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일은 ‘세계 우유의 날’…국내 소비량, 신선우유 줄고 유제품 늘어

  • 경제/과학
  • 유통/쇼핑

6월 1일은 ‘세계 우유의 날’…국내 소비량, 신선우유 줄고 유제품 늘어

2001년 첫 제정 후 세계 40여 개국 다양한 행사
우리나라 낙농기술·제품위생 세계적 수준
해마다 원유 자급률 줄고 수입량 늘어

  • 승인 2024-05-23 16:09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우유
사진=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 제공
오는 6월 1일은 '세계 우유의 날'이다. '우유의 날'은 2001년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우유의 우수성을 다방면으로 알리고 기념하기 위해 처음 제정했으며,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돼 매년 40여 개국 이상이 6월 1일을 전후로 다양한 행사를 연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5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가 처음으로 행사를 주관했고,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가 참여하면서 '우유의 날' 행사가 이어져 오고 있다.

23일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우유는 이미 오래전부터 의사나 영양학자 등에 의해 완전식품으로 입증된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품 중 하나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옛 조상들에게 우유는 귀한 음식이었다. 고려 말기에는 국가상설기관으로 '유우소(乳牛所)'를 두고 왕과 귀족 등 신분이 높은 사람들만 먹었다. 지금처럼 우유가 대중화되기 시작한 건 1960년대 우유의 생산량이 늘고 유제품들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부터다.

1970년대 이후 50여 년의 낙농 역사를 거치면서 우리의 낙농 기술 수준은 엄청난 성장을 해왔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정한 국산 우유의 가장 높은 품질 등급은 1등급이다. 원유 1㎖당 체세포 수 20만 개 미만, 세균 수 3만 개 미만이면 1등급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낙농 선진국으로 알려진 덴마크와 같은 수준이다.

영유아 수가 감소하면서 1인당 마시는 우유 소비량은 내림세다. 반면 1인당 원유 소비량은 2015년 75.7kg에서 2023년 83.9kg으로 계속 늘고 있다. 식습관 변화에 따라 유제품 소비량이 꾸준히 느는 건 긍정적이지만, 이 부분을 상대적으로 값싼 수입 유제품이 빠르게 점유하고 있다는 게 문제다.



우유와 유제품의 비중이 매년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유 자급률은 2000년 80.4%에서 매년 줄어들어 2022년에는 44.8%로 감소했다. 국내 우유 생산량 또한 2001년 233만 8875t에서 2023년 192만 9913t으로 약 41만t 줄어든 반면, 같은 기간 수입량은 65만 2584t에서 248만 612t으로 4배 가까이 늘었다.

국산 우유는 착유 후 적정 온도로 바로 냉각시킨 다음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원유의 살균과 균질화 처리를 거쳐 2~3일 내 유통된다. 보통 유통기한이 11~14일 정도로 짧고 냉장 보관이 필수다. 반면 수입 멸균우유는 먼 거리에서 장기간 운송되는 만큼 유통기한이 1년 정도로 길며 국내에 들어오기까지는 최소 한 달 이상이 소요된다.

실제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가 국내 온라인(네이버 및 각종 소셜커머스)에서 판매 중인 수입 멸균우유(1L) 5종(믈레코비타·갓밀크·밀키스마·올덴버거·오스트렐리아스)의 잔여 유통기한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 제조 후 3~4개월 경과된 제품이었으며 올덴버거의 경우 제조 후 평균 5개월 된 제품을 판매하고 있었으며, 믈레코비타의 경우 최소 2개월(약 9주) 된 제품, 오스트렐리아스는 3개월 3주 제품이 시장에서 유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우유를 선택할지는 소비자의 몫이지만 식량안보 차원에서 국산 원유 자급률 확보는 중요하다. 우유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지면 국제 식량 위기와 기후 변화 등 여러 요인이 나타났을 때 필요한 만큼의 원하는 물량을 적정한 가격으로 구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식량안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산 원유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소비자의 관심이 필요하다.
현옥란 기자 seven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집 좁아 에어컨 무상지원도 못 받아" 폭염에 노숙 택한 쪽방주민
  2. 새 정부 출연연 혁신 정책에 쏠린 눈… PBS·종사자 처우 등 개선 전망
  3. 대전노동청, 2025년 제1차 정기통합 워크숍 성료
  4. 마을어장에 '수상낚시터' 허용, 어촌에 새 활력 기대
  5. [박현경골프아카데미]스크린 골프장 주인이 회원들과 내기 골프를 쳤다는데.. 결과는?
  1. 세종미래전략산업펀드, 1호 투자 기업 큐노바 선정
  2. '국정기획위와 세종시' 첫 만남...지역 현안 얼마나 담길까
  3. 세종 대안·특수학교 수요 증가… 학교 추가설립 속도 낸다
  4. "韓 정치 승자독식 깨야"…지방분권 강화도 양극화 해법
  5. ‘시원하게 장 보세요’

헤드라인 뉴스


여·야 전대 레이스 본격화… 충청 주자들 선전할까

여·야 전대 레이스 본격화… 충청 주자들 선전할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전당대회 레이스가 본격화되면서 충청 주자들의 선전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우선 더불어민주당에선 황명선 국회의원(충남 논산·계룡·금산)이 최고위원 출마를 선언했다. 황 의원은 9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재명 대통령과 같은 길을 걸어온 동지로, 국민주권 정부의 성공을 제 사명으로 여기고 있다"며 "내년 지방선거는 이재명 정부에 대한 첫 민심의 평가다. 제가 승리를 책임질 야전사령관이 되겠다"고 밝혔다. 충남 논산 출생인 황 의원은 서울시의원과 3선 논산시장을 거쳐 22대 총선에서 국회의원 뱃지를 달..

이 대통령 “분열과 갈등 격화… 종교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
이 대통령 “분열과 갈등 격화… 종교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사회의 분열과 갈등이 격화된 점을 언급하며 포용적인 세상을 위해 종교 지도자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종교 지도자들과의 오찬에서 “선거 과정에서 걱정했던 것처럼 우리 사회가 지나치게 분열적이고 대립적이고 갈등이 많이 격화돼 참 걱정”이라며 “종교 지도자 여러분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종교라는 게 기본적으로 사랑과 존중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종교 지도자 여러분들의 역할이 더 많이 요구되는 시대가 아닌가 그런 생각이 든다”며 “각별한 관심..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 공동캠퍼스 '충남대 의대' 9월 문 연다

세종시 집현동 공동캠퍼스에 입주하는 충남대 의과대학이 오는 9월 문을 연다. 의정 갈등 여파로 한차례 개교 연기 끝 희소식으로, 앞으로 충남대 의대 입학생들은 의예과 1~2학년 과정을 세종공동캠퍼스에서 보내게 된다. 한석수 세종 공동캠퍼스 이사장은 9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임대형 캠퍼스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충남대 의대가 의정 갈등으로 입주를 못하다 보니 편의시설 미비 등 운영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제 자리를 갖춰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세종공동캠퍼스 운영법인(이하 공캠법인)에 따르면 2024년 개교 이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꿈돌이와 전통주가 만났다’…꿈돌이 막걸리 출시

  •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쪽방촌 찾은 김민석 국무총리

  • ‘시원하게 장 보세요’ ‘시원하게 장 보세요’

  •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 지상 ‘한산’ 지하 ‘북적’…폭염에 극과 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