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홍철 칼럼] 72. 빈부격차가 교육격차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자

  • 오피니언
  • 사외칼럼

[염홍철 칼럼] 72. 빈부격차가 교육격차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자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 승인 2024-06-13 12:00
  • 현옥란 기자현옥란 기자
염홍철칼럼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유치원에서 대학원까지 모든 교육 과정과 단계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여 주목을 받은 사람이 있지요. 바로 빌 게이츠입니다. 빌 게이츠는 지금은 이혼하여 따로 사업을 하지만, 당시에는 자신의 부인과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을 만들어 교육개혁에 일조했는데, 그는 이 재단의 파트너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고교 개혁'과 '선생님 개혁'을 강조하였습니다. 게이츠는 자신의 고교 시절 선생님들이 학습 흥미를 북돋아 주었기 때문에 "나는 수학과 소프트웨어에 깊은 관심을 가질 수 있었다"고 회고하면서, "훌륭한 교사와 무능한 교사가 내는 교육적 차이는 놀랄 정도로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우리 재단은 오래전부터 고교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20억 달러를 썼다"고 밝히기도 했지요.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개혁'하면 대학을 떠올리는데 빌 게이츠가 고교 교육을 교육개혁의 화두로 삼은 것은 많은 의미가 있습니다. 대학은 고등학교 교육의 연장이기 때문에 고등학교의 개혁 없이 대학의 개혁은 불가능한 것이지요.



이와 관련하여 미국은 이미 30여 년 전부터 이러한 고교 교육 개혁에 불을 붙였지요. 1990년에 발족한 비영리 교사 양성 지관인 '미국을 위한 교육 (TFA:Teach For America)'은 미국 명문대 졸업 예정자들을 훈련해서 빈민 지역 교사로 파견하고 있습니다. TFA 프로그램에 하버드대와 예일대 등 명문대 졸업 예정자 3000명을 선발해 2년 이상 교사로 임명한 것이지요.

이들 명문대 졸업 예정자들이 일반 교사들이 꺼리는 '문제' 학교에서 학생들을 열성적으로 가르쳐 교단에 새바람을 일으켰습니다. 폭력과 마약 등으로 얼룩진 학교에 '사명감을 가진' 우수 교사를 보내자 학생들의 학업 성적이 좋아졌고 대학 진학을 원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것이 진정한 교육개혁입니다. 지나친 경쟁 위주의 교육, 돈이 없으면 기회를 놓치는 교육은 시정되어야 합니다. 이런 교육개혁은 사회 통합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고, 좋은 대학 나온 사람들이 문제 지역에 있는 학생들을 가르치면 당사자들에게도 충분한 경험이 되고, 혜택을 받는 학생들도 그들의 열정과 봉사에 동화되어 보다 나은 삶을 지향하게 된다면 사회 통합이라는 큰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겠죠.

과거 대전시에서도 미국의 이러한 교육개혁 사례를 참고하여 '교육만두레' 시책을 펼쳐보았습니다. 복지만두레의 일환인 교육만두레는 가정형편이 어려워 학원 등에 못 가는 아이들에게는 배울 기회를, 그리고 대학(원) 졸업자들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한국판 TFA'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국·영·수 과목 전공 교사 100명을 채용해 600명 이상의 소득이 낮은 자녀들에게 학습 지도를 해주는 교사 1명이 6명의 학생을 집중적으로 지도하는 방식이어서 상당한 효과가 있었습니다. 학생, 학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70퍼센트 이상이 성적이 향상되었고, 약 80퍼센트가 공부 습관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답변하였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이것을 발전시켜 시 예산이 아니라 재단 설립을 염두에 두었었지요.

교육개혁은 모든 사람이 최고의 교육을 동등하게 받을 권리를 인정하고 보장하는 데서 출발해야 합니다. 부모의 사회적 지위나 경제적 능력이 그 아이의 평생 삶을 결정해서는 안 됩니다. 빈부격차가 교육격차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끊는 것이 교육개혁의 진정한 목표이어야 합니다. (이상 <염홍철의 아침편지> 94-96, 염홍철 <천천히, 천천히 걷는다> 231-233 참조)

염홍철 국립한밭대 명예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4. 대전시와 5개구, 대덕세무서 추가 신설 등 주민 밀접행정 협력
  5. 대전 출입국·외국인사무소, 사회통합 자원봉사위원 위촉식 개최
  1. 대전시 '제60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선수단 해단'
  2. 충남대·한밭대, 교육부 양성평등 평가 '최하위'
  3. 백소회 회원 김중식 서양화가 아트코리아방송 문화예술대상 올해의 작가 대상 수상자 선정
  4. 9개 국립대병원 "복지부 이관 전 토론과 협의부터" 공개 요구
  5. 대전경찰, 고령운전자에게 '면허 자진반납·가속페달 안전장치' 홍보 나선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대전 제과 상점가 방문한 김민석 국무총리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