 되며 세대 수 상승에 인구가 늘기도 하고, 옛 정취와 향수가 소비자를 끌어모으기도 한다. 원도심과 신도시 경계를 가리지 않는다. 다시금 상권이 살아나는 기미를 보이는 역주행 상권이 지역에서 다시금 뜨고 있다. 여러 업종이 새롭게 생기고, 뒤섞여 소비자를 불러 모으며 재차 발전한다. 이미 유명한 상권은 자영업자에게 비싼..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직원 대부분 반대·이직 동요"…해수부 이전 강행 무리수

"해수부 전체 직원의 86%, 20대 이하 직원 31명 중 30명이 반대하고, 이전 강행 시 48%가 다른 부처나 공공기관으로 이직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최민호 세종시장이 7월 2일부터 예고한 '해수부 이전 철회'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이날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5동 해수부 정문 앞에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옳지 않은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란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거리로 나섰다. 해수부 이전 철회를 촉구하는 입장을 정부부처 공무원을 넘어 시민들과 함께 나누기 위한 발걸음이다. 그가 해수부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은 '지역 이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