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읽기] 미친 물가에 장보기가 두려운 요즘

  • 오피니언
  • 세상읽기

[세상읽기] 미친 물가에 장보기가 두려운 요즘

  • 승인 2024-06-12 10:18
  • 수정 2024-06-12 16:00
  • 신문게재 2024-06-13 18면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1404053541
사진=게티이미제 제공
물가가 올라도 너무 오른다. 코로나 때도 이렇게까지 힘들게 느껴지지 않았던 것 같은데 자고 일어나면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현실에 먹고살기 힘들다는 푸념이 절로 나온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7%로 두 달 연속 2%대를 기록하면서 앞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 상승률이 완만한 둔화 추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전망에도 불구하고 이미 높은 농산물 가격에 가공식품까지 줄줄이 인상되면서 언제 또 치솟을지 모르는 물가 불안은 여전한 상황이다.



외식비 부담도 커졌다. 원재료인 식품 물가가 뛰니 외식 물가도 덩달아 오르고 있는 것이다. 만 원짜리 한 장으로는 혼자서 밥 한 끼 먹기도 쉽지 않다. 언론 보도를 보면 올해 1분기 외식 물가상승률은 3.8%를 기록했다. 햄버거가 6.4%, 김밥이 6.0%, 떡볶이와 치킨도 5% 이상 올랐다. 가공식품도 마찬가지. 설탕(20.1%), 소금(20.0%), 초콜릿(11.7%), 아이스크림(10.9%), 당면(10.1%) 등의 가격 상승률이 10~20%대를 기록했다. 여기에다 고금리에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까지 예고되고 있어 서민들은 늘어나는 가계부담에 안 그래도 휜 허리가 아예 꺾일 지경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근로자가 받는 월급 수준은 계속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임금 상승세를 뛰어넘는 물가 상승세가 계속 이어지면서 근로자 실질임금은 2022년에는 -0.2%, 2023년에는 -1.1%로 2년 연속 감소했다. 올해 1분기도 마찬가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명목임금 총액은 421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만3000원(1.3%)이 늘어났지만 소비자 물가지수는 3.0%나 오르면서 실질임금은 오히려 1.7%(6만4000원) 줄어든 371만100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에 실질 소득이 줄면서 식비라도 아껴보려는 '도시락족', '집밥족'도 늘어나는 추세다. 외식 감소 분위기는 실제 통계로도 나타났다. 올해 1분기 외식업 경기 흐름을 예상하는 경기전망지수는 85.76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9.22포인트 급락하면서 2개 분기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소비를 극단적으로 줄이는 짠테크 열풍도 거세다. 하루 종일 한 푼도 쓰지 않는 '무(無)지출 챌린지'부터 하루에 만 원 이하를 소비하는 '만원의 행복', 지출에 무감각해질 수 있는 신용카드보단 현금을 사용해 소비를 절약하자는 '현금 챌린지'도 등장했다.

또 가까운 거리는 도보를 이용하고 앱테크, 회사 구내식당 이용, 중고 거래 시장 활용, 헬스장 대신 야외 공원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쓰는 등 다양한 방법의 절약 팁을 공유하는 글들이 온라인상에서 활발하게 공유되고 있다. 한때 거액의 명품도 한 번에 지르는 '플렉스(FLEX) 문화'와, 삶은 한 번뿐이니 하고 싶은 대로 살자는 '욜로(YOLO) 문화'가 젊은 층의 대표적인 문화였다면 이제는 소비 대신 절약을 서로 독려하는 문화로 바뀐 것이다.

특히 요리에 관심이 있는 살림꾼들 사이에서는 '냉장고 파먹기'가 인기다. 냉장고에 있는 음식 재료를 다 먹을 때까지 장을 보지 않거나 장보기를 최소화해 식비를 아끼는 '냉파'는 코로나가 유행할 당시 외출과 장보기가 어려운 상황에서 유행하기도 했다. 온라인상에는 냉장고 속 식재료와 냉파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각종 레시피와 함께 슬기로운 냉파생활, 냉파 꿀팁, 냉파 콘테스트 등의 글들이 넘쳐난다.

'냉파'는 식비도 줄이고, 냉장고 정리나 청소도 할 수 있어 일거양득이다. 하지만 열심히 파먹고 나서 텅 빈 냉장고를 다시 채우려면 장을 봐야 하는데…. 미친 물가에 장보기가 두려운 요즘이다.

현옥란 뉴스디지털부 부장

현옥란-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국립한밭대 RISE 사업단 '지역사회상생협의체' 간담회
  1. 충남대, 충청권역 장애 대학생 기업 탐방 프로그램 개최
  2.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3.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4.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5.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