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촌동 맞춤옷거리 사회적 기업인 '바르지음' 의류 대여로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바르지음 인스타그램 캡쳐. |
공유 경제란 한번 생산된 제품을 여럿이 공유해 쓰는 협력소비를 기본으로 한 경제 방식으로 최근에는 경기침체와 환경오염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사회운동으로 확대돼 쓰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개인 간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공유경제 규모는 2015년 204억 원에서 2018년 약 1978억 원으로 커졌다. 필요한 서비스나 필요한 물건을 약속한 기간 일정 금액을 내고 이용하는 구독경제도 확산하고 있다.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구독경제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40조 원으로 집계됐으며 2025년엔 100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지자체에선 취업준비생을 위해 면접용 정장을 무료로 대여해주고 H&M 등 패스트패션 업체도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며 의류대여사업에 뛰어들었다.
중촌동 맞춤옷거리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사회적 기업인 '바르지음'은 의상 대여로 인기를 끌고 있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의상대여 사업은 인터넷으로 대여를 신청하면 택배로 옷을 보내준다. '헨젤과 그레텔', '백조의 호수' 등 동화 속 이야기를 구현한 화려한 옷을 대여해 컨셉·셀프 사진도 찍는 패키지 상품도 마련했다. 김희은 바르지음 대표는 "맞춤옷은 특수한 디자인을 적용해 높은 품질의 의상을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 가격이 높은데 의상 대여는 비교적 저렴하다"며 "의상 대여 수요가 꾸준히 있으며 주 고객층은 서울·경기지역"이라고 답했다.
대전에서 드레스 대여업을 하는 A씨는 "예전에는 돌잔치처럼 큰 가족 행사에 드레스를 빌리는 분이 많았는데 요즘엔 작은 결혼식이나 회동, 파티에 입으시려고 문의하는 편이 많다"고 답했다.
골프를 즐기는 젊은 세대들이 늘어나며 고가의 골프복을 대여하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다. 40~50만 원 대의 골프복을 정가의 10%에 해당하는 가격으로 빌릴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확장 중이다. 아직은 충청지역에 대여매장이 없다. 재력을 과시하는 '플렉스' 문화가 확산하며 명품 대여도 확산하고 있다. 대전에 사는 B씨(29살)는 "친구 결혼식에 가면 다들 명품을 들고 오는데 나만 없으면 뒤처지는 기분"이라며 "결혼식 하루를 위해 몇백만 원짜리를 구매하긴 아까워서 업체에서 명품을 빌렸다"고 털어놨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