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값이 금값, 대전 소매가 7000원 넘었다... 채솟값도 고공행진 추석상 어쩌나

  • 경제/과학
  • 유통/쇼핑

배추값이 금값, 대전 소매가 7000원 넘었다... 채솟값도 고공행진 추석상 어쩌나

배추 1포기당 가격 7077원… 지난해보다 20.5% 상승
시금치는 닷새만에 75.5% 급등... 무도 20%가량 올라
폭염 따른 생육 부진과 출하량 감소 주원인으로 지목

  • 승인 2024-08-20 17:03
  • 신문게재 2024-08-21 5면
  • 방원기 기자방원기 기자
장바구니
출하량 감소와 폭염에 따른 생육 부진으로 대전 배추 소매가격이 한 포기에 7000원을 넘어섰다. 배춧값이 금값이라는 우스갯소리도 나오는 상황인데, 이상기후에 따라 채솟값이 급등하면서 추석 밥상물가까지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에 주부들의 부담이 커진다.

2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19일 기준 배추 평균 소매가격은 포기당 7077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배추 가격은 8월 1일까지만 하더라도 4910원으로 5000원 아래에서 가격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5일 5243원으로 올라선 뒤 8일 6995원으로 치솟았다. 그러다 16일 7160원으로 7000원을 돌파한 뒤 현재 소폭 하락했으나 여전히 비싼 가격을 유지 중이다. 한 달 전과 비교하면 4828원으로 오름폭만 46.58%다. 1년 전(5895원)보다는 20.5% 올랐다. 평년(5699원)보다는 24.18% 각각 인상된 수치다. 평년 가격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배추 가격이 갑작스레 오른 데는 출하량 감소가 컸다. 2023년보다 여름 배추 재배 면적이 줄어들어 농가에서 추석 수요를 고려해 8월 말부터 9월 여름 배추를 수확할 수 있도록 심는 시기를 늦췄다. 물량이 줄어들자 가격이 오른 것이다. 여기에 폭염이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선 생육 부진 현상까지 겪고 있다. 이러다 보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시금치 100g당 가격 역시 껑충 뛰었다. 대전 시금치 평균 소매가는 19일 기준 4370원으로, 불과 5일 전인 14일 2490원에서 75.5%나 급등했다. 시금치 가격은 한 달 전(1513원)보다 188.83%나 치솟았고, 1년 전(2047원)보다는 113.48% 올랐다. 평년 가격(2121원)보다는 106.03% 상승한 수치다. 평균 2000원대를 보이던 시금치 가격은 16일 들어 3020원으로 오르더니 19일 4000원대를 넘어서며 가격 상승이 지속적이다.

무 대전 소매가도 소폭 인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 무 1개 소매가는 3677원으로, 한 달 전(3000원)보다 22.5% 올랐다. 1년 전 소매가는 2899원으로, 현재와 비교하면 26.84% 올랐고, 평년 가격으로는 2523원으로 현재와의 차이는 45.74%다. 시금치와 무 가격도 폭우로 인한 일조량 부족과 폭염에 따른 생육 부진으로 출하량이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채솟값이 급격하게 오르면서 지역 주부들은 올 추석 물가 상승에 걱정이 크다. 올 추석은 9월 17일로, 2023년 추석보다 2주가량 이르기 때문이다. 현재와 같이 가격이 오른 상황에서 추석상을 차리려면, 예년보다 비용이 크게 든다. 여기에 출하량 부족으로 수요 대비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도 있다.



주부 김 모(48) 씨는 "가뜩이나 물가가 많이 올랐는데, 장을 보다 보면 장바구니 가격이 너무 올라 주머니 사정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며 "다가오는 추석에 친척들을 대접하려면 전보다 더 큰 비용이 들 것 같다"고 말했다.
방원기 기자 ba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인천 남동구 장승백이 전통시장 새단장 본격화
  2. 베일 벗은 대전역세권 개발계획…내년 2월 첫삽 확정
  3. 고양시, 202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4. 파주시, 운정신도시 교통혼잡 교차로 신호체계 개선
  5. 대전 횡단보도 건너던 50대 승합차 치여 숨져
  1. 고등학생 70% "고교학점제 선택에 학원·컨설팅 필요"… 미이수학생 낙인 인식도
  2. 대전·충남 우수 법관 13명 공통점은? '경청·존중·공정' 키워드 3개
  3. [홍석환의 3분 경영] 가을 비
  4. 충남도의회, 인재개발원·충남도립대 행정사무감사 "시대 변화 따른 공무원 교육·대학 운영 정상화" 촉구
  5. 대전 환경단체, 열병합발전 발전용량 증설 승인 전기위 규탄

헤드라인 뉴스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 대전 247명, 94.6억원 달해

대전지역에 1000만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 247명의 명단이 공개됐다. 대전시는 19일 지방세 및 지방행정제제·부과금 체납액이 각 1000만 원 이상인 고액·상습체납자의 명단을 시 누리집 및 위택스를 통해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고액·상습체납자는 올해 1월 1일 기준 체납 발생일부터 1년이 지난 1000만 원 이상 체납자이며 지난 10월까지 자진 납부 및 소명 기회를 부여한 후 지방세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공개된 정보는 체납자의 성명·상호(법인명), 나이, 직업, 주소, 체납세목, 납부기한 및 체납요지 등이며..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조직위, 기본계획 마련… 성공 개최 시동

'섬비엔날레' 개막이 500일 앞으로 다가왔다. 섬비엔날레 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는 예술감독과 사무총장, 민간조직위원장 등을 잇따라 선임하며 추진 체계를 재정비하고, 전시 기본계획을 마련하며 성공 개최를 위한 시동을 켰다. 19일 조직위에 따르면, 도와 보령시가 주최하는 제1회 섬비엔날레가 2027년 4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2개월 간 열린다. '움직이는 섬 : 사건의 수평선을 넘어'를 주제로 한 이번 비엔날레는 원산도와 고대도 일원에서 펼쳐진다. 2027년 두 개 섬에서의 행사 이후에는 2029년 3개 섬에서, 2031년에..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 공공기관 지자체 발주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 확대

정부가 공공기관과 지자체가 발주하는 공사 '지역제한경쟁입찰' 대상을 확대하는 등 지역 건설업체 살리기에 나선다. 정부는 1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러한 내용이 담긴 '지방공사 지역 업체 참여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지역 건설사의 경영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지방공사는 지역 업체가 최대한 수주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정부는 공공기관(88억 원 미만)과 지자체(100억 원 미만)의 지역제한경쟁입찰 기준을 150억 원 미만까지 확..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 추위와 독감 환자 급증에 다시 등장한 마스크