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칼럼] 소제산(蘇堤山)

  • 오피니언
  • 문화人 칼럼

[문화人칼럼] 소제산(蘇堤山)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 승인 2024-04-24 17:00
  • 김지윤 기자김지윤 기자
2024022901002132100086811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1653년 송시열은 당시 정적 김자점 일파에 의해 모든 관직에서 물러나 거듭된 효종의 부름에도 나가지 않고 소제산 아래 소제호 앞에 은거하며 '소제에 터를 잡고 고함'이라는 짧은 글로 노정객의 심경을 토로하였다. 소제산은 소제호를 앞에 둔 낮으막한 언덕에 노송이 즐비하게 늘어선 아름다운 산이었다. 이곳에 그는 별당을 세우고 '기국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기국정에서는 그를 찾아오는 손님을 맞거나 제자들을 가르쳤다. 소제호를 마주하는 곳에 연원도찰방을 지낸 박계립의 별당인 삼매당도 있었다.우암이 지은 '삼매당 팔경'이라는 시를 보면 소제산 아래 소제호 주변은 중국 항저우의 유명한 호수인 서호에 버금가는 아름다운 곳으로 풍경이 빼어난 곳이었다.

경부선 개통 후 대전 거주 일본인들은 1907년 4월 초에 소제산에 '태신궁'과 대전 최초의 근대식 공원인 '소제공원'을 세웠다. 태신궁은 10년 뒤 공인 신사인 '대전신사'로 바뀌었다. 신사는 일본인들이 특정 신위를 모시고 복을 비는 민간신앙의 공간이다. 그러나 메이지 유신 후천황제가 확립되고 신도가 국가종교로 발전해 일본 국가 제례의 상징 공간이 되었다. 대전 신사의 위치가 철도와 단절된 곳이라 통행이 어렵고, 경내가 사유지로 불편하여 일본 거류민회의 현안이 되었다. 당시 대전 양조업계의 큰손 '쓰지 긴노스케'가 지금의 대전 성모여고 자리송림 만평을 기부해 1929년 이전해 갔다. 대전 신사가 대흥동으로 이전 하기 전까지 소제산은 대전의 전통 마을이 자리한 상징적 공간이자 랜드마크였다.

일제강점기 공원은 근대화의 산물이자 식민화의 현장이었다. 대한제국 군인의 추모 공간이던장충단공원에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는 박문사가 들어서며 조선의 흔적을 지우는 작업이 진행되었다. 조선 왕실의 궁궐은 식물원, 동물원 같은 테마파크로 변했고 각 지역에 신사(神社)도 공원이 되었다. 1910년부터 일본의 한국 식민화 과정에서 '근대 문명화 전략'을 추진했는데, 식민지민들이 자국의 문화를 야만적이고 후진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해 식민 지배를 쉽게하는 것이었다. 식민주의는 단순히 복종하게 만드는 능력보다 식민지민이 전근대적인 자기 문화를 제국주의 근대문화와 대비시켜 자신들의 문화가 얼마나 후진적 인지 스스로 느끼게 만드는 것이다. 일본은 이러한 식민주의 전략을 적극 활용하여 식민 통치를 정당화하였다. 그리하여 한인들은 식민지민으로 전락하여 독립에 대한 의지가 약화 됐다. 이 문명화 전략의 하나로 추진한 것이 근대의 발명품이라 불리는 '공원'의 조성이었다. 식민 시기 한국인들은 근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누리기 위해 오락 공간이자 놀이공간인 공원에서 휴식을 취하며 근대문화를 향유하는 제국의 신민이 되어갔다.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대전역세권 일원 재정비촉진사업으로 대전 역세권 내 문화시설을 확충하는 '소제동 중앙공원 조성' 사업이 행정절차가 마무리되면서 소제산 일대가 철거 작업에 들어갔다. 대전시는 소제동 일원 3만 4220㎡ 부지에 문화 공원을 신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내 공원 조성을 통해 원도심에 부족한 힐링 공간 제공 및 도시 균형발전 모하겠다는 것이 주요 골자다. 일제의 패전으로 한국이 식민지로부터의 해방은 식민지배의 종식이 정치체제나 식민권력에 국한되는 경향이었다. 일제의 근대 문명화의 이름으로추진된 문화적 침투는 오늘날까지 각 분야에 자리하고 있다. 그 잔재의 청산 과정 및 정체성의 회복은 현재도 진행 중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소제중앙공원' 추진 과정에서도 왜곡된 '근대공간'의 상징성을 회복하기 위한 피나는 노력이 모아져야 한다. 지금 소제산 일대에조성되는 사업은 대전의 도시 근대화 과정에서 해체된 전통 마을과 공간의 역사를 제대로 회복하고 청산하는 마지막 기회일 것이다.



백남우 대전향토문화연구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대전시상수도사업본부 송익수 수질관리과장, 어버이날 기념 특별후원금 기탁
  2. 사랑의 사다리 밴드,대덕구 소외계층 80가정에 밑반찬 봉사
  3. 정림종합사회복지관 행복나눔 효(孝) 팔순잔치
  4. 굿네이버스 대전지부, 다감커피 좋은이웃가게 현판 전달식
  5. 초뭉이와 함께 하는 천사의 소원
  1. 대전YMCA 청소년 장학회 함께 해요
  2. 지금 우리 가족 대화, 안녕한가요?
  3. 정부세종청사 옥상정원 '뷰 맛집'...혹서기 전 가보자
  4. 동갑 배우 '강하늘·신혜선', 국세청 홍보대사로 재회
  5. 대전여성장애인연대 ‘마음건강 몸건강 명랑운동회’ 성료

헤드라인 뉴스


대전시, 국내 유망기업 7개 사와 919억 원 규모 업무협약 체결

대전시, 국내 유망기업 7개 사와 919억 원 규모 업무협약 체결

대전시는 3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국내 유망기업 7개 사와 919억 원 규모 투자, 200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대전상공회의소 정태희 회장을 비롯한 ▲㈜글로벌시스템스 박승국 대표 ▲㈜넥스윌 서원기 대표 ▲대한문화체육교육협회 김상배 회장 ▲㈜디엔에프신소재 김현기 대표 ▲㈜에스제이 김명운 대표 ▲㈜케이이알 김민표 상무 ▲㈜플레토로보틱스 박노섭 대표가 참석했다. 기업들을 산업단지별로 나눠 살펴보면, 유성구 장대산단으로 ▲전자전, AESA 레이다 시험장비 등 통신 전문업체인 ㈜넥스윌..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수두룩…"신원확인·모니터링 강화해야"

<속보>=대리 지원, 지원시간 뻥튀기 등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사례가 만연한 가운데, 활동지원사 신원확인과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도일보 2024년 5월 2일자 6면 보도> 2일 취재결과, 보건복지부 장애활동지원 사업으로 활동하는 장애인활동지원사는 장애인의 가사, 사회생활 등을 보조하는 인력이다. 하지만, 최근 대전 중구와 유성구, 대덕구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 급여 부정수급 민원이 들어와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대부분 장애 가족끼리 담합해 부정한 방식으로 급여를 챙겼다는 고발성 민원이었는데, 장..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충청권 의대 389명 늘어난 810명 모집… 2026학년도엔 970명

2025학년도 대입에서 충청권 의과대학 7곳이 기존 421명보다 389명 늘어난 810명을 모집한다. 올해 고2가 치르는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안 대로 970명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대전지역 의대는 199명서 156명이 늘어난 355명을 2025학년도 신입생으로 선발하고, 충남은 133명서 97명 늘려 230명, 충북은 89명서 136명 증가한 225명의 입학정원이 확정됐다. 2일 교육부는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과 함께 '2025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 제출 현황'을 공개했다. 2025학년도 전국 의대 증원 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덥다,더워’…어린이날 전국에 더위 식혀줄 비 예보

  •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도심 속 공실 활용한 테마형 대전팜 개장…대전 혁신 농업의 미래

  •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새하얀 이팝나무 만개

  •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 2024 대전·세종·충남 보도영상전 개막…전시는 7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